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스배출

Search Result 3,08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Estimation of GHG Emissions by Flooding Water Depth in a Rice Paddy Soil using DNDC (DNDC를 이용한 물관리방식별 논토양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 Oh, Yun-Gyeong;Choi, Jin-Yong;Yoo, Seung-Hwan;Lee, Tae-Seok;Park, Na-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62-462
    • /
    • 2011
  • 1994년에 발효된 기후변화협약에서 우리나라는 선발 개도국으로 분류되어 온실가스 의무감축 대상국에서 제외되었으나 제2차 공약기간 (2013~2017년)부터는 온실가스 감축 의무이행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어 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자료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가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으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시나리오 설정이나 모의실험 연구는 계획 중이거나 시작 단계에 있다. 이 중 농경지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은 환경조건에 따라 온실가스를 배출하거나 흡수할 수 있는 양면성을 갖기 때문에 미래의 온실가스 배출을 예측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저감방안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을 적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모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물생육과 토양환경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농업생태계 내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을 모의하는 DNDC (Denitrification-Decomposition)를 이용하여 다양한 물관리 방식을 적용하여 벼 재배시 논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물관리 방식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모의를 위해 관개시기를 조정하여 상시담수와 간단관개시의 시나리오를 적용하고, 담수심의 깊이에 따라 심수관개시와 최소 담수심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이는 향후 농경지를 대상으로 관개 방식 개선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고 지속가능한 토지이용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Exhaust Gas Analysis System (배출가스 검사시스템)

  • Kim, Gwan-Hyung;Oh, Am-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544-545
    • /
    • 2015
  • 오늘날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유해 가스로 인한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하여 많은 환경규제를 받고 있다.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들은 출시되는 자동차나 운행 중인 자동차에 대하여 배출가스 검사를 의무적으로 실시하여 배출가스에 의한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법제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배출가스 검사/진단시스템" 개발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배출가스, RPM, 소음을 측정할 수 있는 MCU(micro controller unit) 기반의 데이터 계측기에 대한 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MCU를 기반으로 배출가스(HC, CO, CO2 등) 데이터 확보를 위한 광학 필터처리 기술 및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검토하였다. 자동차의 RPM을 측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에 대한 검토와 배출가스 및 소음을 측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RS-485, TCP/IP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배출가스 검사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Identifying Key Factors to Affect Vehicle Inspection and Maintenance(I/M) Test Results Using a Binary Logit Model (California Case Study) (이항로짓모형을 이용한 자동차 배출가스 검사결과에 미치는 요인분석(미국 캘리포니아 사례를 중심으로))

  • Chu, Sa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4 no.3 s.89
    • /
    • pp.189-195
    • /
    • 2006
  • For the past decades, vehicle emissions has been a major source of air pollution in urban areas Vehicle inspection and maintenance (I/M) test programs were developed for major metropolitan areas to reduce urban air pollution. However. there are a few studies of exploring major factors to influence I/M test failure. This study develops a logit model to identify key factors affecting overall test failure, using the vehicle I/M test data from California in October 2002. The model results indicate that vehicle age, odometer reading, engine size, vehicle make, presences of emissions control equipment, and test typ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bability of I/M test failure.

LMDI Decomposition Analysis for GHG Emissions of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LMDI 방법론을 이용한 국내 제조업의 온실가스 배출 요인분해분석)

  • Kim, Suyi;Jung, Kyung-Hwa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0 no.2
    • /
    • pp.229-254
    • /
    • 2011
  • In this paper, we decomposed Greenhouse-Gas emissions of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using LMDI (Log Mean Divisia Index) method. Changes in $CO_2$ emissions from 1991 to 2007 studied in 5 different factors, industrial production (production effect), industry production mix (structure effect), sectoral energy intensity (intensity effect), sectoral energy mix (energy-mix effect), and $CO_2$ emission factors (emission-factor effect). By results, the structure effect and intensity effect has a role of reducing GHG emissions and The role of structure effect was bigger than intensity effect. The energy mix effect increased GHG emissions and emission-factor effect decreased GHG emissions. By time series analysis, IMF regime affected the GHG emission pattern. the structure effect and intensity effect in that regime was getting worse. After 2000, in the high oil price period, the structure effect and intensity effect is getting better.

  • PDF

Study on the reduction of green house effect gas emission by RORO ship coastal transport of import-export container cargo (RORO선을 이용한 수출입컨테이너화물의 연안운송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 삭감에 관한 연구)

  • Kim S. H.;Koh C. D.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6 no.3
    • /
    • pp.16-25
    • /
    • 2003
  • In this paper, the reduction of green house effect gas CO₂ emission and NOx gas emission by using the RORO ship coastal transport of import-export container cargo was investigated. At first, the domestic CO₂ gas emission and the transportation of import-export container cargo were Investigated. Next, the characteristic of a RORO ship and CO₂ emission standard and NOx emission standard were investigated. And also, the reduction of CO₂ emission and NOx emission by the shift of coastal transport from land transport for the transportation of import-export container cargo between Kyongin area and Pusan Port were calculated. Finally, the change of CO2 and NOx gas emission due to the change of the share of coastal transportation and the load efficiency of RORO ship are investigated.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shift of RORO ship coastal transport from land transport was very effective to reduce the CO₂ emission but it was no good to reduce the NOx emission.

  • PDF

SPECIAL 1 REPORT - 배출권 거래제 입법화 의미와 영향

  • 한국시멘트협회
    • Cement
    • /
    • s.195
    • /
    • pp.6-12
    • /
    • 2012
  • 온실가스배출권거래법이 2015년 1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는 현재 시행중인 배출가스 목표관리제에서 한발 더 나아가 정부가 그동안 추진해 온 녹색성장 정책에 따른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적극적으로 이루기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또한 배출권 거래제를 다른 개도국보다 빨리 도입함으로써 향후 기후변화협약 논의 과정에서 선진국과 개도국간의 갈등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국제적 리더십을 확보하고자 하는 정책적 의도도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는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신은주 연구위원의 '배출권 거래제 입법화 의미와 영향'보고서를 통해 배출권 거래제 추진의 의미와 영향, 외국의 배출권 거래제 현황 및 시사점에 대해 살펴본다.

  • PDF

A Study on the Fuel Mix Change Considering the Certified Emission Reduction (탄소배출권을 고려한 전원구성변화에 대한 연구)

  • Jeong, Hui-Won;Ku, Bon-Hui;Cha, Jun-M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481-482
    • /
    • 2015
  • 2015년부터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를 위해 교토의정서에서 제시한 메커니즘 중 탄소배출권 거래 제도를 도입하였다. 시장개념이 기본인 탄소배출권 거래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량을 더욱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감축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미 선진국들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여러 움직임들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배출권 거래 제도는 유럽을 중심으로 활성화 되었다. 이와 동시에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을 통하여 전력 발전부문에서 큰 감축효과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2008년 서유럽으로부터 시작된 유럽지역 경제악화는 배출권 제도의 예상치 못한 단점을 보여주는 사례가 되었다. 이와 다르게 미국의 경우 배출권 제도가 아닌 전원구성변화를 통해 비교적 안정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였다. 기존 기저 발전원을 담당하던 원전과 석탄화력 발전을 대체하기 위하여 가스발전의 활성화를 도입하였고,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8년 사이에 약 16억톤을 감소시켰다. 이에 본문에서는 탄소배출권 거래 제도의 도입과 동시에 전원구성변화가 이루어졌다고 가정하여 탄소 배출권 가격을 고려하였을 때 계통운영비용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탄소 배출량에 따른 가격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 PDF

SPECIAL 2 LEGISLATION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시행령 입법예고

  • 한국시멘트협회
    • Cement
    • /
    • s.195
    • /
    • pp.13-19
    • /
    • 2012
  • 정부가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안)을 마련하고 지난 7월 23일 입법예고했다. 이번 시행령은 시장기능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하고 거래하는 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이 지난 5월 14일 제정 공포됨에 따라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 및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의 수립, 배출권 할당대상업체의 지정,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 배출량의 보고 검증 인증, 배출권의 제출 이월 차입 및 상쇄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기 위해서이다. 정부 측은 이번 시행령(안)은 EU 등 해외사례를 참고하여 글로벌 스탠더드와 우리 경제의 현실을 반영하여 배출권거래제를 설계했다고 밝혔다.

  • PDF

Greenhouse Gas Mitigation Policies and National Emission Targets of Korea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책과 우리나라의 부문별 감축여건)

  • Kim, Ho-Se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2 no.9
    • /
    • pp.809-817
    • /
    • 2010
  • Reducing emissions across all sectors requires a well-designed policies tailored to fit specific national circumstances. And every climate policymaker would like to have an accurate method of assessing the quantitative impacts of future policies to address GHG-related problems. Estimates of future changes in a nation's GHG emissions, the expected environmental impacts of future energy sector developments, and the potential costs and benefits of different climate technology and mitigation policy options are desirable inputs to policy making. Various mitigation analysis and modeling approaches helped to fill the needs for these kinds of information, and as such has been an important part of national mitigation policy making in many countries for most of two decades. This paper provides a overview of GHG mitigation policies and mitigation analysis, and sectoral mitigation circumstances and potential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stimation Model for Greenhouse Gas Emission in Construction Life Cycle (건설생애주기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모델 비교분석)

  • Kim, Tae-Yeong;Park, He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07-108
    • /
    • 2012
  • 본 논문은 건설산업의 신뢰성 있는 온실가스 추정을 위해 건설단계에서 사용되는 장비, 자재 및 에너지 사용량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방법론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모델인 Road Construction Emission Model과 시설물탄소배출량 산정 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였다. 건설장비만을 고려한 배출량 추정은 사용장비의 각종 특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자재 및 에너지사용에 따른 배출량 추정은 장비의 사용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토목공사에서 배제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건설산업의 온실가스배출량 측정은 장비의 사용 또는 자재 및 에너지사용에 따른 포괄적인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과 이를 위한 기반확충이 이루어져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