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 훈련 시스템

Search Result 19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of the Fire Simulator Based on Virtual Reality (가상현실 기반 소방안전대응 시뮬레이터 개발)

  • Choi, Byung-Il;Han, Yong-Shik;Kim, Myung-Bae;Cha, Mu-Hyun;Lee, Ja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195-198
    • /
    • 2010
  • 가상환경에서 화재를 재현, 체험 및 소방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실감영상기반 소방안전 대응 훈련 시뮬레이터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소방훈련 시뮬레이터를 설계하고, 대상 화재 공간을 가상현실에 구현하였으며 화재 대응 시나리오 지침을 마련한 후 화재시나리오에 따른 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또한 전산해석 결과를 토대로 한 화재상황을 가상공간 구현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팀 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 팀 훈련 모듈과 열기를 체험할 수 있는 물리 체험모듈을 장착하여 모듈을 추가하여 6팀이 고층 빌딩 및 지하역사에서 소방안전 팀 대응 훈련을 할 수 있는 소방안전 대응 시뮬레이터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Merits and Demerits of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Using SaaS Based Virtual Training Systems (SaaS 기반 가상훈련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보호 교육의 장단점)

  • Lee, Hae Young;Park, Hyun Min;Min, GyeongTae;Park, Young 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211-212
    • /
    • 2019
  • 서로 다른 지역에서 서로 다른 과정의 실습 중심의 정보보호 단기 교육을 진행하기 위하여 SaaS 기반 가상훈련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SaaS 기반 가상훈련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보호 실습 교육의 장단점을 정리한다. 강사 및 수강생들은 교육 과정 중 데스크톱 가상화를 사용하여 실습 환경을 구축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또한, 원격 실습 지원, 진행 상황 확인도 가능하였다. 관리자는 강사 및 장소와 무관하게 균등한 실습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었다. 향후에는 서버 가상화와 데스크톱 가상화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실습 환경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A Study on VR Human Interfaces for a Emergency Response Training Simulator (안전대응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가상현실 휴먼 인터페이스의 설계)

  • Cha, Moo-Hyun;Lee, Jai-Kyung;Huh, 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451-452
    • /
    • 2011
  • 기계 설비의 예상하지 못한 사고 상황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하고 그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시설 운영자 또는 초기 대응자의 안전대응 훈련이 필수적이다.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기술은 시뮬레이션 된 가상환경에서 이러한 훈련을 가능케 하며, 훈련 목적 달성을 위해 적절히 선정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시뮬레이터와 통합하기 위한 모듈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간단한 안전 대응 훈련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임무를 분류하고 이에 적합한 휴먼 인터페이스의 설계과정과 시스템 연동에 관한 초기 연구를 기술하였다.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through Case Analysis of Domestic Disaster Safety Virtual Training Contents (국내 재난 안전 가상훈련 콘텐츠 사례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Eun-Jee Song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5 no.2
    • /
    • pp.467-474
    • /
    • 2023
  • Disaster safety education that can respond when a disaster occurs is very important in Korea, where many human resources are generated due to safety insensitivity.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devices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possibility of using a training system incorporat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the field of safety education is attracting attention. The virtual training system is very effective for training and education because it has an excellent sense of immersion and allows you to experience various disaster situations without time and space limitations. In this study, cases of disaster safety virtual training contents in Korea are collected and investigated, an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disaster safety virtual training contents is identified and analyzed to identify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Virtual Home Training - Virtual Reality Small Scale Rehabilitation System (가상 홈 트레이닝 - 가상현실 기반 소근육 재활 시스템)

  • Yu, Gyeongho;Kim, Hae-Ji;Kim, Han-Seob;Lee, Jie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4 no.3
    • /
    • pp.93-100
    • /
    • 2018
  • This paper proposes a small-scale rehabilitation system that allows stroke patients to perform daily rehabilitation training in a virtual home. Stroke patients have limit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due to paralysis, and there are many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them to reproduce activities that take place in the house, such as turning lights on and off, door opening and closing, gas valve locking. In this paper, we have implemented a virtual home with the above mentioned daily rehabilitation training elements, by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We use Leap Motion, a hand motion recognition device, for rehabilitation of hands and fingers. It is expected that stroke patients can rehabilitate small muscles without having to visit the clinic with uncomfortable body, and will be able to get interesting rehabilitation training by avoiding monotony of existing rehabilitation tools.

Development of a Tangible Snowboard Training Simulator based on Virtual Reality (가상현실 기반의 체감형 스노우보드 시뮬레이터 개발)

  • Park, Changhoo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4 no.4
    • /
    • pp.87-94
    • /
    • 2014
  •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tangible sports simulators with the success of golf simulato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angible snowboard simulator for the beginner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is paper proposes an interactive virtual coach and high fidelity virtual environment for snowboard training. The virtual coach offers an intuitive guidance and personalized coaching feedback about the 5 fundamental riding skills. The virtual training environment uses the stereoscopic display system and motion platform to create more realistic training situation. We expect virtual reality will be used as a training aids in many sports such as taekwondo, baseball, archery and so on.

Design and fabrication of a 3D haptic interface device and realization of a virtual plyometric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3차원 햅틱 인터페이스 장치 설계/제작 및 가상 순발력 재활훈련 장치 구현)

  • Back, Jong-Won;Yong, Ho-Joong;Choi, Dae-Seong;Yu, Dong-Jin;Lee, Hyun-Suk;Jang, Tae-Je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915-919
    • /
    • 2007
  • 가상현실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가상의 환경에서 사용자가 오감을 통해 현실과 유사한 느낌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햅틱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촉각으로 가상 환경과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로서 사용자가 가상 물체를 실제로 만지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켜 보다 현실에 가까운 가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3차원 햅틱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계 및 제작하고, 순발력 재활훈련의 목적으로 가상공간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입체영상 시스템과 연동하여 일부 제한적인 기능을 갖는 가상 테니스 연습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때 가상 공과 가상 라켓의 간단한 충돌 모델과 햅틱 렌더링을 통하여 가상 공을 칠 때 사용자가 라켓으로 느끼는 충격과 반력을 제작한 3차원 햅틱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하여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의 실험을 통하여 공과 라켓에서 충돌이 일어났을 때의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었으며, 완벽하지는 않지만 공과 라켓의 충돌 후 공의 나가는 방향과 속도가 실제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 PDF

Study on Platform of Artificial Intelligent Emergency Training Simulator based on VR (가상현실기반 지능형 재난대응훈련 시뮬레이터 플랫폼 연구)

  • Ki, Jae-Su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81-28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증대하고 있는 재난안전사고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훈련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 플랫폼을 제안한다. 최근 재난은 복합적이며, 타 부처 간의 협력이 필요한 대규모 성격을 띠고 발생하는 빈도가 커지고 있는 반면 훈련도구는 각 부처별로 재난유형별 시스템들이 필요에 따라 독립개발 및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시나리오에 의한 종합적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한 재난대응 방안 모색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재난에 대응하는 사람의 다양한 능력을 반영하여 인공지능 기반 하에 훈련 시나리오가 생성될 수 있는 지능형 재난대응훈련 시뮬레이터 개발을 위한 플랫폼을 제안한다. 또한 몰입감을 가지고 가상의 상황 하에서 훈련할 수 있도록 가상현실 기반의 시뮬레이터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제안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Diesel Engine Training Simula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e-Training 사례 : 가상현실 기반의 디젤엔진훈련 시뮬레이션 개발)

  • Song, Eun-Jee;Seo, D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567-568
    • /
    • 2015
  • 인터넷이 활성화 되면서 웹기반 교육으로 e-Training이 발전되었다. e-Training은 업무에 필요한 수행능력을 습득 향상 시키기 위하여 정보통신 기술, 장비, 환경을 활용하여 실시하는 교육훈련이다. e-Training에 포함되는 기술에는 시뮬레이션, 3D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기반의 디젤엔진훈련 시뮬레이션을 개발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3차원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통해 몰입감과 상호작용 교육훈련방식을 도입하여 3D입체형 화면안의 시야가 실제 현실과 같은 몰입의 효과가 있으며 엔진부품의 이름과 기능 등을 게임화를 통해 교육 훈련하는 시스템으로써 시뮬레이션을 통해 필요한 문제풀이를 재미있게 할 수 있어 학습능률에 효과가 있다.

  • PDF

Visualization of Welded Connections based on Shader for Virtual Welding Training (가상현실 용접 훈련을 위한 쉐이더 기반 특수효과 표현)

  • Oh, Soobin;Jo, D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9.05a
    • /
    • pp.479-481
    • /
    • 2019
  • In recent years, training systems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have been made using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and widely used in education. Virtual reality based training system is safe, there is no waste of material, and there are many advantages to be able to practice anytime and anywhere. For example, virtual reality welding training simulation system is widely used for field worker because it can perform actual joining of steel plate in immersive environment. At this time, realistic representation of the steel plate joint is important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but existing techniques have limited the natural expression of the effect.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of visualizing joint effect based on shader in order to construct welding training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welding training system to improve the weld training effect to provide the user with high-quality visualiz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