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시장

Search Result 21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Non-Spiny Safflowers according to Sowing Time (잇꽃 무가시형 유전자원의 파종시기에 따른 개화특성)

  • Jung-Seob Moon;Myeong-Suk Kim;Hee-Kyung Song;Seung-Yoon Lee;Dong-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81-81
    • /
    • 2022
  • 잇꽃(Carthamus tinctorius L.)은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초본 식물로 한자명은 홍화(紅花), 영명으로는 Safflower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잇꽃 재배는 2010년 39ha 수준이 재배되다가 2014년에는 76ha까지 확대되었으나,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0년에는 52ha가 재배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잇꽃은 종자를 약용으로 이용하거나 꽃잎을 건조하여 천연 염색제 및 향신료로 이용하고 있으나, 일본 산형(山形)현에서는 잇꽃의 경관적 가치를 이용해 홍화 축제를 개최함으로써 소득작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준고랭지 지역에서 잇꽃의 경관적 가치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총포에 가시가 없는 무가시형 유전자원(IT323225, IT333473, IT333482)을 분양받아 가시가 있는 재배종과 파종시기별로 개화 특성 등을 비교하였다. 표고 500m 준고랭지의 비가림 하우스에서 3월 하순부터 6월 상순까지 파종시별로 출현율을 검토한 결과, IT 323225 자원은 관행의 3월 하순 파종에서도 40.5%의 낮은 출현율을 보였다. 3월 하순 파종에서 재배종은 6월 22일경에 개화기에 도달하였으나, 무가시형 유전자원들은 7월 2일~5일경에 개화기에 도달하여 만생종의 특성을 보였다. 파종시기를 늦춰 5월 하순에 피종하는 경우 무가시형 자원들은 7월 27일~29일경에 개화기에 도달하였으며, 개화기 전후의 개화 지속기간은 8~10일이 소요되어 3월 하순에 파종하여 7월 상순에 개화하는 경우보다 2~4일이 단축되는 경향이었다. IT333473 자원의 개화기 초장은 5월 하순 파종하는 경우 관행의 3월 하순 파종보다 43.6%가 즐어든 71.1cm를 보였고, 분지수는 41.6% 감소한 8.0개/주 수준을 보였다. 식물체당 착화수 또한 파종시기를 늦춤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화당 종자수는 IT323225 자원은 5월 중순과 하순 파종시에 증가하는 양상이었고 IT333473 자원과 IT333482 자원은 재배종과 같이 감소하였다. 하계 휴양지로 각광받고 있는 지리산권에서 무가시형 잇꽃 자원의 경관적 가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파종시기를 5월 하순으로 늦추는 경우 성수기인 7월 하순과 8월 상순에 개화가 가능하였다. 또한 식물체의 초장이 71.1~83.6cm 수준으로 단축되어 경관 조성에 유리한 특성을 보였다.

  • PDF

GIS를 이용한 문화ㆍ관광자원의 가시권 분석

  • 김용석;정창식;윤경철;박운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4.11a
    • /
    • pp.429-433
    • /
    • 2004
  • 기존 가시권 분석에 있어서는 주거지 개발, 도로, 송전선 설치 등에 따른 시각적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가 많이 이뤄졌다. 이들은 개발에 따른 시각적 영향을 분석하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시킴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관이 안공요소의 침입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를 고려하여 각 경관의 수용능력에 따른 개발을 유도함으로써 시각적 환경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도심지의 개발로 인하여 중요 문화ㆍ관광자원의 훼손으로 오랫동안 잘 보존되어야할 관광자원에 대한 시각적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문화ㆍ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경주시 지역에 대하여 가시권역을 시각화하고 분석하여 보았다. 우선 경주시 지역에 대한 1:25,000 수치지형도 9장을 중첩하여 Arc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등고선만을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등고선도를 가지고 DEM을 생성한 후 Arc/GIS의 Workstation Arc/Info를 이용하여 가시권역을 나타내어 보았다. 이렇게 나타난 가시권역과 문화ㆍ관광지역과의 중첩을 통하여 가시지역의 범위를 분석하여 본 결과 관측점에서의 가시범위가 약 70%정도로 나타났다.

  • PDF

Intermediate Polar 별의 X-선 재방출

  • 김용기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1992.10a
    • /
    • pp.20-20
    • /
    • 1992
  • 격변 변광성의 일종인 DQ Her형 별(Intermediate Polar Star; IP)이 자기장에서 방출하는 가시광선은 자전주기에 따라 그 강도가 변한다. 이러한 쌍성계에서 백색 왜성인 주성의 주번에 자기력 선을 따라 정도의 물질이 주계열성인 반성으로부터 accretion 된다. 이 물질은 주성 표면에서 충격파로 생긴 X-선원에 의해 reemission 되는 데, 이런 현상적인 모델을 만들어 관측적으로 나타나는 자전주기에 따른 가시광선의 강도 변화를 설명하였다. 이런 결과가 IP 에서 방출되는 가시광선 관측의 분석과 이런 종류의 쌍성계가 가지는 궤도기울기, accretion rate, 공전축에 대한 자전축의 기울기, interaction radius 등의 물리적 상수를 결정하는 데 응용될 수 있음을 보이려고 한다.

  • PDF

녹색성장 저탄소 가시광 무선통신 국내외 표준 동향 분석

  • Gang, Tae-Gyu;Park, Gwang-Ro;Son, Seung-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5
    • /
    • pp.43-49
    • /
    • 2009
  • 본 고에서는 반도체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가시광 무선통신 기술에 대한 국내외 표준 동향을 기술한다. 가시광 무선통신은 조명 및 통신을 융합함으로써 녹색성장 저탄소의 효과가 있으며, 생활의 불편함이 없이 저탄소를 실현할 수 있다. 저탄소 LED는 조명 인프라를 바꾸는 신성장 기술로 급부상하고 있다. LED는 백열전등에 비하여 전기 절감 효과가 높고, 형광등에 비하여 수은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통신 및 조명 환경 변화에 부응한 기술로서, LED 조명과 동시에 통신을 할 수 있는 가시광 무선통신 융합 기술이 등장하였다. 본 고에서는 조명과 통신의 전혀 다른 산업이 융합된 기술로 탄생하게 된 기술적 배경, 가시광 무선통신의 국내 TTA 표준 및 국제 IEEE 802.1.57 표준 동향 등을 설명한다.

무연색성 폴리에스터용 Black염료의 합성 및 폴리에스터의 염색특성 (II) - 심색 Black용 Heterocyclic분산염료를 사용한 Black분산염료의 폴리에스터염색특성

  • 강은영;박찬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183-186
    • /
    • 1998
  • 일반적으로 완벽한 Black이라 하는 것은 전 파장에 대해 고른 흡수를 보여야 하는바, 대부분의 Black염료들은 가시광선 전파장에 대해 고른 흡수를 보이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650-720nm 부근의 장파장에서의 흡수율이 낮기 때문에 연색성이 낮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중략)

  • PDF

The Convergence Technology of LED Illumination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LED 조명과 가시광 무선통신의 융합 기술 동향 분석)

  • Kang, T.G.;Kim, T.W.;Chung, M.A.;Sohn, S.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3 no.5
    • /
    • pp.32-39
    • /
    • 2008
  • 반도체 LED가 조명 인프라를 바꾸는 신성장 기술로 급부상하고 있다. LED는 백열전등에 비하여 전기 절감 효과가 높고, 형광등에 비하여 수은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통신 및 조명 환경 변화에 부응한 기술로서, LED 조명과 동시에 통신을 할 수 있는 가시광 무선통신 융합 기술이 등장하였다. 본 고에서는 조명과 통신의 전혀 다른 산업이 융합된 기술로 탄생하게 된 기술적 배경, 가시광 무선통신의 국내 및 국제 표준동향, LED 조명통신 융합 기술에 의한 융합 서비스를 설명한다. 가시광 무선통신 기술은 눈으로 확인하는 통신, 빛 색에 따른 선별통신, LOS 통신 보안을 보장해주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조명통신 융합에 의해 광 ID, 광센서, 초정밀 실내 측위, M2M 등의 신규 융합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대전 지상국의 가시성을 고려한 달천이(TLI) 및 달포획(LOI) 기동의 달탐사 최적 궤적 설계

  • U, Jin;Song, Yeong-Ju;Park, Sang-Yeong;Choe, Gyu-Hong;Kim, Hae-Dong;Sim, Eun-Seop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40.2-40.2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달천이(TLI: Trans Lunar Injection) 및 달포획(LOI: Lunar Orbit Injection) 기동 시 대전 지상국의 가시성을 고려한 최적의 임무를 설계하였다. TLI 기동은 탐사선이 지구 주차궤도에서 지구-달 천이궤적으로 진입하기 위하여 주어지는 기동이며, LOI 기동은 탐사선이 지구-달 천이궤적에서 달의 중력권으로 진입하기 위하여 주어지는 기동이다. TLI 및 LOI 기동 시 대전 지상국에서의 가시성의 확보는 실제적인 미래 한국의 달 탐사를 대비하였을 때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TLI 및 LOI 기동 시 대전 지상국에서의 가시성을 모두 고려하여, 최소연료로 지구 주차궤도에서 달 임무궤도 진입까지의 모든 단계에 대해 임무설계를 실시하였다. TLI 및 LOI 기동 시 추력은 순간 추력(Impulsive thrust)로 가정하였으며, KSLV-II 발사체의 성능을 적용하여 설계하였다. 임무 설계 시 태양, 지구, 달의 섭동력을 고려한 N체 운동 방정식을 탐사선에 적용하였으며, 지구의 비대칭 중력장, 태양 복사압, 달의 J2 섭동에 의한 영향도 고려하였다. JPL의 정밀 천체력인 DE405를 사용하였고, 상용 소프트웨어인 SNOPT(Spares Nonlinear OPTimizer)를 이용하여 비행 궤적의 최적해를 도출하였다. 임무 설계 결과를 통해, 대전 지상국의 가시성을 고려한 TLI 및 LOI 기동의 크기에 의한 임무설계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최적화된 달 탐사 임무의 단계별 기동의 크기와 지구-달 천이 궤적의 형상 및 다양한 임무 요소들의 해석을 도출하였다.

  • PDF

No-Reference Visibility Prediction Model of Foggy Images Using Perceptual Fog-Aware Statistical Features (시지각적 통계 특성을 활용한 안개 영상의 가시성 예측 모델)

  • Choi, Lark Kwon;You, Jaehee;Bovik, Alan C.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1 no.4
    • /
    • pp.131-143
    • /
    • 2014
  • We propose a no-reference perceptual fog density and visibility prediction model in a single foggy scene based on natural scene statistics (NSS) and perceptual "fog aware" statistical features. Unlike previous studies, the proposed model predicts fog density without multiple foggy images, without salient objects in a scene including lane markings or traffic signs, without supplementary geographical information using an onboard camera, and without training on human-rated judgments. The proposed fog density and visibility predictor makes use of only measurable deviations from statistical regularities observed in natural foggy and fog-free images. Perceptual "fog aware" statistical features are derived from a corpus of natural foggy and fog-free images by using a spatial NSS model and observed fog characteristics including low contrast, faint color, and shifted luminance. The proposed model not only predicts perceptual fog density for the entire image but also provides local fog density for each patch siz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against human judgments regarding fog visibility, we executed a human subjective study using a variety of 100 foggy images. Results show that the predicted fog density of the model correlates well with human judgments. The proposed model is a new fog density assessment work based on human visual perceptions. We hope that the proposed model will provide fertile ground for future research not only to enhance the visibility of foggy scenes but also to accurate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defog algorith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