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설 설계

Search Result 39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 between Culture and User Mental Model of the File System (사용자의 문화적 특성에 따른 파일 시스템 멘탈모델 파악을 위한 방법론 연구 -Meta Tag Model과 Hierarchical Model을 중심으로-)

  • Maeng, Seung-Woo;Kim, Jung-Ha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541-547
    • /
    • 2007
  • 최근 디지털 컨텐츠의 기하급수적인 증가와 함께 사용자가 접하고 관리해야 하는 파일의 양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폴더의 계층구조가 넓고 깊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현재 파일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사용자 자신에게 의미 있는(semantic) 계층구조(hierarchical structure)형태의 폴더 내에 파일을 저장하는 방식과 Meta Tag를 사용한 방식이다. 이러한 두 가지 파일시스템을 사용자가 인식하고 Conceptual Model을 형성해 가는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리적, 역사적 전통 등의 문화적 요소들이 기저에서 작용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문화적 성향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 간의 File System을 인식하고 구조화하는데 있어서 차이점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수립 하였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파일 시스템의 사용 행태를 분류하고, 이러한 행태들이 사용자의 문화적 요소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하여 페이퍼 프로토타이핑 등의 기법을 사용하여 실험을 설계 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모델의 검증을 위하여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하여 실효성 있는 가설검증방법에 대한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Inclusion Polymorphism과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 구조에 의거한 디자인패턴 해석

  • Lee, Rang-Hyeok;Lee, Hyeon-Woo;Go, Seok-Ha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7.05a
    • /
    • pp.55-68
    • /
    • 2007
  • 디자인 패턴은 새롭게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검증된 지식, 관용법, 원칙들을 체계화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디자인 패턴은 특정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검증된 설계 방법에 이름을 붙인 것이다. 그러므로 적절한 디자인 패턴 사용은 1) 개발자들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도움을 주며, 2) 하급자가 고급기술을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3) 또한 사용된 디자인이나 아키텍처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4) 만들어진 시스템의 유지 보수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반면에 필요하지 않은 곳에 까지 디자인패턴을 사용하게 되면 소프트웨어를 복잡하고, 유지보수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디자인 패턴의 분류는 수 많은 패턴을 비슷한 속성을 지닌 그룹들로 조직화 하는 것이다. 이는 개발자가 특정 문제에 맞는 디자인 패턴을 쉽게 선택 할 수 있도록 도와 줄 뿐만 아니라, 디자인 패턴의 주요특성을 빠르게 이해하고 간파 할 수 있게 한다. 그래서 Beck 이 디자인패턴을 소개한 이후 GoF, Buschmann, Grand, Antoy 등은 디자인 패턴을 단순히 열거를 통해 소개하지 않고, 각자의 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패턴을 설명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객체지향 설계의 근본 개념인 Polymorphism (Inclusion Polymorphism) 과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설계 원칙' 그리고 이 근본 원칙들이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에 나타나는 구조적 특정에 의거해 디자인 패 턴 해석을 수행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1) 객체지향의 근본 원칙으로 표현 되는 패턴과 2) 설계자의 전문적 인 Art를 포함하고 있는 패턴으로 분류하는데 있다.3: 재미는 용이성을 통해 채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4: 유용성은 채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5: 용이성은 채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6: 용이성은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자발적으로 이러닝을 채택할 수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PLS 분석도구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설6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97)은 배움의 용이성, 기억의 용이성, 오류, 효율성, 만족성으로 분류하고 있고(Nielsen, 1997), Shneiderman(1998)는 효과성(직무시간, 배움의 시간), 효율성(기억의 지속시간, 오류), 만족도를 품질의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소프트웨어의 품질은 소프트웨어 계획, 개발, 성장과 쇠퇴의 모든 과정에 적용되며, 환경적 변화에 따라 사용자들의 정보욕구를 적절하게 반영하여 만족도를 높이 는 것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에 대한 연구들 은 보편적인 평가 항목들을 대상으로 측정하여 일반적인 품질기준을 제시하고 있고, 유사한 측정 내용들이 중복되어 있다. 이러한 경향은 산업별 특수성이 강한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정확한 품질측정이 어려웠고, 품질측정에 대한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나타난 방법론이 최종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얼마나 적절하게 시스템에 반영했는지에 대한 사용성(Usability) 측정이다. 사용성에 대한 정의는 사용자들이 실질적으로 일하는 장소에서 직접 사용자들의 시스템 운용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ISO9124-1

  • PDF

교량의 설계 및 해석

  • 이희현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5 no.1
    • /
    • pp.11-14
    • /
    • 1992
  • 최근 교량공학자들의 공통관심사는 초대형 구조물을 가설하고, 적절한 유지관리에 의해 기존 구조물의 공용수명을 연장시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고성능 컴퓨터 산업의 발달로 인한 구조해석의 정밀화, 경량골재 및 고강도 재료의 개발, 용접성과 시공법의 발달 및 초대형 크레인과 같은 건설기자재의 개발 등으로 인하여 초대형 구조물의 가설은 외국에서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구조물의 공용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첨단계측장비와 신호처리기술, 신뢰성이론, 피로파괴이론 및 system identification technique 등의 발달로 인해 비교적 정확하게 교량구조물의 손상부위와 손상정도의 파악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가까운 시일내에 100년 이상의 공용수명을 갖는 초대형 교량이 출현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교량 공학자들은 앞으로 장대교량의 설계와 시공 및 유지관리의 완전 국산화를 위한 연구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hypothesis of integrated part for product improvement (제품개선을 위한 부품통합 설계가설에 대한 연구)

  • Choi, Jun-Ho;Lee, Kun-Sang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8.11a
    • /
    • pp.1176-1180
    • /
    • 2008
  • This paper represents a study on design hypothesis to improve properties of a product. The functional requirements and function structure of various technical products are analysed. From the above analysis we could formulate one hypothesis. This hypothesis also satisfies basic rules clarity, simplicity and safety that are required in all design cases. The hypothesis says that functional requirements is refined to improve and if there are components which have the same function, they can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and improved. A one-handed faucet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above hypothesis to a two-handed faucet. The design of heat exchange tester was be improved successfully through the hypothesis.

  • PDF

Brain Activations on the Hypothesis-Generating and Hypothesis-Understanding in Pre-Service Teachers not Majoring in Biology,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Biology and Biologists (생물전공 및 비전공 예비교사들과 생물학자들의 가설 생성 및 이해에서 나타나는 두뇌 활성 차이)

  • Kwon, Yong-Ju;Lee, Jun-Ki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3 no.2
    • /
    • pp.173-183
    • /
    • 2009
  • We aimed to examine difference between the brain activation pattern based upon hypothesis-generating and hypothesis-understanding among the pre-service teachers not majoring in biology, the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biology and the biologists using fMRI. We have designed two sets of task paradigm on the biological phenomena: hypothesis-generating and hypothesis-understanding and thirty six healthy participants (twelve participants per group) performed the tasks. The result was showed that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brain activation patterns in hypothesis-generating on the biological phenomena among three groups, 2) the left middle frontal gyrus in the part of DLPFC region was play an important roles of hypothesis-generating and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The superior ability of biologists were based upon the activation of middle frontal gyrus which has secondary integration of abstract information, and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brain activation patterns in hypothesis-understanding on the biological phenomena among three groups. These findings provided that scientist might be skillful in generating a new scientific knowledge.

  • PDF

The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n Learner Flow in e-Learning Community (전자교육공동체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학습자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 Kim, Sung-Wa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1 no.6 s.44
    • /
    • pp.87-97
    • /
    • 2006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have on learner flow in e-learning community.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a potential model and five hypotheses were suggested.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among 62 members of one e-learning community for preparatory teacher Cronbach alpha of the questionnaire was.8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ree hypotheses were adopted: Perceived usefulness will affect on attitudinal flow, Perceived ease of use will affect on attitudinal flow. and Attitudinal flow will affect on behavioral flow. Two hypotheses were rejected;. Perceived usefulness will a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ase of use will affect on behavioral flow. The model revised through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had good-fitness. That is. overall fit measures (RMSEA, CFI. NNFI). indexes that show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were quite good.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important strategies for designing e-learning community in order to promote learner flow.

  • PDF

3-D Aeroelastic Model Test of a Cable-Stayed Bridge with a Main Span of 1,200m (주경간장 1,200m 사장교의 3차원 풍동실험)

  • Sin, Seung-Hwan;Kim, Yeong-Min;Gwak, Yeong-Hak;Lee, Hak-Eu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70-70
    • /
    • 2011
  • 사장교의 적용지간이 증가하여 초장대화하면서 구조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시도된 적이 없는 주경간 1,200m 사장교의 내풍안정성을 검토하기위하여 3차원공탄성 모형을 제작하고 풍동실험을 수행하였다.(그림1 참조) 실험대상 구조물은 내풍안정성 증대를 위해 유선형 박스거더를 채용하고 케이블이 거더와 함께 비틀림에 저항하도록 2면 케이블을 적용하였다.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보강형 자중감소를 위해 전경간을 강박스로 계획하였으며 측경간에 부반력제어를 위한 Counter Weight을 적용하였다. 실험대상 구조물은 완성계, 가설계95%, 가설계50%, 가설계45%로 모형을 해체하면서 진행하였고 가설단계 별로 내풍케이블의 수량과 형상을 달리하여 내풍안정성 개선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3차원 풍동실험 결과 완성계에서 교량의 안전성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와류진동, 플러터, 버페팅과 같은 유해한 진동현상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시공중 내풍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대상교량에 내풍케이블을 설치하고 내풍케이블의 수량 및 배치형상에 따른 진동제어 효과를 검토하였다. 본 실험은 현재 풍동실험 요소기술을 이용하여 1,200m급 사장교 풍동실험을 수행하였고 이에 따라 교량이 초장대화 되면서 스케일다운에 따른 보강형질량, 케이블 간격 등 실험모형 제작상 문제점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향후 1,000m 이상급 초장대 사장교 내풍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sign Optimization of Earth Retaining Walls Using the Taguchi Method (다구찌 기법을 활용한 흙막이 가설공법 최적설계 방안)

  • Moon, Sungwoo;Kim, Sungbu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8 no.1
    • /
    • pp.83-89
    • /
    • 2017
  • Temporary structures provide the accessible working area when building a permanent building structure in the construction operation. Executed in a natural environment, the temporary structure is prone to the external influence factors of underground water, soil conditions, etc. These factor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in designing the temporary structu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external influence factors in designing a more reliable earth retaining wall. The research methodology is based on the Taguchi method that has been studied to improve product quality in the industry. An orthogonal array was developed to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xternal influence factors and the internal influence factors. A sample cas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Taguchi method can be used in planning a more reliable temporary structure for earth retaining walls.

사장교의 해석 및 설계

  • 방명석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5 no.1
    • /
    • pp.23-27
    • /
    • 1992
  • 형교와 현수의 장점을 결합시켜 개발된 교량형식인 사장교는 시공성과 경제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국내에서도 1985년에 완공된 진도대교와 돌산대교를 비롯하여 1989년에 완공된 올림픽대교, 현재공사중인 팔당대교 및 설계중에 있는 서해대교 등 5개의 교량이 있다. 외국의 경우를 보면 독일이 2차대전 후 라인강변에 다수의 사장교를 가설하면서 기술이 개발.확립되었고 최근에는 일본.중국 등에 다수의 장대교량이 설치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계획.설계 및 시공기술의 자립화가 시급하다고 하겠다. 본 고에서는 사장교의 설계시에 필요한 주의사항 및 특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장대교 내풍설계를 위한 풍동실험

  • 윤태양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6 no.3
    • /
    • pp.12-23
    • /
    • 1993
  • 본 고에서는 현재 설계 완료 상태에 있는 서대해대교 사장교의 내풍설계를 위한 풍동실험을 중심으로 풍동실험의 계획단계에서부터 제작방법, 교량가설 지점에서의 기류형태에 대한 MODELING 방법, 풍동실험의 전반적 방법, 난류상태에서의 실험결과 등을 소개하였다. Computer로부터 계산된 고유진동수를 비교한 결과, 그 값이 잘 일치함으로써 모형제작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교량 자체의 안정성은 100년 빈도 풍속을 기준으로 안전율이 약 2.4를 유지함으로써 매우 안정한 것으로 입증되었고, Vortex Shedding 진동현상도 보이지 않음으로써 교형단면 형상은 적절히 선정되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사용된 방법 및 경험은 향후 건설될 장대교에 대한 내풍설계용 풍동실험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