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상 시험기계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3초

가상 환경 및 6축 모션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무인차량 영상 안정화 장치 시험 (Test of Vision Stabilizer for Unmanned Vehicle Using Virtual Environment and 6 Axis Motion Simulator)

  • 김선우;기선옥;김성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2호
    • /
    • pp.227-23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및 모션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무인차량용 영상 안정화 장치의 실내 시험환경을 구축하였다. 실제 주행 환경은 군용 탱크 시험을 위한 애버딘 시험장 범프 주행로의 가상 환경으로 대체하였다. 또한 무인 차량 모션은 모션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가상 주행 환경은 모션 시뮬레이터 위에 설치된 영상안정화 장치의 앞에 구현하였다. 영상 안정화 장치의 카메라의 영상 및 카메라에 부착된 IMU 센서 데이터를 통해 안정화 성능을 확인하였다.

가상내구시험을 통한 차량 샤시 부품 내구성 예측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Durability of Vehicle Chassis Part in Virtual Test Lab)

  • 조병관;하정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6호
    • /
    • pp.747-752
    • /
    • 2013
  • 최근들어, 차량개발 비용과 시간을 줄이기 위한 가상 내구 시험 기법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물체 동역학 모델과 피로 해석을 이용한 가상 내구시험법을 제시 하였다. 유연 다물체 모델을 적용한 전륜현가장치 시스템의 휠센터에 벨지안로와 같은 내구시험로에서 측정한 도로하중이력을 입력하여 각 부품에 부여되는 동응력을 구하였다. 그리고 해석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각 부품에서 측정한 동하중과 해석결과를 비교하였으며 범용피로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부품의 내구성을 예측하였다.

BSR 가상 평가 프로세스

  • 전인기;최재민
    • 기계저널
    • /
    • 제52권1호
    • /
    • pp.50-54
    • /
    • 2012
  • 감성품질로서의 BSR(Buzz, Squeak, Rattle)은 시스템의 공진특성으로 인해 부품 간의 간극에서 발생하는 간섭현상이며, 재료의 열화 특성과 조립공차의 영향으로 확률적으로 발생하는 신뢰성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BSR 문제는 제품의 개발 과정 중 완료 단계에 발견되고 있으며 설계 사양 변경이 제한적이고 고비용의 시험에 의해 해결되어 왔다. 따라서 초기 설계 단계에서 BSR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재료의 열화와 결합부 이완을 고려한 CAE를 통한 BSR 가상 평가 방법이 필요하다.

  • PDF

콘크리트 및 복합재료용 멀티스케일 가상 시험기계에 관한 소고 (Multiscale Virtual Testing Machines of Concrete and Other Composite Materials: A Review)

  • ;박솔뫼;양범주;이행기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4호
    • /
    • pp.173-181
    • /
    • 2018
  • 최근 복합재료는 향상된 성능, 내구성 및 여러 특정 요구성능에 대한 설계 유연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컴퓨터 성능이 발달함에 따라, 복합재료의 복잡한 거동에 대한 정확도 높은 모델 역시 함께 연구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가상시험이 복합재료 거동에 대한 실험을 대체하거나 보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나노수준부터 구조물 단위까지 이르는 다양한 length scale의 homogenization을 통한 멀티스케일 모델링에 대한 문헌을 분석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거동 연구에 대한 통합모델의 특징을 다루었으며, 가상 시험기계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및 전망에 대하여 다루었다.

자동차용 방진고무의 찢김시험 및 찢김에너지 정식화 (Tearing Test for Automotive Vibroisolating Rubber and Formulation of Tearing Energy)

  • 문형일;김헌영;김민건;김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12호
    • /
    • pp.1669-1674
    • /
    • 2012
  • 일반적인 고무 부품의 해석적 피로 수명 예측은 다양한 피로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정의되는 피로 수명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피로 시험에 사용되는 비용적, 시간적인 문제로 인해 설계과정에서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더욱이, 고무재료의 비규격화 및 임의적인 특성변화가 피로시험 결과의 데이터베이스화를 어렵게 만든다. 본 논문에서는 찢김에너지를 이용한 또다른 피로수명 예측 방식을 제안하였다. 자동차용 방진고무들에 대한 동적, 정적 찢김시험 및 복잡한 형상을 갖는 고무 부품의 찢김에너지를 계산하기 위하여 가상 결함을 고려한 유한요소 정식화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자동차용 모터 마운트의 피로 수명을 예측해 보았고, 실제 수명과 예측된 수명을 비교하여 신뢰성을 검증해 보았다.

유한요소기반 다중스케일 연성파손모사 기법을 이용한 원주방향 균열이 존재하는 탄소강 실배관의 파손예측 및 검증 (Finite Element Based Multi-Scale Ductile Failure Simulation of Full-Scale Pipes with a Circumferential Crack in a Low Carbon Steel)

  • 한재준;배경동;김윤재;김종현;김낙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7호
    • /
    • pp.727-734
    • /
    • 2014
  • 본 논문은 유한요소 기반 다중스케일 연성파손모사 기법을 이용하여 결함이 존재하는 실배관의 파괴거동을 예측한다. 수정응력 파괴변형률 모델을 손상기준으로 선정하고 유한요소 손상해석을 통해 균열진전을 모사한다. 기준식의 결정에는 인장시험과 파괴인성시험 결과만이 요구되며 온도 $288^{\circ}C$ SA333 Gr. 6 탄소강에 적용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요소크기-의존성 임계손상모델을 도입하여 손상해석의 수치해석적인 불안정성을 개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가상시험법의 검증을 위해 미국 바텔 연구소에서 수행한 실배관 실험결과와 예측결과를 비교한다.

가속내구시험 마모영역 판별에 대한 이미지 분석 연구 (A Study on Image Analysis for Determination of Wear Area in Accelerated Durability Test)

  • 천민우;이철희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8권4호
    • /
    • pp.128-135
    • /
    • 2022
  • In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secured through durability tests. However, since the durability test method is expensive and time consuming, a method to save time and money by utilizing virtual product development (VPD) is required. However, research on the accuracy of the results of virtual product development is required. In this paper, an accelerated durability test was designed and conducted using a planetary gear decelerator. And an analysis model under the same conditions was created and simulated. To correlat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ith the results of the analytical model, created a model that can discriminate the wear region using one of the data mining methods, the k-means algorithm method and HSV (Hue, Saturation, Value). The wear area is compared by counting the number of pixels defined as wear through a discrimination model. A similar ratio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pixel ratio of the area determined as wear in the entire area. It showed a similar ratio of about 70%,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iscrimination method.

제품과 인체의 통합 모델을 바탕으로 한 스미스 스쿼트 운동의 가상 시험 프레임워크 (Virtual Test Framework for Smith Squat Exercise Based on Integrated Product-Human Model)

  • 이해린;정문기;이상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1권8호
    • /
    • pp.691-70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스미스 머신을 이용한 스쿼트 운동에 대한 가상 테스트 프레임웍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체 및 제품의 통합 모델을 개발하고, 실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세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동작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한 후, 가상의 조건에서 동작을 생성하여 인체의 관절에 걸리는 토크와 근육에 걸리는 힘을 시뮬레이션 하는 전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하여 동작 수집과 더불어 EMG와 지면반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시뮬레이션 결과가 실제와 잘 맞는지 확인하였다. 이 시스템을 확장시켜 사용한다면 다양한 조건에서 운동하였을 때 신체 근육과 관절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 시뮬레이션 해봄으로써 적절한 운동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어파인변환 기반 하이브리드 PIV (Hybrid Particle Image Velocimetry Based on Affine Transformation)

  • 도덕희;조경래;이재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6호
    • /
    • pp.603-608
    • /
    • 2011
  • 입자추적유속계(PTV)는 나노 및 바이오 분야의 유체유동장에서는 각 입자들을 추적하여 속도측정을 하는 관계로 많은 강점이 있다. 그러나 측정원리상 보간에 의한 속도장 측정오차를 피할 수 없는 관계로 PTV기술을 사용함에 있어서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어파인변환 알고리듬을 PIV 및 PTV측정에 도입함으로써 보간에 의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어파인변환 기반 하이브리드 PIV알고리듬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알고리듬에 대한 성능평가를 위하여 Green-Taylor와유동의 수치적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영상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로부터 입자수가 2000개 이상일 때 최적의 측정성능임을 확인하였으며 상호상관PIV법 및 확률일치PTV법보다 우수한 측정성능임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길이비 2:1($6cm\;{\times}3cm$)인 장방형 물체후류(Re=5,300)에 대한 실험영상에 대한 실제 계산을 통하여 구축된 알고리듬에 대한 측정성능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