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슴부위

Search Result 14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출하 일령에 따른 오리육의 화학적 특성

  • Chae, Hyeon-Seok;An, Jong-Nam;Yu, Yeong-Mo;Kim, Dong-Hun;Ham, Jun-Sang;Jeong, Seok-Geun;Lee, Jong-Mun;Choe, Y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10a
    • /
    • pp.278-282
    • /
    • 2004
  • 본 연구는 오리고기의 사육일령에 따른 부위별 화학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오리고기의 단백질 함량은 70일령의 가슴 및 다리 육이 각각 21.13, 19.61%로 45일령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방은 45일령의 가슴 육이 1.04%이었으나 70일령에서는 1.38%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무기물에서 칼슘(Ca)의 함량은 가슴 및 다리 육에서 $142.1{\sim}161.1ppm$ 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사육일령에 따라서 가슴 육은 사육일령이 증가할수록 약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칼륨(K)의 함량은 가슴 육에서 45일령이 1469.7ppm이고 70일령 1883.1ppm으로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에서 methionine은 가슴 및 다리 육에서 0.43, 0.46%로 다리 육에서 약간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나, 사육 일령에서는 상호 차이가 없었다. Glutamic acid는 가슴 육보다 다리 육에서 약간 더 많이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콜라겐 함량은 45일령의 가슴살에서 0.65, 70일령 0.77g/100g으로 사육일령이 증가함에 따라 많았다. 껍질을 제거한 날개 육에서는 45일령이 1.98이었고 70일령이 2.13g/100g으로 70일령이 0.15g/100g 이상 많았다. 콜레스테롤은 가슴육의 45일령이 10.45, 70일령이 11.28mg/100g으로 사육일령이 증가함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

Comparison of Chemical Composition in Different Portions of Domestic Broiler Meat (국내 유통 닭고기의 부분육별 화학적 특성 조사)

  • 채현석;조수현;박범영;유영모;김진형;안종남;이종문;김용곤;윤상기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29 no.1
    • /
    • pp.51-57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omposition in different portions of domestic broiler meat. The broilers were obtained from slaughtering house, where the scale of slaughtering was more than 50,000 heads per day. The carcasses were separated by cutting into 7 portions such as wing, drumstick, drummette, breast, skin, thigh, and tenderloin. Moisture contents of drummette and thigh were 73.37% and 73.19%, whereas those of drumstick and wing were 75.65% and 75.76%, respectively. The portions of breast parts contained 4.20% higher protein, but 4.17% lower fat than those of leg parts. Overall mineral contents were relatively high for thigh when compared with breast. The content of Fe was higher by 1.8 folds(7.3ppm) in thigh than that in tenderloin(4.0ppm) and the content of Zn was higher in drummette than that in tenderloin. For amino acid compositions, the tenderloin contained more glutamic acid and methionine than the other portion meats. The portions of drumstick(3.97mg/g) and thigh (3.24mg/g) were higher in collagen contents than the other Parts. Wing portion had the lowest collagen content of 2.64mg/g, which was due to the removal of its skin.

Studies on the Extract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Actomyosin of Duck Muscle by Difference Scalding Method (침탕방법을 달리한 오리근육의 Actomyosin의 추출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 정인철;이형걸;문윤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1 no.4
    • /
    • pp.348-352
    • /
    • 1992
  • Investig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actomyosin was prepared from leg and breast muscle of duck treated by hard scalding and subscalding method and their extractability , ATPase activity , solubility and SDS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ere compared. The extractability of actomyosin in leg and breast muscle of duck by hard scalding was 7.84 and 39.84mg/g, whereas 4.79 and 28.04mg/g by subscalding respectively. Ca-ATPase activity of breast muscle wash higher than that of leg muscle. In case of leg muscle, hard scalding was higher tan subscalding. Breast muscle showed that subscalding was higher than hard scalding in less than ionic strength 0.08, and was lower than hard scalding in over ionic strength 0.08.Mg-ATPase was great in ionic strength and subcalding was relatively higher than hard scalding. Without regard to be treated method and part, the start point and end point of solubility were like. Hard scalded muscle and breast muscle showed that proteins in thin filament produced many extraction.

  • PDF

Content of Fat-Soluble Nutrients (Cholesterol, Retinol, and α-Tocopherol) in Different Parts of Poultry Meats according to Cooking Method (조리방법에 따른 가금류의 부위별 지용성 영양성분 함량 변화 조사: 콜레스테롤, 레티놀 및 알파-토코페롤)

  • Lee, Ji Hyun;Lee, Hee Na;Shin, Jung-Ah;Chun, Ji Yeon;Lee, Junsoo;Lee, Ki-Tea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4 no.2
    • /
    • pp.234-241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contents of cholesterol, retinol, and tocopherol in poultry meats (chicken, Korean native chicken, and duck) using saponification extraction and HPLC analysis. The cooking methods were boiling, grilling, stir-frying, deep-frying, steaming, roasting, and microwaving. Generally, contents of cholesterol increased after cooking. Especially, after deep-frying, large amounts of cholesterol were detected from legs of chicken (94.25 mg/100 g) and wings of Korean native chicken (132.96 mg/100 g). High cholesterol content was detected in wings (233.77 mg/100 g) from duck after microwaving. However, contents of retinol decreased after cooking. The retinol contents of breast meat from Korean native chicken were low ($0.86{\sim}0.56{\mu}g/100g$) compared to other meats ($1.10{\sim}22.66{\mu}g/100g$ in chicken and $1.96{\sim}36.80{\mu}g/100g$ in duck), whereas raw materials from wings of all poultry showed the highest tocopherol contents. Of the various cooking methods, stir-frying and deep-frying resulted in increased ${\alpha}$-tocopherol contents in meats.

Comfort and Body Temperature in Different Fabrics by Sensitivity Assessment (감각평가에 따른 원단의 쾌적감과 피부온도)

  • 전향란;신윤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45-147
    • /
    • 2000
  • 본 연구는 각기 다른 종류의 원단으로 운동복을 만들어 선수들에게 입혀서 운동을 20분간 실시하게 하여 원단에 따라 쾌적감을 평가하였다. 실험방법은 피부온도를 4부위 측정하였고 가슴부위에서 의복 내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매 5분마다 주관적인 쾌적감을 신고하도록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다른 종류의 원단으로 제작한 운동복에 따른 쾌적감과 피부온도의 변화와 의복내 온도의 변화를 알아봄으로서 원단별로 쾌적감을 느끼는 피부온도와 의복 내 온도를 찾아내고 운동복의 디자인이나 설계에 적용하여 쾌적한 운동복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 결과 동일한 원단에서 운동시의 쾌적감은 부위별 피부온도가 높을 때 보다 낮을 때에 쾌적감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운동 시에 발생하는 열을 의복이 열 평형을 이루기 위해 빨리 열을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의복의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각기 다른 원단에서는 시간별 감각평가를 비교한 결과 PE/Wool의 원단이 쾌적하다는 평가를 하였다. 처음 의복을 입었을 때와 운동 중 그리고 운동 후에 피부온도나 의복 내 온도 변화가 적을 때에 쾌적하다는 평가를 하였다.

  • PDF

출하 일령별 오리육의 수율, 물리적 특성 및 지방산 조성 변화

  • Chae, Hyeon-Seok;An, Jong-Nam;Yu, Yeong-Mo;Kim, Dong-Hun;Ham, Jun-Sang;Jeong, Seok-Geun;Lee, Jong-Mun;Choe, Y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10a
    • /
    • pp.283-287
    • /
    • 2004
  • 본 연구는 오리육의 출하 일령에 따른 수율 및 물리적 특성, 지방산 조성의 변화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지방산에서 Oleic acid(C18:1, n9)는 45일에서 70일령으로 증가함에 따라50.87에서 51.32%로 높아졌다. Docosahexaenoic acid(C22:6, n3, DHA)는 가슴 육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나 다리 육에서 $0.13{\sim}0.28%$로 미량이 검출되었다. 육색에서 적색 도를 나타내는 $a^{\ast}$값은 가슴부위에서 $16.67{\sim}17.92$를 나타냈고 다리는 $15.81{\sim}17.15$로 나타나 가슴 및 다리육의 적색도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가열 감량은 가슴 육에서 $26.37{\sim}28.79%$이고 다리 육은 $30.32{\sim}31.32%$로 다리 육에서 가열감량이 $2{\sim}4%$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단력에서는 45일령이 2.20, 70일령 2.84로 사육일령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오리고기의 평균치인 2.1kg의 부분 육별 수율은 통 다리가 14.1%, 통 날개 8.7%, 통 가슴 12.5%로 통 다리와 통 가슴의 비율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 PDF

The Effects of Body-Cathexis on Clothing Preferences (신체만족도가 의복 선호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41
    • /
    • pp.107-116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 스타일 선호에 신체만족도가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미국 여대생으로 177부의 설문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신체만족도는 신체 5 부위 (얼굴, 상체, 하체, 신장, 체중) 각각에 대해 측정되었고 의복스타일 선호는 의복이 몸에 타이트하게 끼는 정도에 대한 선호, 어두운 색상에 대한 선호, 허리, 힙(hips), 가슴(bust), 목(neck), 다리에 강조점을 두는 의복에 대한 선호로 측정되었다. 결과로 특정 부위에 대한 신체만족도는 그 부위에 관련된 의복스타일 선호와 관계가 있었다. 예로 응답자가 체중부위에 만족하면 할수록 몸에 타이트하게 끼는 의복과 밝은 색상의 의복, 허리와 힙을 강조한 의복을 선호하였다. 이성적 행동이론이 이들 결과를 설명하는데 사용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wearing Fitness of Women′s Ready-made Jackets Using 3D Scanner (3D Scanner를 이용한 여성용 기성복 재킷의 착의적합성에 관한 비교평가연구)

  • Kim, Haekyung;Eunyoung Suk;Park, Soonjee;Chuyeon Suh;Jiyoung L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10
    • /
    • pp.1707-1718
    • /
    • 2001
  • 본 연구 목적은 3차원 인체 스캐너를 이용하여 여자 기성복 재킷의 여유량을 비교, 분석하는 것으로, 2사이즈 7브랜드의 재킷의 공극량을 계측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재킷 단면둘레 분석 결과, B85(품), B8(허리)를 제외하고 브랜드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전반적으로, 브랜드간 제품치수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체와 재킷의 단면둘레 분석 결과, 재킷의 배둘레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피험자, 재킷 모두 사이즈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 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본사이즈 B85에서는 허리를 제외하고는 패턴 F가 가장 여유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B88의 경우, 부위별로 각기 다른 패턴에서 여유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각 부분마다 브랜드별로 그레이딩 룰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넷째, 착의 단면은 인체와 의복간의 여유량 분포를 명백히 보여주며, 어깨, 가슴, 엉덩이처럼 몸에 밀착되는 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해 패턴간, 각도별 변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 허리, 배에서는 옆보다는 앞, 뒤로, 가슴에서는 앞뒤 좌우의 30$^{\circ}$방향, 엉덩이의 경우, 옆, 뒤보다는 앞쪽에 여유량이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패턴 F가 가장 공극량이 많고, 패턴 D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이즈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t-검정 결과, 품과 배 부분에서, B88이 B85보다 공극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 기준부위인 가슴, 허리, 엉덩이 부분뿐만 아니라 품, 배둘레의 치수에 대응할 수 있도록 그레이딩 룰 값을 산정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Duck Meat Processing According to Feeding Management (사양관리에 따른 오리 육의 가공 적정성에 관한 연구)

  • Li, Guan-Hao;Choe, Il-Sin;Nam, Ki-Taeg;Kim, Sang-Hyun;O, Baatartsogt.;Lee, Chi-Ho;Choi, Kang-Duk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7 no.2
    • /
    • pp.203-208
    • /
    • 2007
  • Organic duck's carcass weight was lower than general duck's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breed and feeding metho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arcass percent among them. The rate of organic duck's fresh breast meat(17.6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eneral duck's(11.95%)(p<0.05). The rate of fresh leg meat rate was lower in organic duck,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p>0.05). The pH of breast and leg measured immediately after butchering were 6.48 and 6.73 in organic duck, respectively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p<0.05). According to the sensory test, the texture, odor, tenderness, and taste showed better preference in organic duck than those of broiler chicken. According to above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sensory test, organic duck showed higher pH, higher shear force, and lower cooking los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be very valuable to develop the exploitation of meat product in organic duck which had good quality and tastiness.

Changes in the girth of anthropometric variables during menstrual cycle in women university students (여자대학생의 생리주기에 따른 인체계측변인 둘레의 변화)

  • Kim, Young-Sun;Kang, Seol-Hee;Kim, Yun-Jung;Park, Won-Yeop;Jang, Jee-Hun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4 no.5
    • /
    • pp.421-42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e in the girth of anthropometric variables during menstrual cycle, and to provide basal data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development during pre-menstrual phase and menstrual phase. Participants were 10 healthy women university students without menstrual irregularity, subjective premenstrual syndrome,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dymenorrhea, obstetrician and gynecologic disease. Chest girth(axillary and papillary), waist girth(half point between iliac crest and 12th rib, and navel), and hip girth were repeatedly measured in menstrual phase, follicular phase, luteal phase during single menstrual cycle. As a result, axillary chest girth in menstrual pha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at in luteal phase. Papillary chest girth and waist girth at half point between iliac crest and 12th rib in menstrual phas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ose in follicular phase. No significance was shown in chest and waist girth between follicular and luteal phase. No significance was shown in hip girth during menstrual cycle. In conclusion, sign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chest and waist girth during menstrual cycle. And it is suggested that succeeding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with reference to body weight, body fat, blood and local hormone concentration during menstrual cy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