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슴둘레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n′s Basic Bodice Patterns According to Somatotypes (체형별 남성상의원형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Jinsun;Lee, Wonj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10
    • /
    • pp.1754-1762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적합성과 기능성이 고려된 체형별 남성 상의 원형 패턴을 개발하는데 있다. 피험자는 인체계측자료와 측면체형 사진에 의해 선정하고, 체형은 굴신체형, 표준체형, 반신체형으로 분류하였다. 체형별 실험 원형 패턴의 평가를 위하여 기존원형을 선정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착의평가 결과 표준체형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적합하였으나, 굴신체형과 반신체형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앞길이와 등길이 뿐만 아니라 여유량과 윗 가슴둘레에 서 나타난다. 앞품과 뒤품은 외관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며, 증가된 옆품은 앞품과 뒤품의 부족분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실험패턴은 기존패턴보다 각 체형에 더욱 적합하며, 체형 적합성과 동작기능성이 고려된 의복 제작을 위한 패턴설계는 인체의 구조와 동작연구에 의해 가능하였다. 2. 기본원형 패턴 설계를 위한 필요치수는 목뒤높이, 등길이, 앞길이, 윗 가슴둘레, 앞품과 뒤품이며, 체형분류의 기준은 윗 가슴둘레, 앞품, 뒤품, 앞길이, 등길이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가슴둘레 선은 [(B/2+B/10), 뒤진동깊이는 [(B/10+목뒤높이/10)]로 설정하고, 앞내림은 1.5cm로 하였다.

  • PDF

Plus-size여성 체형을 위한 재킷원형 개발 및 면 분할에 따른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 정동림;김애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34-34
    • /
    • 2003
  • 본 연구는 체형의 특성이 현저히 나타나는 40~50대의 Plus-size 여성을 대상으로 체형의 특징이 고려된 치수체계에 대해 맞음새가 우수한 재킷을 개발하고, 이 원형을 토대로 하여 체형의 단점을 보완할 시각적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Plus-size에 해당하는 여성을 선정하여 수트(suit)를 제작한 후 착의 평가하여 Plus-size에 적합한 수트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lus-size 여성의 착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착용실태 조사는 판매자의 측면의 심층면접과 소비자 측면의 착장조사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착용실태조사 결과, Plus-size 여성은 의복구매시 맞음새와 편안함을 중시하고 상완부와 어깨의 두께, 가슴둘레와 복부의 비만등의 체형단점을 갖게 되므로 판매자측에서는 의복제도 시에 등품, 앞품, 상완부, 복부의 여유분을 고려하고 있었다. 시각적 효과로는 세미피트 스타일의 프린세스 라인과 허리선+20, 30cm의 재킷길이, 그리고 테일러드 칼라, 스테인 칼라, 라운드 네크라인이 판매자과 소비자의 양측면에서 선호되고 있었다. 2. Plus-size 여성의 체형에 맞음새가 우수한 재킷원형을 개발하기 위해 Plus-size 여성복의 재킷 원형 중 4종의 기존원형을 선정하고, 착의 피험자 3인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착의실험을 통해 연구 원형을 개발하고 평가단을 구성해 객관적인 평가 33문항에 대한 외관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1) 가슴둘레 여유분을 8~9cm, 허리둘레 여유분을 6~7cm, 엉덩이둘레 여유분을 6~8cm로 적용하여 맞음새를 향상시켜 날씬해 보이는 효과를 높였다. 2) 진동깊이 계산식은 (B/10+10.5)+2cm 적용하고, 진동두께 계산식은 (B/8-1.5)+2cm를 적용함으로써 진동깊이와 진동두께의 편차가 작아짐으로 인해 소매부위와 진동부위의 맞음새를 향상시켰다. 3) 가슴둘레의 증가에 따라 등길이에 앞길이 치수를 증가시키는 계산식을 설정하여 앞가슴둘레의 맞음새를 향상시켰다. 4) Plus-size여성의 경우 허리부분의 신체적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이드 판넬(side panel)의 재킷원형으로 하였다. 앞 허리와 배 부분의 지방 침착이 크므로 앞 허리둘레 다아트 폭과 앞판 사이드 판넬(side panel) 솔기 다아트 폭을 작게 설정하고, 뒤판 사이드 판넬 솔기 폭을 크게 설정하였다. 5) 어깨끝점 사이길이는 다른 부위의 체지방 침착과 같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않으므로 표준체형에 비해 좁게 설정하였다.

  • PDF

Changes in the girth of anthropometric variables during menstrual cycle in women university students (여자대학생의 생리주기에 따른 인체계측변인 둘레의 변화)

  • Kim, Young-Sun;Kang, Seol-Hee;Kim, Yun-Jung;Park, Won-Yeop;Jang, Jee-Hun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4 no.5
    • /
    • pp.421-42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e in the girth of anthropometric variables during menstrual cycle, and to provide basal data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development during pre-menstrual phase and menstrual phase. Participants were 10 healthy women university students without menstrual irregularity, subjective premenstrual syndrome,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dymenorrhea, obstetrician and gynecologic disease. Chest girth(axillary and papillary), waist girth(half point between iliac crest and 12th rib, and navel), and hip girth were repeatedly measured in menstrual phase, follicular phase, luteal phase during single menstrual cycle. As a result, axillary chest girth in menstrual pha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at in luteal phase. Papillary chest girth and waist girth at half point between iliac crest and 12th rib in menstrual phas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ose in follicular phase. No significance was shown in chest and waist girth between follicular and luteal phase. No significance was shown in hip girth during menstrual cycle. In conclusion, sign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chest and waist girth during menstrual cycle. And it is suggested that succeeding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with reference to body weight, body fat, blood and local hormone concentration during menstrual cycle.

Design of Torso Patterns for Middle Aged Women (중년여성을 위한 토루소 원형 설계에 관한 연구)

  • 이진희;조현정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1 no.8
    • /
    • pp.111-121
    • /
    • 2001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상반신을 대상으로 기존원형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 후 이를 기본으로 제도법을 수정·보완하여 중년여성 체형에 맞는 상반신 토루소 연구원형을 제작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연구 대상은 35세에서 59세의 중년여성으로 하였으며, 45세를 전후로 체형이 변한다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중년 전기(35세∼45세), 중년 후기(46세∼59세)로 나눠 연구하였다. 연구원형 제작을 위해서 97년 국민체위조사보고 자료에 나온 35세∼59세에 해당하는 신체치수를 사용하여 대학에서 교재로 사용되고 있는 4가지 원형을 설계하고 이를 CADsystem을 이용하여 각 Pattern간의 차이를 정확하게 비교하고, 4가지 원형의 실험복을 제작하여 착의 실험을 통해 객관적 평가 11항목, 주관적 평가 23항목에 대해 설문 조사를 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기초로 연구원형을 제작하였고 제작 후 연구원형의 신체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원형과 마찬가지로 착의 실험을 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원형들이 착용시 진동부분과 뒤중심부분의 당김으로 인해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관상으로는 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 부분에 여유분량이 중년여성 체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가슴선, 허리선, 엉덩이선의 위치 역시 중년여성의 체형과는 맞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중년 전기에 비해 중년 후기에서 수정 보완이 더 요구되었는데 특히 나이가 들수록 등이 뒤로 젖혀지는 현상으로 인해 측면에서 봤을 때 허리가 들어가는 현상이 두드러져 뒤 허리부분의 수정이 요구되었다. 이에 연구원형에서는 기존원형에서 나타났던 가슴선, 허리선, 엉덩이선의 위치 조절을 위해 앞목기준선을 위로 2cm 올려 주었고 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 부분에 여유분을 각각 2cm더 주어 제작하였으며 중년 후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뒤허리부분의 문제점을 허리중심선 설정시 1∼2cm안쪽으로 설정하여 체형변화를 반영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원형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착의 평가 결과는 착용시 기존원형에서 나타났던 진동부분과 뒤중심부분의 당김이 없어지고 외관상 가슴선, 허리선, 엉덩이선이 기존원형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외관에서도 전·후기 모두 기존원형 보다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Study of constitutional difference on man's penis and women's breast (남자 음경(陰莖)과 여자 유방(乳房)의 체질별 크기에 관한 연구)

  • Ryu, Je-hun;Kim, Dal-rai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
    • v.11 no.1
    • /
    • pp.281-293
    • /
    • 1999
  • 1. The backdrop of the study. Accurate diagnasis of the constitution is very important Sasang constitution medicine. This study make research of man's penis and woman's breast, make observation these are significant or not in diagnosis of the constitution. 2. The process. The constitution of the people was diagnosed by QSCCII, specialist, (86 persons, men 39, women 47), the men was taken measure of atony and excited length, thickness of the penis with a rule, thread. the women have a personal interview about her height, weight, the girth of the breast, brassiere cup size. 3.The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Tae-eum-in Is 28 persons(32.6%), So-eum-in 37 persons (43%), So-yang-in 21 persons(24.4%). Man's observation is insignificant statistically, woman's observation is insignificant statistically too.

  • PDF

A Suggestion to Revise Some Morphological Terms in Insect External Structure (몇 가지 곤충 외부구조 명칭의 재조정 제안)

  • Lee, Young In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6 no.4
    • /
    • pp.435-436
    • /
    • 2017
  • Subgena and clypeus are a continuous plate, so should be collectively called as peristoma. Subsequently, subgenal sulcus is revised into peristomal sulcus or cranio-stomal sulcus. Ptilinal suture on dipteran adult head is revised into ptilinal fissure. Notal and pleural wing processes are revised into notal and pleural process, respectively. The lower plate of abdomen is ventum, while that of thorax is sternum.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Volumetric Measurement of the Human Female Breast (유방용적 측정과 인체계측에 관한 연구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 Lee, Kyung-Mi;Park, Hei-Sun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8 no.12
    • /
    • pp.249-256
    • /
    • 2000
  • 본 연구는 유방절제수술을 받은 여성들이 착용하는 브래지어와 보정물의 중량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예비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중년여성 12명을 대상으로 31항목에 대한 인체계측 및 석고법에 의한 유방용적측정을 실시하고 얻어진 유방관련 항목자료와 각 치수별 무게자료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유방용적 측정결과 모든 피험자에 있어 오른쪽과 왼쪽 유방용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브래지어 컵 치수는 가슴둘레와 밑가슴둘레간의 차이로 결정되는 것이므로 유방용적과 브래지어 치수의 크기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절반 이상의 피험자가 자신의 브래지어 치수를 잘못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haracteristics of Ease in Men's Custom-fit Business Jackets (남성 맞춤 정장 재킷의 여유량을 결정짓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 Kang Yeosun;Choi Hei-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8 no.12 s.138
    • /
    • pp.1605-161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monly accepted ease for a custom-fit business jacket, which provides all customers with the optimum fit regarding their individual body sizes, shapes as well as their personal preference, and also to characterize the factors which affects the ease amount, thereby, supply the reference data to manufacturers of the apparel industry. This study consisted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s well as sensory evaluations, and analysed ease amount by body sizes, ages, fit satisfaction, self-perception of body, and the prefered fit levels. There were 272 subjects for anthropometric measurement of which 128 subjects were applied for ease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The subjects were males of 20 to 65 years old. The ease at chest was the most sensitive to body sizes and shapes, while waist and hip were easily modified to accommodate the silhouette of the jacket. The main dimensions affecting individual perceptions of fit and ease were the characteristics of body shape, in particular, girth, followed by age. Customers paided most attention to the shoulder fit while customers who preferred a more fitted line showed more concern with ease for jacket fit. It was clearly observable in case of waist fit preference. In addition, the preferred fit at chest, waist and hip would be changed by the perception of ons's hip size.

A Study on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wearing Fitness of Women′s Ready-made Jackets Using 3D Scanner (3D Scanner를 이용한 여성용 기성복 재킷의 착의적합성에 관한 비교평가연구)

  • Kim, Haekyung;Eunyoung Suk;Park, Soonjee;Chuyeon Suh;Jiyoung L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10
    • /
    • pp.1707-1718
    • /
    • 2001
  • 본 연구 목적은 3차원 인체 스캐너를 이용하여 여자 기성복 재킷의 여유량을 비교, 분석하는 것으로, 2사이즈 7브랜드의 재킷의 공극량을 계측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재킷 단면둘레 분석 결과, B85(품), B8(허리)를 제외하고 브랜드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전반적으로, 브랜드간 제품치수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체와 재킷의 단면둘레 분석 결과, 재킷의 배둘레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피험자, 재킷 모두 사이즈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 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본사이즈 B85에서는 허리를 제외하고는 패턴 F가 가장 여유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B88의 경우, 부위별로 각기 다른 패턴에서 여유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각 부분마다 브랜드별로 그레이딩 룰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넷째, 착의 단면은 인체와 의복간의 여유량 분포를 명백히 보여주며, 어깨, 가슴, 엉덩이처럼 몸에 밀착되는 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해 패턴간, 각도별 변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 허리, 배에서는 옆보다는 앞, 뒤로, 가슴에서는 앞뒤 좌우의 30$^{\circ}$방향, 엉덩이의 경우, 옆, 뒤보다는 앞쪽에 여유량이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패턴 F가 가장 공극량이 많고, 패턴 D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이즈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t-검정 결과, 품과 배 부분에서, B88이 B85보다 공극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 기준부위인 가슴, 허리, 엉덩이 부분뿐만 아니라 품, 배둘레의 치수에 대응할 수 있도록 그레이딩 룰 값을 산정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 PDF

A Study on Establishment of Brassiere Size and Clothing Pressure for the Twenties-aged Women (20대 여성의 브래지어 치수설정과 의복압에 관한 연구)

  • 박유신;임영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2 no.8
    • /
    • pp.15-27
    • /
    • 2002
  • To set the measurements of bras for women in their 20s, considering the comfortableness in wearing and tightness, this pap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concerning breasts and bras as well as measurements of body and contact surface pressure. Easier and more accurate method of determining cup sizes based on the breast circumference is recommended to make up for the problem of current bra size system that can falsely measure cup sizes. Lower chest circumference was set at 5 cm equal intervals, and the breast circumference applicable to the cup size was set starting from the standard, 18 cm (A-cup), at 2 cm equal intervals, which gave the best coverage (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