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설검증

Search Result 2,33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ffect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for Science Teachers' Scientific Hypothesis Testing-method Invention (과학교사를 위한 가설검증방법 고안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 Jeong, Jin-S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8 no.6
    • /
    • pp.664-67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for science teachers' scientific hypothesis testing-method invention. Subjects were 30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The potato juice task was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instructional treatments. The four-step strategy including the steps of identifying factors, identifying variables, selecting variables and inventing methods, was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for the science teachers. The programs were developed by 6 experts through the R&D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number and elaborateness of science teachers' scientific hypothesis testing-methods increased after the instructional treatments. The testing ability of testing-methods invented by science teachers in the posttest was stronger than the one of the methods invented in the pretest.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주식배당의 공시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Woo, Chun-Sik;Sin, Yong-G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3 no.1
    • /
    • pp.115-136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주식배당 예고제도가 도입된 1990년부터 1994년까지의 기간동안에 주식배당 지급을 공시한 기업 중에서 표본의 선정기준에 따라 295건의 표본을 선정하여 주식배당의 공시효과를 실증 분석하는 한편 주식배당의 공시효과를 설명하는 제 가설 중에서 유보이익가설과 주의환기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전체표본(259건)을 대상으로 공시일 전후의 비정상수익률을 분석한 검증결과에 의하면 공시기간(0일, +1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0.847%의 비정상수익률이 관찰되어 주식배당 공시가 주주들의 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정(+)의 주식배당 효과를 설명하는 하나의 가설로서 유보이익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체 표본을 EPS의 증감 및 주식배당률의 크기에 따라 하위표본으로 분류하여 공시기간의 비정상수익률을 검토한 결과 충분하지는 않지만 유보이익가설을 지지하는 실증적 증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로 또 다른 하나의 가설로서 주의환기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본을 상대적 평균 PER의 크기 및 자본금의 크기에 따라 분류한 모든 하위표본에서 일관되게 주의환기가설을 지지하는 실증적 증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s of Science Inquiry Learning Applying Open- Ended Hypothesis-Testing Learning Model: On the ‘Metals and Their Applications’ Unit in Chemistry (개방적 가설검증 학습모형을 적용한 과학 탐구학습의 효과:화학 I ‘금속과 그 이용’ 단원을 중심으로)

  • Jeong, Dae-Hong;Bang, Jeong-A;Choi, Chui-Im;Choi, Won-Ho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0 no.5
    • /
    • pp.385-393
    • /
    • 2006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s of science inquiry learning that applies open-ended hypothesis-testing learning model in a high school chemistry class of grade 11 in respect of science process skills, science-related attitude, and appreciation towards science class by cognitive level. Open-ended science inquiry learning activities on Metals and their applications unit in Chemistry I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treatment groups while the conventional science activities were applied to the control groups. Four classes of 92 students in a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were assigned into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he test of science process skills, the students treated with the alternative experiments emphasizing open-ended hypothesis-testing obtained higher scores in experimental design, data conversion and description, and hypothesis test than those with conventional experiments but not in problem cognition and definition and hypothesis fixing'. There was negative effect on science-related attitude due to increased roles and tasks in the open-ended science inquiry learning activities.

An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Designs Suggested by Students for Testing Scientific Hypotheses (과학적 가설 검증을 위한 학생들의 실험 설계 내용 분석)

  • Park, Jong-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3 no.2
    • /
    • pp.200-213
    • /
    • 2003
  • This study is one of the successive studies for investigating students' processes of generating and evaluating scientific hypothesis.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experimental design to test whether the given hypotheses were correct or not. As results, it was found that (1) 3 components (experimental method, prediction of the result of experiment, evaluation of hypothesis) were needed to complete description of the experimental design, (2) students tried to test hypothesis considered as being correct as well as hypothesis considered as being false by students, (3) student tried to confirm hypothesis, which was considered as being correct, based on theoretical approach rather than experimental approach, (4) students' experimental design could be classified as two types, that is, direct experimental testing and comparative experimental design, and the latter could be classified as two subtypes; positive comparative one and negative comparative one, (5) students showed tendency to design positive comparative experiment when they considered hypothesis as being correct, and vise versa, (6) students preferred the prediction which could confirm the hypothesis when they considered the hypothesis as being correct, and vise versa, (7) many students rejected contradicting prediction even though they did not actually conduct experiment yet.

서비스 조직 구성원의 통제지각과 행동통제과정: 피드백, 비금전적 보상 및 역기능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김재영;한동철;안승호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 no.3
    • /
    • pp.109-119
    • /
    • 1999
  • 서비스마케팅에 있어서 종업원의 행동통제와 결과통제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그 중에서 행동통제를 보다 효율적으로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마케팅조직 종업원의 행동통제 지각이 조직내 종업원이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였다. 종업원이 느끼는 통제지각, 상사의 피드백, 비금전적 보상 그리고 종업원의 역기능 행동 간의 다섯가지 관계에 대하여 가설이 설정되었다. 병원간호사 120 명의 설문응답에 근거하여서 가설검증을 하였다. 다섯 개의 가설중 세 개는 지지되었고, 두 개의 가설은 현재의 자료로는 지지되지 않았다. 가설검증 결과에 근거하여서 시사점과 결론이 제시되었다.

  • PDF

Effect of Hotel Middle Manager's Communication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호텔 중간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이 조직몰입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의 조절효과 연구)

  • Kim, Yeon-Sun;Kim, G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
    • /
    • pp.412-421
    • /
    • 2018
  • This study for the hotel organization and Hotel Middle Manager's Communication .we studied the Effect of Hotel Middle Manager's Communication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Organizational Culture. finally, 80 copies of samples were used in empirical analysis. and SPSS 18.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e Verification result of hypothesis that the communication of hotel middle manager will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partially supported. Second, The Verification result of hypothesis that the communication of hotel middle manager will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ffect on Organizational Culture was partially supported. Third, The Verification result of hypothesis tha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tel middle manager will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ffect on Organizational Culture was supported. Fourth, The Verification result of hypothesis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will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hotel middle manager.

Determinants of Householdwork and child Care Time of Wives and Housbands (부인과 남편의 가사 및 육아시간 결정요인 연구)

  • 허경옥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90-105
    • /
    • 1994
  • 본 연구의 기본적 취지는 부인과 남편의 가사와 자녀 양육노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가사분담 및 육아시간 설명에 유용하게 쓰여온 다양한 관점의 이론을 도입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입된 이론은 경제적 효율가설(Economic Efficiency), 수요 및 실행가능가설 (Demand/Response Capability), 성 역할관념가설(Sex-Role Ideology), 그리고 상대적 자원가설(Relative Resources)이다. 이 가설들로부터 유출된 대용변수들의 부인과 남편의 가사와 육아시간에 미치는 효과가 검증되었는데 이 변수들은 임금률 부부간의 임금률 비율 노동시 장에서의 근로시간 어린자녀 수 성별에 따른 역할에 대한 사고관, 소득, 부부간의 상대적 소 득수준 교육수준 직업 연령 가족형태, 인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는 1988년 미국 위스콘신 대학 (메디슨)내의 인구 및 생태국(Center for Demography and Ecology)에서 실시한 전국 가족 및 가계조시(National Survey of Families and Households)이다. 부인과 남편의 가사 및 육아 시간량을 설명하는 이론의 효과검증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역할 관념가설을 부인과 남편모두의 가사 및 육아노동 시간을 잘 설명하는 가설로 나타났고 수요 및 실행가능성가설은 남편보다는 부인의 가사와 육아시간에 더 설득력있는 가설임이 밝혀졌다. 대체적으로 경제적 효율가설과 상대적 자원가설의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요 및실행가능가설이 남편의 총가사시간을 설명하는 효과는 크지 않았으나 남편의 여성중심형 과업시간에는 유의마한 변수로 나타난 것은 주목할 만하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ibrary Functions by the Utilization of CD-ROM (CD-ROM 활용이 도서관 기능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강미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9 no.1
    • /
    • pp.1-23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swer a question as to "How much does CD-ROM improve thefunction of library\ulcorner" and, then, to build up an analytical framework to analyze the above question.The hypothesis is statistically tested with the responses of 282(70.5%) librarians in the libraries whichare currently using CD-ROM. The hypothesis is positively or vigorously supported by four steps.Therefore, the researcher suggests strongly at a plan to utilize CD-ROM be forwarded to improvelibrary functions. library functions.

  • PDF

The Relationship of Factors that Effects on Acceptance Intention in Smart Eduction (스마트교육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관계 분석)

  • Kang, Hye-Young;Lee, Jang-Ik;Kim, Su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141-144
    • /
    • 2012
  • 이 연구는 스마트교육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 정보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스마트교육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모형을 개발하였다. 잠재모형의 예비타당성 검증절차를 거친 후, 이를 통해 수정된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A 연구소의 스마트교육 체험학습프로그램을 이수한 초 중 고등학생 1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가설들이 채택되었다. 상호작용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친다(가설 I). 상호작용성은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영향을 미친다(가설 II). 상호작용성은 지각된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가설 III). 사회적 영향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친다(가설 IV). 사회적 영향과 상호작용성은 서로 영향을 미친다(가설 V). 지각된 유용성은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가설 VI).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가설 VII). 또한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x^2$값은 6.600, 유의확률은 .086으로서 유의수준 .05에서 모형과 자료가 일치한다는 영가설이 채택되었으며, GFI, CFI, TLI 값은 각각 .98, .99, .99로 높은 적합도 수준을 보였다. 다만, RMSEA 값은 .09로서 다소 높은 값을 보이지만, 수정된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해하는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우리나라는 저출산함정에 빠진 것인가? - 저출산함정 가설의 검증과 함의 -

  • Eom, Dong-Uk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2 no.2
    • /
    • pp.141-159
    • /
    • 2009
  • 우리나라는 2002년 초저출산 사회(합계출산율 1.3명 이하)로 진입한 후 합계출산율이 평균 1.2 이하인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초저출산 상황이 향후 지속된다면 인구고령화의 사회 경제적 여파가 예상보다 클 것으로 전망된다. 과연 이런 초저출산 추세가 일시적인 것인지 아니면 앞으로 계속 지속될 것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저출산함정 가설(low fertility trap hypothesis)을 제기한 Lutz, Skirbekk and Testa(2006)의 논의를 소개한다. 그들은 크게 인구학적, 사회적, 그리고 경제적 요인과 같이 3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저출산함정의 존재 가능성을 논하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나라는 저출산함정에 빠져 있는가? 먼저 고령화 가설의 경우 출생아수와 고령화간 부(-)의 관계가 나타나고 있으며, 최근 이상자녀수가 2.2~2.3명이지만, 실제자녀수는 그 수준을 하회하고 있어 이상자녀수가설도 지지된다. 상대소득가설의 경우, 류덕현(2007)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령 계층 간 상대소득이 출산율에 정(+)의 효과를 보여 상대소득가설이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제한된 영역에서 완벽한 검증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출산율이 대체수준까지 회복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 수준인지를 재확인시켜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