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상 착의 시스템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18초

남성의 클래식핏과 슬림핏 셔츠 패턴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 3D 가상착의를 활용하여 - (Comparison and analysis of men's classic-fit and slim-fit shirt patterns - Utilizing the 3D virtual try-on system -)

  • 김민정;김명옥;박선경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2호
    • /
    • pp.209-224
    • /
    • 2014
  •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ease of shirt patterns in the men's wear market that have been constantly developing, and to analyze the fitness and appearance through the 3D virtual try-on system. The study selected three industrial patterns and two educational materials of classic-fit and slim-fit shirts for a total of ten items. The experiments involved virtual wearing, a stress contact point perspective map, and appearance evaluations. First, the ease differed significantly in the chest, waist, and sleeve cap height according to the patterns. Second, based on the stress, contact point, and transparency, there was ease in the order of Nam, D-brand, J-brand, Park, and S-brand in the classic-fit shirts while the order of D-brand, Nam, J-brand, Park, and S-brand resulted in the slim-fit shirts. Third, in the appearance evaluation, higher points resulted in the order of J-brand, Park, S-brand, D-brand, and Nam in both classic-fit and slim-fit. The results showed that proper ease differs greatly by shirt-fit and target age. Also, the shirts with more ease tended to be evaluated less favorably in the appearance 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proper ease in chest circumference is 18cm for the classic-fit shirts and 6 cm for the slim-fit shirts.

3D 가상모델 및 가상착의 시스템을 이용한 남자 운동선수의 상반신 원형설계 (A Development of the Bodice Pattern for Male Sports Athletes Using by 3D Virtual Twin & Virtual Garment Simulation)

  • 임지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47-35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ropriate surplus of clothing for a suitable basic bodice pattern of Male Sports Athletes by using the 3D virtual twin and virtual garment simulation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y using 3D virtual twin and garment simulation, new bodice pattern considered male sports athletes was development. The basic numerical formula were as follows ; surplus of chest girth=9, surplus of back length=1, armhole depth=back length/4+13, half back width=chest girth/5+2.5, front chest width=chest girth/5+3. 2. Wearing test by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system was useful to evaluate wearing outline, surplus of clothes and garment space. Also it estimated more highly than existing pattern in silhouette and ease amount, confirming that new bodice pattern is appropriate for the male sports athletes. New bodice pattern was evaluated to allow proper space length of chest and waist. Virtual models production through 3D body scan data, pattern draft and virtual garment digital program were applied to prototypic design method so as to enhance the fitness of ready-made garm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one of important basic data for ensuing studies that may utilize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System with 2D patterns, and also for future 3D Pattern Production Program development.

3차원 가상착의와 실제착의를 통한 비만여성의 바지 맞음새 비교 (Comparison on the Pants Fitting for Obese Women between 3D Virtual Garment and Real Garment)

  • 이진숙;이정란
    • 패션비즈니스
    • /
    • 제17권2호
    • /
    • pp.33-45
    • /
    • 2013
  • A study using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is carried out for the evaluation and application on the pants fit for obese women in their age of 20s and 30s. The results are as follows; 5 obese women in their 20s and 30s were selected for the testing 3D body. The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items, comparing with the data of 5th Size Korea body dimensions. The average waist circumstance of the subjects' 3D body dimensions was 87.0cm, hip circumstance was 102.4cm, BMI was $27.1kg/m^2$, and their obese body types had similar mean values. Based on the detailed design of ready made pants and the study results of 20~30s obese women preference for pants design, pants of straight silhouette and semi-tight fit which have waist line lowered, no front dart and one back dart, were manufactured with 100% black cotton and cotton spandex mixed fabrics. When comparing the appearances between real garment and virtual garment, the average of the real garment with 100% cotton was 3.70 and the virtual garment was 4.05. The average of real garment with cotton spandex mixed fabrics was 3.75 and the virtual garment was 4.06. Therefore, the average of virtual garment was highly evaluated.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appeara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aused by materials between real garment and virtual garment. The expression for the ease of virtual garment and real garment was also similar for good evaluation. Thus,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did positively prove its reliability and effect.

3D 가상착의 시스템에 의한 비만 중년여성의 토르소 원형설계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the Torso Pattern for Obese Middle-aged Women from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 임지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6-9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orso pattern of Middle-aged obese women by using the virtual twin and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y using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new torso pattern considered obese women was development. The basic numerical formula were as follows ; bust girth B/2+5, armhole depth B/6+5, front waist girth W/4+2+0.5, back waist girth W/4+1-0.5, front hip girth H/4+1+0.5, back hip girth H/4+2-0.5, chest width B/6+2.5, back width B/6+2.5 and back neck width B/20+2.5. 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new torso pattern's appearance evaluation, it estimated more highly than existing pattern in silhouette and ease amount, confirming that new torso pattern is appropriate for the obese women. Also, new torso pattern was evaluated to allow proper space length of bust, waist, abdomen and hip. Virtual models production through 3D body scan data, pattern draft and virtual garment digital program were applied to prototypic design method so as to enhance the fitness of ready-made garm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one of important basic data for ensuing studies that may utilize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System with 2D patterns, and also for future 3D Pattern Production Program development.

2차원 패턴 디자인 모듈과 Octree 공간 분할 방법을 이용한 3차원 의복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2D Pattern Design Module and 3D Cloth Simulation System based on Octree Space Subdivision Method)

  • 김주리;정석태;정성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527-53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의복의 2차원 패턴을 이용하여 3차원 의복 모델을 제작하고 생성된 3차원 의복을 3차원 인체 모델에 자동으로 착의하는 3차원 패션 디자인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먼저 2차원 격자의 코너 점을 이용하여 2차원 옷감 조각을 디자인한 다음에 2차원 옷감 조각들 사이에 재봉되어야 할 제약점들을 기술함으로써 3차원 의복을 디자인한다. 그 다음에는 3차원 인체 모델 파일과 3차원 의복을 읽어 들인 다음 질량-스프링 모델에 기반한 물리적 시뮬레이션에 의해 의복을 착용한 3차원 모델을 생성한다. 본 논문의 시스템은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인체 모델을 구성하는 삼각형과 의복을 구성하는 삼각형 사이의 충돌을 검사하고 반응 처리를 수행하였다. 인체를 구성하는 삼각형의 수가 매우 많으므로, 이러한 충돌 검사 및 반응 처리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Octree 공간 분할 기법을 이용하여 충돌 검사 및 반응 처리 수를 줄였으며 수초 이내에 가상 인체 모델에 의복을 입힐 수 있었다.

  • PDF

제품 디자인을 위한 증강현실 기반 정량구조 시뮬레이션 기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 Quantified Structure Simulation Technique for Product Design Based on Augmented Reality)

  • 이우훈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85-94
    • /
    • 2005
  • 최근 대부분의 제품 디자이너들이 3차원 CAD 시스템을 필수적인 디자인 도구로서 활용하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많은 신제품들이 동시공학적 프로세스로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초심 디자이너들이 3차원 CAD시스템을 사용하며 겪는 어려움 중 하나는 스크린을 통해 모델링한 오브젝트의 실체적 느낌을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실체성 결여'의 문제는 3차원 CAD시스템에서의 모델링 작업이 가상공간 안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촉각적 상호작용이 부재하고 현실공간에 대한 맥락정보가 결여되어 있는 것이 그 원인이라고 착 수 있다. 문제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기술을 활용하여 3차원 CAD 모델링 오브젝트를 현실공간에 정합시킴으로서 제품디자인에서 상호작용적인 정량구조 시뮬레이션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우선 증강현실 기반 정량구조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 속에서 인간이 가상 오브젝트의 크기를 얼마나 정확하게 인지하고 조정할 수 있는지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상대오차 1.3%이내(상대표준편차 5.3%이내)로서 상당히 정확하고 정밀한 크기 인지와 조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조건에 따라서는 주변참조물이 풍부한 경우 오브젝트에 대한 크기인지가 용이하고 HDM보다는 LCD 패널을 사용할 경우 더욱 정확한 크기 조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제안한 증강현실 기반 정량구조 시뮬레이션시스템의 응용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홈 서비스 로봇의 외관에 대해 사용자의 선호경향을 파악하는데 적용해 보았다. 아직 홈 서비스 로봇에 대한 전형적 이미지가 미비해서인지 외관특성에 대한 실험참가자의 선호경향에는 큰 편차가 보였고 군집분석을 통해 몇 그룹으로 세분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팔이라는 조형요소의 유무에 따라 민감한 반응을 보인 점과 인체와 같이 신장과 팔길이 사이에 강한 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은 흥미로운 발견이었다.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0 이용과 복제제한에 관한 주기(terms governing use and reproduction notes), 541 직접적 출처주기(immediate source of acquisition note), 545 행정연혁/개인이력주기(biographical or historical note), 581 출판주기(publication note), 850 소장처(holding institution) 데이터필드의 식별기호를 재구성, 추가하였다.근방법과 컨조인트 분석)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이론적 기초가 될 수 있다. 즉, 제품디자인의 결정요인 분석결과는 QFD의 접근방법에, 제품 디자인 파급효과 분석결과는 컨조인트 분석에 각각 보완적 기여를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실증적 분석결과는 Ettlie(1997)의 디자인 통합(DI) 이론에 대한 실증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디자인 경영(DM)을 위해서는 최고 경영자의 지원뿐만 아니라 부처 간 의사소통의 장애요인을 제거하고 CFT(cross-functional team)를 운영함으로써 동시적 엔지니어링(CE) 및 제품 및 공정 디자인의 개발이 제품 개발의 속도를 가속화하고 디자인 품질을 높이며 시장 성공을 보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임과 채팅은 긍정적인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자메일 서비스 이용은 성적 만족과 부정적인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학생들이 지루하게 느끼거나 외로움을 느낄 때 전자메일을 주로 이용하지만 성적 만족을 위해 전자메일을 이용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3) 인터넷 이용 이후 다른 미디어와 면대면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 인터넷을 이용한 후 응답자들의 전통적인 미디어(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잡지, 편지, 전화) 이용이 감소되었으며 친구, 가족, 이성친구와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역시 감소된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