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 센서

Search Result 48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velopment of an AI-based Early Warning System for Water Meter Freeze-Burst Detection Using AI Models (AI기반 물공급 시스템내 동파위험 조기경보를 위한 AI모델 개발 연구)

  • So Ryung Lee;Hyeon June Jang;Jin Wook Lee;Sung Ho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11-511
    • /
    • 2023
  • 기후변화로 동절기 기온 저하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동파는 지속적으로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계량기 교체 비용, 누수, 누수량 동결에 의한 2차 피해, 단수 등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구조적 대책으로 개별 가정에서 동파 방지형 계량기를 설치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한 비용발생이 상당하고, 비구조적 대책으로는 기상청의 동파 지도 알림 서비스를 활용하여 사전적으로 대응하고자 하나, 기상청자료는 대기 온도를 중심으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서비스만으로는 계량기의 동파를 예측하는데 필요한 추가적인 다양한 변수를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 정부와 공공부문에서 22개 지역, 110개소 이상의 수도계량기함내 IoT 온도센서를 시범 설치하여 계량기 함내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사업을 수행했다. 전국적인 계량기 상태의 예측과 진단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센서 설치가 필요할 것이나, IoT센서 설치 비용 등의 문제로 추가 설치가 더딘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겨울 동파 예방을 위해 실제 온도센서를 기반으로 가상센서를 구축하고, 이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동파위험 기준에 따라 전국 동파위험 지도를 구축하였다. 가상센서 개발을 위해 독립변수로 위경도, 고도, 음·양지, 보온재 여부 및 기상정보(기온, 강수량, 풍속, 습도)를 활용하고, 종속변수로 실제 센서의 온도를 사용하여 기계학습 모델을 개발하였다. 지역 특성에 따라 정확한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위치정보 및 보온재여부 등의 변수를 활용하여 K-means 방법으로 군집화 하였으며, 각 군집별로 3가지의 기계학습 회귀모델을 적용하였다. 최적의 군집 수를 검토한 결과 4개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군집의 특성은 지역별 구분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며, 모든 군집에서 Gradient Boosting 회귀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델을 바탕으로 조건에 따라 동파 예측 알람서비스에 실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양호·주의·위험·매우위험 총 4개의 기준을 설정하였다. 실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알고리즘을 국가상수도정보 시스템에 반영하여 테스트 수행중에 있으며, 향후 지속 검증을 할 예정에 있다. 이를 통해 동파 예방 및 피해 최소화, 물절약 등 직간접적 편익이 기대된다.

  • PDF

Garden Alive : An interaction-enabled intelligent garden (Garden Alive : 상호작용 가능한 지능적인 가상 화단)

  • Ha, Tae-Jin;Woo, Woon-Ta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559-561
    • /
    • 2005
  • 본 논문은 사용자가 감각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가상공간의 지능적인 화단을 체험, 체감 할 수 있는 시스템(Garden Alive)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카메라, 조도, 습도 센서를 갖춘 현실공간의 화단과 상호작용에 사용되는 감각형 인터페이스, 진화모듈과 감정모듈을 갖춘 인공지능 모듈, 그리고 가상식물의 성장과 반응을 보여주는 Virtual Garden으로 구성된다. 감각형 인터페이스는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동작을 인식하고, 조도센서로 광량을 확인하여, 습도센서로 물의 양을 측정한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모듈은 식물의 진화 방향과 감정상태의 변화를 결정한다. Virtual Garden은 L-system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가상식물들은 실제 식물들과 유사한 형태로 성장하도록 한다. 제안된 Garden Alive에서 화단의 식물들은 각각의 개체마다.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식물의 다양성을 볼 수 있고, 빛과 수분 등의 환경요인에 따른 적합도를 평가함으로써 세대를 거듭함에 따라 진화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순히 자극에 반응하는 식물이 아닌 사용자와 상호작용에 따른 식물의 감정 변화를 통해 적절한 반응을 보이는 지능적인 식물을 구현하였다. 따라서 제안된 시스템은 오락과 교육을 위한 콘텐츠, 사용자에 따른 개별적 반응을 통해 심리적인 안정을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등으로 응용될 수 있다.

  • PDF

An Interaction System with Artificial Life based on Behavior and Perception in VR (가상현실에서 행위와 인지에 기반한 인공생명과의 상호작용시스템)

  • Park, Hyeon-Jin;Jo, Yong-Jin;Yang, Hyeon-Seu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8 no.7
    • /
    • pp.493-500
    • /
    • 2001
  • 사이버 캐릭터(이하 캐릭터라 함)는 가사 환경에서 동작하는 인공 생명체이다. 캐릭터는 기본적으로 센서 시스템과 동작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캐릭터는 센서 시스템을 통하여 가상 환경과 실세계를 인지하고, 사용자의 명령을 인식한다. 동작 제어 시스템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적합한 행위를 선택하여 캐릭터를 동작시킨다. 사용자는 캐릭터와의 상호작용과 더불어 지능적인 행동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가상 환경 속에서 현실감을 느끼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실감 있는 캐릭터와 가상 환경의 구축을 위한 3차원 그래픽 모델, 애니메이션 및 동작 제어 시스템, 실시간 영상 분석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고, 본 연구실에서 개발한 실험 결과를 소개한다.

  • PDF

The Design of Content using IR-Tracking System in the Spatial Virtual Reality Metaverse (공간 가상현실 메타버스내에서 IR-트래킹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설계)

  • Tae-Won Kim;Sang-Yoon Lee;Hyun-Woong Kim;Dae-Sol Lee;Dae-Sik Lee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6 no.5
    • /
    • pp.247-255
    • /
    • 2023
  • In order to create a virtual reality space in the metaverse, accurate tracking sensors and implementation are required. Most government agencies and corporations performs tracking to use their own tracking sensors and a base stations, such as VIVE. The VIVE method may have tracking problems due to spatial constraints and obstacles or nearby structures, and it is also that the number of people that can be accommodated within the space is also limited.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metaverse using an IR sensor tracking system to freely track the spatial virtual reality metaverse, and we experimented contents in metaverse by placing IR sensors additionally on the floor and ceiling if needed in order to flexibly configure the metaverse spac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tracking stability of the IR-tracking system was approximately 12% higher than the VIVE method. Additionally, adding more tracking sensors on the floor increases tracking stability and allows for a stable representation of virtual space.

Development of a Virtual Instrument System Using 3-demensional Acceleration Sensors and Digital Signal Processor (3차원 가속도 센서와 DSP를 응용한 가상 악기 시스템 개발)

  • Lee, Hui-Sung;Son, Dong-Kwan;Noh, Young-H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982-987
    • /
    • 2006
  • 고전의 관현악기에서부터 현대의 각종 전자악기까지, 인류는 그 문화와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악기를 개발하고 활용하였다. 최근에는 전기전자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센서와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여러 가지 음색과 효과를 내는 악기가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사람의 움직임을 직접 감지해서 음악적 도구로 활용하는 기술이 주목 받고 있다. 이를 위해 터치 센서(touch sensor), 비젼 센서(vision sensor), 자기장 센서(magnetic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등이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센서 기술로는 사람의 움직임과 관련된 위치, 속도, 가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직접 추출하기가 어렵고, 구현된 시스템도 공간의 제약을 받거나 혹은 구현된 부피가 크거나 복잡한 구성형태를 지니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사람의 움직임과 관련된 가속도 정보를 직접 감지해서 새로운 형태의 악기로 활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하고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6개의 가속도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과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활용 기술, Max/MSP 활용 기술이 응용 되었으며, 소형의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시그널 컨디셔닝(signal conditioning) 회로와 DSP 보드를 자체 개발하였다. 실험을 통해 사람의 움직임과 관련된 각종 정보가 적절한 소프트웨어의 활용으로 다양한 음색의 변화는 물론 음높이, 음량의 변화까지도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새로운 형태의 악기로써 무대 공연이나 노래방 등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Design of the Energy Efficient Virtual Backbone Construction in the Zigbee Network (지그비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한 가상 백본 설계)

  • Kim, Bo-Nam;Lee, Jin-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1 no.12
    • /
    • pp.2413-2418
    • /
    • 2007
  • IN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one challenging issue is to In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one challenging issue is to construct a virtual backbone in a distributed and localized way while considering energy limitation. Dominating set has been used extensively as core or virtual backbone in WSNs for the purposes like routing and message broadcast. To ensure network performance, a good dominating set construction protocols should be simple and avoid introducing extra message. In addition, the resulting dominating set should be small, connected, and take into account the energy level at each node. This paper studies efficient and simple virtual backbone construction protocol using defer time in IEEE 802.15.4- based WSNs (e.g. Zigbee). The efficiency of our proposed protocol is confirmed through simulation results.

Tracking of a Moving Target Using a Virtual Ultrasonic Image Technique) (가상의 초음파 영상기법을 이용한 이동물체 추적 알고리즘)

  • 한문용;송필재한헌수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1998.06a
    • /
    • pp.255-258
    • /
    • 1998
  • 이동로봇이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움직이는 물체의 존재를 판단하고 위치 및 속도벡터를 측정해야 한다. 본 논문은 단시간에 이동 물체의 위치와 속도벡터 추정하여 실시간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가상의 초음파영상 해석방법을 제안한다. 초음파 영상은 초음파센서의 매회 측정값을 누적하여 구성하며 거리축과 시간축을 갖는 2차원 영상으로 표현된다. 영상에서 측정된 물체가 만드는 선분의 기울기에 따라 이동하는 물체와 정지한 물체를 분리하고 속도를 측정한다. 제안된 방법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a Virtual Keyboard Using Infrared Distance Sensor (적외선 센서를 사용한 가상 키보드의 구현)

  • Jang, Su-Ho;Whang, Whan-Kyu
    • Journal of Industrial Technology
    • /
    • v.29 no.A
    • /
    • pp.77-82
    • /
    • 2009
  •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virtual keyboard using infrared distance sensor. A virtual keyboard allows a user to enter characters by selecting keyboard layouts with sensing areas. By projecting infrared light on any flat surface and detection devices we can sense the user's input characters. Unlike a conventional physical keyboard, the virtual keyboard provides convenience in terms of mobility, portability, and space savings.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FFTSA Method Using Water pulley Model (수차 모형 배열을 이용한 FFTSA 기법 성능 분석)

  • 최주평;이원철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521-524
    • /
    • 2001
  • 신호 대 잡음비가 매우 낮은 수중 음원을 탐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센서를 갖는 견인 배열 시스템을 운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수백 미터에 이르는 배열을 견인함이 끌고 다닐 때 파도와 같은 해수면의 움직임과 견인선의 기동 형태에 따라 원하는 배열 형태를 항상 유지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실제 수 중 환경에서 견인되는 배열의 왜곡된 형태를 시간적으로 뿐만 아니라 공간적으로 통합된 센서의 움직임 근거로 한 상관 형태를 잘 표현한 ""Paidoussis"" 방정식을적용하여 이 방정식의 간단화된 형태인 수차 모형(Water pulley)배열을 협대역 목표물 탐지에 이용하였다. [1][2][8] 수차 모형 구조의 배열을 이용하여 사상 기법을 적용하면 수차 모형의 왜곡 특성으로 인해 센서간 간격이 비균일성을 가지는 가상의 선형 배열이 형성되어 진다. 본 논문에서는 사상 기법에 의해 생성된 가상의 선형 배열을 토대로 합성 어패처 방식의 일종인 FFTSA(Fast Fourier Transform Synthetic Aperture) 기법을 이용하여 센서 배열의 입사각 추정 성능에 중대한 영향을 부여하는 코히어런스 주기에 따른 추정 성능의 변화 및 견인함의 이동 경로 변화에 따른 변동 경로 주기에 따른 성능 변화를 분석하였다.

  • PDF

A Virtual Instrument Control System With Reconstruction Mechanism Of Faulty Signal (오류신호 보정기능을 가진 가상계측 제어시스템)

  • 정영수;현웅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10a
    • /
    • pp.311-314
    • /
    • 2003
  • This paper describes a virtual instrument system with faulty sensor reconstruction mechanism based on personal computer. This system consists of sensor control board using 16bit RISC machine, error signal reconstruction algorithm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auto tunned GUI interface according to the attached sensors. USB module is used for fast communication between PC and sensor controller. To show the veridity of the proposed system, the proposed system was applied to the developed sun tracker with 8 solar sens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