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설설비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emporary Fence as a Ground Electrode (접지전극으로서의 가설울타리 활용방안에 관한 고찰)

  • Park, Sung-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27-12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건설현장에 설치하는 가설울타리와 접지동봉을 매설하여 접지저항을 측정하였다. 접지저항을 측정한 결과 접지동봉은 10.8Ω이고, 가설울타리는 2.07 Ω이었으며, 이는 가설울타리가 접지전극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가설울타리를 특별고압설비나 피뢰설비 등의 접지전극으로 활용할 때 가설울타리에 접지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위가 상승하고 접촉전압이나 보폭전압 등으로 인하여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설울타리를 접지전극으로 활용하는 때는 신중해야 한다. 감전이나 화재 등의 위험이 없도록 안전조치를 한 상태에서 가설울타리를 접지전극으로 제한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 PDF

Technological Obsolescence in the Korean Industries: The Measurement by Embodiment Hypothesis and Its Relationship with Labor Productivity (우리나라 산업에서의 기술진부화: 체화가설에 의한 측정 및 노동생산성과의 연관성)

  • Sung, Tae Kyu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6 no.2
    • /
    • pp.391-407
    • /
    • 2013
  • The paper tests the embodiment hypothesis by measuring the technological obsolescence of a specific year (1990)'s technology and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productivity and technological obsolescence. This approach is based on Salter (1969) that emphasizes the economic aspect of technology. We use the rate of economic surplus as the proxy of technological obsolescence for 10 main industries, including food processing, textiles, chemicals, non-steel metals, steels, metal products, machinery, electronics, precision machinery, and transportation equipments. The result shows that the embodiment hypothesis is not accepted for the overall manufacturing sector. However, we found the vintage effect -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obsolescence and labor productivity over time - in textiles, chemicals, non-steel metals, metal products, electronics, and transportation equipments.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R&D investment as well as capital equipments investment for the industries with large vintage effect.

  • PDF

Flow boiling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R-407C ternary refrigerant mixtures (R-407C 냉매의 흐름비등 열전달 특성)

  • 오종택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8 no.5
    • /
    • pp.375-388
    • /
    • 1999
  • 1974년 6월 Rowland와 Molina가 CFCs등의 화학물질이 성층권의 오존층을 파괴시킨다는 가설의 발표는 많은 환경론자들의 관심과 함께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이 가설은 1985년 10월 Farman 등의 영국 남극조사팀에 의해 남극상공의 성층권 오존이 1970년대에 비해 약 40% 정도 감소된 것이 확인되면서 지구전체의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되었다.

  • PDF

Development on Breakdown Structure of Construction Site centered Construction Temporary Technology Index (현장중심의 건설가설기술요소 분류체계 구축)

  • Park, Junmo;Kim, Okkyue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5 no.4
    • /
    • pp.77-85
    • /
    • 2014
  • A construction temporary work is main process and importance trade section. It has many works and facilities such as temporary transfer equipments which tower crane, and lift, and architectural temporary facilities which temporary office, temporary warehouse, and site test laboratory, and construction temporary equipments which scaffoldings, work plates, construction supports, and forms to set and to use in under construction and to remove in the end. A technology system of construction temporary has very low availability of field works and needs improvements in Korea as construction site has a quick response about new requirements. This study is organized existing technology systems and new technologies for field works, and developed breakdown structure of construction temporary technologies to be a basic of temporary technologies as review with site managers. For this, it will improve to be a knowledge and information system as a research of a performance and an availability about a construction temporary technology index.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the Stringing Transmission Wire by the Measured Tension (장력측정에 의한 가설 송전선의 시스템 자동화)

  • Hong, Jeng-Pyo;Hong, Soon-Il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2 no.8
    • /
    • pp.31-37
    • /
    • 2008
  • As transmission line is installed by manual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scheme the automatic system for stringing transmission wire. For this necessit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developed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stringing of transmission wire. In this paper, transmission wire with suspended pattern and ac servo motor for torque generating are modeled. On the basis of wire model, algorithms to determine the reference tension is presented, so as the dip of transmission wire is keep constancy. The control scheme is proposed by the ac servo motor for torque generation and a load cell for a detected tension of transmission wire and implemented. We experimentally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the tension response is satisfactory. And also proposed scheme verified the utilities for tension control of transmission wire.

Enhanced Quality and Safety by Expanding Field Application of System Scaffolding (시스템비계의 현장적용 확대 연구로 품질 및 안전제고)

  • Jung, woo-d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31-232
    • /
    • 2022
  • 건설 현장이나 일반 제조업 현장은 작업자의 고소 위치에서의 작업시, 필요한 특정 장소로의 접근을 위한 임시 구조물을 설치하는데 이를 가설비계라고 한다. 이러한 가설비계는 작업자의 안전 통행과 작업을 위한 받침대 역할, 장비나 공구, 자재를 임시 적치하기 위한 장소로 활용되는데 일반 건축물과 중후장대한 조선소 블록 제작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가설설비라는 특성으로 비계와 관련된 연구가 부진하고 사업적으로 참여하는 사업주 또한 진출을 가볍게 생각하고 있으며 해당 공사에 임하는 작업자의 산업으로의 진입문턱도 낮은 등으로 시공 품질이 떨어질 우려가 매우 높다. 또한 설치후에는 품질검사가 어려워 작업자의 숙련도나 진정성 등에 의한 주관적 작업 결과물이 설치된 시설물을 사용하는 주변 작업자에게는 불안전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작업자의 숙련도나 주관적 판단에 의한 가설 구조물 설치를 회피하여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연구되어 왔는데 이것이 시스템비계이다. 이러한 시스템비계에 대한 사용성을 확대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등의 정부기관에서는 여러 가지 제약과 동시에 장려정책을 제시하고 있으나 공적 발주나 일부 대기업그룹 외의 중소 현장에는 그 확산 속도가 높지않은 편이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elf Climbing Safety Fence for Construction Building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공법의 개발 및 적용)

  • Choi Min-Woo;Roh Whan-Gil;Lee Jae-Yong;Lee Hyun-So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 no.3 s.3
    • /
    • pp.108-115
    • /
    • 2000
  • The average height of buildings in most cities is increasing in an effort to more effectively use land. In addition, as construction technology develops, rapid construction methods have been pursued. However, while there have been great strides in construction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a temporary structure that can support the high-ris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and the rapid construction methods has been relatively limited. If the temporary structure is not built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being constructed, a worker may be injured or killed in a fall and building materials such as blocks and other objects may fall to the ground, causing the build-up of trash around the building and possible injuries to persons in proximity to the building. This paper proposes a Self Climbing Safety Fence for construction building(SCfence). SCfence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tent has been setup to cover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r a falling preventing net has been pitch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case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SCfence through comparing the safety and cost experience between SCfence and the existing method.

  • PDF

해외건설공사 수행절차(5)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10 s.219
    • /
    • pp.48-50
    • /
    • 2008
  • 해외건설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위해서는, 낙찰통보전 낙찰가능시점부터, 현장소장을 비롯한 현장준비팀을 조직 운영하여, 계약서류상의 각종 요구사항, 승인사항, 인 허가사항, 현지법,공법,계약조건, 공정계획, 인원소요계획, 장비소요계획 등을 검토 한다. 또 현장답사 등을 통하여 견적시에 계획되고 작성된 모든 내용을 검토 보완, 수정 및 Update함과 동시에,선발대를 현장에 투입해 발주자로부터 현장을 인수하고 가설공사를 시작하며 조기착공에 서두른다. 단, 현장투입 전 발주자로부터 접수한 Letter of Intent(낙찰/계약의향서)상의 착공관련 조건을 확인하거나 Notice to Proceed(착공지시서)의 접수를 확인해야 한다. 시공자의 입장에서 건설공사의 궁극적인 목표를 이익의 극대화로 볼 때, 공사초기에서의 신속한 동원이야말로 목표달성에 이르는 지름길이며, 발주자 및 감리자로부터 신뢰를 받아 공사 전반에 걸쳐 순조로운 현장운영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 PDF

Study of clamp operations in optical drop cable (광인입광 클램프 운용연구)

  • Lee, W.H.;Park, T.D.;Ko, S.B.;Oh, H.S.;Choi, Y.B.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293-295
    • /
    • 2007
  • OSP 에서 주로 사용되는 Drop Cable 은 통신단말인 단자함에서 통신전주 두상에 설치된 인입클램프 걸이에 인입클램프를 취부하고, 가공구간을 통해 가입자 댁으로 가설을 하며, 가입자 댁의 일정한 지점에 인입벽철 또는 인입용 훅을 설치하고, 인입클램프를 체결하여 Drop Cable 의 이도 및 루트를 고려하여 개통공사를 완성하여 해당서비스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Drop Cable 은 일반적으로 자기지지를 할 수 있는 "8" 형태의 자기지지형 Drop Cable 을 주로 이용하였으나, 광섬유를 이용하는 FTTH 사업에서는 서비스 개통시 "0" 형태의 Optical Drop Cable(광옥외선)을 사용하여 개통작업의 시공성 및 생산성을 향상 시켰다. 이에 사용되는 적합한 인입광 클램프는 광옥외선의 외형적인 구조에 손상을 전가하여서는 안되며, 광옥외선 내부의 광섬유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최소의 손실을 가지며, 일정한 인장력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위의 사항을 고려한 인입 광클램프의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