• Title/Summary/Keyword: 가열벽

Search Result 5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NBI 가열 플라즈마에서 고속이온 분포의 수치적 계산 및 측정결과 비교

  • Wang, Seon-Jeong;Kim, Seon-Ho;Kim, Se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263-263
    • /
    • 2012
  • 핵융합 플라즈마에서의 고속이온은 NBI 및 ICRF에 의한 이온 가열과 핵융합 반응에 의하여 발생하며, 핵융합 반응률을 크게 하고 일차적으로 그 에너지를 전자에게 전달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핵융합을 지향하는 플라즈마에서는 그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이기도 하면서, 맥스웰 분포를 갖는 열화 플라즈마의 수송특성을 크게 변화 시킨다. 또한 알펜파 등의 파동 또는 불안정성을 유발시키며 이로 인한 플라즈마 손실은 국지적인 일차벽의 가열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토카막에서의 NBI 가열에 의한 고속이온 발생과 위상공간에서의 수송 및 손실을 시간 의존적인 Fokker-Planck 방정식을 수치적으로 풀어서, 위치에 따른 고속이온 분포의 변화를 계산한다. NBI 입사의 기하학적 모델에서는 각 계산 위치에서의 피치각 변화와 stagnation point의 변화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며, 일반적인 고속이온의 각종 모멘트 뿐 아니라 즉발 이온 손실률을 계산에 포함한다. 해석된 고속이온 분포는 중성입자 검출기에서 측정한 KSTAR 플라즈마의 고속이온 에너지 분포와 비교한다. 차후에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Fokker-Planck 출동연산자에 고주파 가열에 의한 고속이온발생 항을 추가하여 ICRF 가열에 의한 효과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PDF

Characteristics of Coking Pressure during Coal Carbonization in Pilot-scale Coke Oven (Pilot-scale의 코크스 오븐에서 석탄 건류시 팽창압 특성)

  • 이운재;최재훈;이용국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4
    • /
    • pp.279-287
    • /
    • 2000
  • 코크스 오븐에서 석탄 건류과정 중에 발생하는 석탄 중심의 가스압 특성에 대한 장입탄 수분, 가열속도 및 일반탄 배합비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이동벽이 있는 pilot 규모의 코크스 오븐(0.45mW$\times$0.1mH$\times$1.2mL)에서 석탄 건류 실험을 수행하였다. 석탄 중심에서의 가열속도가 상업용 코크스 오븐과 비슷한 건류조건에서 장입탄 수분을 감소시켰을 때, 수분 증발 이후 가열속도는 비슷하였으며, 건류 초기 수증기압은 크게 증가하였고, 석탄 중심에서의 가스압은 습탄에 비해 대략 2.5배 증가하였다. 석탄 중심에서의 가열속도가 상업용 코크스 오븐보다 훨씬 빠른 건류조건에서 장입탄 수분을 감소시켰을 때, 수분 증발 이후 가열속도는 크게 감소하였고, 건류 초기 수증기압은 크게 증가하였으며, 석탄중심에서의 가스압은 습탄에 비해 대략 2배 증가하였다. 석탄 가열속도가 상업용 오븐보다 빠른 건류조건에서 장입탄에 일반탄을 첨가하여 일반탄 배합비를 증가시켰을 때 배합탄 중심에서의 가스압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 PDF

KSTAR 진공용기 및 플라즈마 대향 부품에 대한 베이킹 해석

  • 이강희;임기학;허남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38-38
    • /
    • 1999
  • KSTAR(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 핵융합 실험 장치의 진공용기 및 진공용기 내부의 플라즈마 대향 부품들은 초고진공 (5$\times$10-9 Torr)의 달성을 위해 진공용기 내부의 이물질(H2, H2O, CO, CO2, CH4 등) 제거를 목적으로 SS316LN인 진공용기는 25$0^{\circ}C$, 탄소 물질인 플라즈마 대향부품은 35$0^{\circ}C$ 정도까지 가열(이하 베이킹)할 필요성이 있다. 이 가열방법으로 고온 질소가스를 진공용기 이중벽 사이로 흘려주는 방식과 코일에 저주파 교류전류를 흘려 진공용기를 유도가열하는 방식이 고려되고 있는데, 유도가열방식은 최대 유도 전력이 70kW 정도로 실제 베이킹에 필요한 열량을 공급하는데 있어 적잖이 부족하며 또 국부적인 가열 특성으로 인하여 KSTSR의 베이킹 방식은 전자의 가열방식을 우선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0-차원 해석을 통하여 진공용기와 플라즈마 대향 부품들에 대한 베이킹 계획을 결정하고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투입해야 할 열량을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온도 곡선에서 각 부분의 온도 상승률을 다르게 설정한 세 경우와 F-자 형태로 변화하는 온도 곡선의 경우에 대해 각각 적용하여 시간에 따른 필요열량을 비교.검토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안정적인 베이킹 계획을 선정하였고 이 베이킹 계획의 실현을 위해 투입해야 할 고온 질소가스의 유량과 온도 도달시간까지 매 시간에서의 가스온도를 산출하였다. 토러스 형상의 토카막 진공용기와 플라즈마 대향 부품 및 다층단열재에 대한 해석 모델은 길이가 유한한 0-차원 실린더 모델로 가정하였고, 이에 대한 기하학적 성질 및 열역학적 성질은 유효계수를 고려하여 산출하였다. 진공용기 이중 벽 내부로 흐르는 질소가스의 유량과 온도의 계산은 진공용기 내벽과 외벽을 각각 독립적인 열전달 요소로 가정하여 구성한 모델을 이용하였다. 전체 해석에서 각 열전달 요소의 비열 값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비열의 특성을 반영하였으며. 진공용기와 플라즈마 대향 부품의 방사율(emissivity)은 앞서 가정했던 각 온도 상승 곡선에 대해서 각각 0.1, 0.2, 1.3의 경우를 가정하여 계산하였다.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온도 상승 곡선중 2$0^{\circ}C$/hr의 온도상승율을 갖는 경우가 다른 베이킹 시나리오 모델에 비해 효과적이라 생각되며 초대 필요 공급열량은 200kW 정도로 산출되었다. 실질적인 수치를 얻기 위해 보다 고차원 모델로의 해석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끝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KSTAR 장치의 베이킹 계획도 살펴본다.

  • PDF

Microstructure of Lupin Seed;a Comparative Study With Soybean (루핀콩과 대두의 미세구조에 관한 비교 연구)

  • Lee, Cherl-Ho;Kim, Jeong-Kyo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17 no.6
    • /
    • pp.454-459
    • /
    • 1985
  • The structure of the seed of Lupinue angustifolius was studi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ood quality of lupin seed in comparision with soybean. The cotyledonary cells of lupinseed was in egg-like shape and much (more than 4 times) larger than those of soybean. The microstructure of cotyledonary cells of lupinseed was characterized with thick cell wall having distinct pit-pairs. The protein bodies in lupinseed cotyledon cell contained numerous crystaloids, which was absent in soybean. The middle lamella of soybean cell was partially disintegrated by excessive heat treatment ($120^{\circ}C$, 20 min), whereas those of lupinseed did not change much by heting at $120^{\circ}C$ for 130 min.

  • PDF

Classification and Applications of Direct Contact Condensation Heat Exchanger (직접접촉응축 열교환기의 분류 및 응용)

  • 오후규;김성규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7
    • /
    • pp.638-646
    • /
    • 1995
  • 직접접촉 얼교환 기술은 냉각탑, 접촉급수 가열기 및 공기분리기 등과 같은 장치에 예전부터 이용되어 왔는데, 그 주요한 적용이유는 가열유체와 수열유체의 사이에 일어나는 전열이 일반 열교환기와는 달리 고체벽(금속 열전달표면)을 통과하지 않고 열교환을 함으로써, 종래의 열교 환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설비의 간단화, 부식 및 스케일 부착문제가 경감됨에 따른 적은 유 지보수비 및 높은 열전달률을 얻을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저 온도차에서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직접접촉응축 현상의 장점을 이용하는 직접접촉식 교환기의 구조와 형태, 그리고 그 응용분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PDF

Synthesis of High-Quality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Fibers by Vertical CVD (수직 가열로를 이용한 고순도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합성)

  • Kim, Tae-Min;Song, Woo-Seok;Kim, Yoo-Seok;Kim, Soo-Youn;Choi, Won-Chel;Park, Chong-Yun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9 no.5
    • /
    • pp.377-384
    • /
    • 2010
  • Many rout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synthesis of signle-walled carbon nanotubes (SWCNTs). We spun fibers of SWCNTs directly from vertical furnace using a liquid source of carbon and an iron-contained molecule. The solution was prepared by ethanol as a carbon source, in which ferrocene as a catalyst, thiophene were dissolved. It was then injected from the top of the furnace into hot zone with hydrogen as a carrier gas. We successfully synthesized high-quality SWCNTs by adjusting the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such as concentration of ferrocene, solution injection rate, concentration of thiophene, and hydrogen flow rate. Measurement of Raman spect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were carried out to find the optimized conditions. The synthesized SWCNTs (1.16~1.64 nm) appeared a bundle structure and well-aligned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furnace. These results also provide an simple way for high-quality SWCNTs mass production and fabricating direct spining SWCNTs fiber. It will allow one-step production of SWCNTs fiber with potentially excellent properties and wide-range applications.

A Research on Thermal Properties & Fire Resistance of A Water Film Covered Glazing System for Large Atrium Space (대규모 아트리움에 적용되는 수박형성 유리벽의 열적 특성 및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 박형주;지남용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3 no.4
    • /
    • pp.38-55
    • /
    • 1999
  • In order practically to use fire-defective glazing materials for the compartment wall where a fire-protection rating is mandated, there have been many trials internationally, This research focuses on a feasibility that, if certain water film covered all surface of glass, the glazing system can endure without breaking out under the compartment fire. First of all, a water film spray system was specially designed to wet the entire surface of the glass and also to have tiny small amount of water rebounded from the surface after emitted from nozzles. After this system has proven to have perfect performance, small-scale tests were done to find out if the water film covered glazing system react to the high temperature curve in a small furnace room. Finally, on basis of the obtained data, full-scale experiments were done so that water-film covered glazing system can pass the Korean Standard (KS) test for fire resistance, KS F2257.

  • PDF

A Fundamental Study on Development of a Wall Structure type Thermal Diode for Energy Saving (에너지 절약을 위한 벽체형 열다이오드 개발에 관한 기초)

  • Pak, E.T.;Chang, Y.G.;Chea, S.S.
    • Solar Energy
    • /
    • v.17 no.3
    • /
    • pp.67-73
    • /
    • 1997
  • In order to development of a new wall structure type thermal diode for energy saving, the numerical studies have been performed for natural convection across an rectangular enclosure with the various lengthes of the heat source and sink plate. The governing equations for the two-dimensional, laminar, natural convection process in an enclosure are discretized by the control volume approach which insures the conservative characteristics to be satisfied in the calculation domain, and solved by a elliptic SIMPLE algorithm. The momentum and energy equations are coupled through the buoyancy term.

  • PDF

ITER 시험블랑켓 모듈(TBM) 일차벽 제작법 개발을 위한 Be/FMS mock-up의 고열부하 시험

  • Lee, Dong-Won;Kim, Seok-Gwon;Bae, Yeong-Deok;Yun, Jae-Seong;Jeong, Gi-Seok;Park, Jeong-Yong;Jeong, Yang-Il;Lee, Jeong-Seok;Choe, Byeong-Gwon;Hong, Bong-Geun;Jeong, Y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274-274
    • /
    • 2010
  • 한국은 국제핵융합실험로 (ITER)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삼중수소 증식을 시험하기 위한 시험 모듈(TBM, Test Blanket Module)로서 HCML (Helium Cooled Molten Lithium) TBM을 설계, 개발하고 있다. 헬륨 및 액체 리튬을 냉각재와 증식재로 사용하는 개념으로, 구조재로서 Ferritic Martensitic (FM) 강이 사용될 예정이다. 특히, HCML TBM의 일차벽은 중성자 및 플라즈마로부터 입사되는 입자들을 차폐하기 위한 Be 차폐체와 FM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차벽 제작법 개발을 위해서는 Be과 FM강 간의 접합과 FM강 간의 접합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FM강 간의 접합은 기존의 연구를 통해 접합 조건이 이미 도출되었고, 고열부하 시험을 통해 검증 완료한 상태이다. 그러나, Be과 FM강 간의 접합은 현재 개발단계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려 중인 구조재와 Be 차폐체 사이의 접합법 개발을 위해, 고온등방가압(HIP, Hot Isostatic Pressing) 조건을 도출하고, 운전조건과 유사 혹은 가혹한 조건에서 고열부하를 인가하여, 그 건전성을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e과 FM강 간의 접합법 개발 및 검증을 위해 제작된 $80{\times}80{\times}1$ Be/FM강 mock-up을 국내에서 구축된 고열부하 시험 장비인 KoHLT를 활용하여 수행한 고열부하 시험에 대한 것이다. 본 mock-up은 $80{\times}80{\times}10mm(t)$의 Be tile 3개를 동일 크기에 두께가 각각 25mm와 50 mm인 FM강과 스테인레스강에 접합된 것으로, 고열부하 장비에 설치하여 고열부하 시험을 수행하였다. 냉각수의 온도 및 속도는 25 C, 0.15 kg/sec로 유지되었고, 열부하는 $0.5\;MW/m^2$로 유지하였다. 시험 조건에 대한 예비해석을 통해, 가열시의 온도 및 stress, strain 분포를 얻었고, 이를 통해, cycle to failure 값을 도출하였다. 1000 사이클의 가열 실험을 마친후 초음파를 활용한 접합 계면의 결함확인 및 파괴검사를 통한 접합 건전성을 확인하였다. 3가지 접합법 모두 일부 접합면이 이탈되었으며, 향후 보다 건전한 접합방법 개발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The Effects of Microwave Heating on the Texture of Sugared Chestnuts (Microwave 가열이 밤 당침제품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 Hwang, Tae-Young;Kim, Joon-Han;Kim, Jong-Kuk;Moon, Kwang-Deo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0 no.3
    • /
    • pp.569-573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microstructure of sugared chestnuts between heated by a heater and microwave. Raw chestnuts were boiled and infiltrated the sugar in sugar syrup by heating. The content of WSP (water soluble pectin) was increased, but HSP (hydrochloric acid soluble pectin) was decreased by boiling and sugaring. This change was remarkable when it was boiled and sugared by a microwave heating.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more decreased in the sugared chestnut boiled and sugared with a microwave than that processed with a heater. Microstructure of sugared chestnut processed with a microwave heating showed the distruction of cell wa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