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훈련시스템

Search Result 19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Presenta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3D Virtual Reality (3D 가상현실기반의 발표훈련시스템)

  • Jung, Young-Ke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4 no.4
    • /
    • pp.309-316
    • /
    • 2018
  • In this study, we propose a 3D virtual reality based presentation training system to help implement the virtual presentation environment, such as the real world, to present it confidently in the real world. The proposed system provided a realistic and highly engaging presentation and interview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speakers' voice and behavior in real time to be reflected in the audience of the virtual space. Using HMD and VR Controller that become 6DOF Tracking, the presenter can change the timing and interaction of the virtual space using Kinect, and the virtual space can be changed to various settings set by the user. The presenter will look at presentation files and scripts displayed in separate views within the virtual space to understand the content and master the presentation.

가상 개발환경 기반의 차량용 사이버훈련 프레임워크 설계: 공격 중심으로

  • YoungBok Jo;Subin Choi;OH ByeongYun;YongHo Choi;Hojun Kim;Seonghoon Jeong;Byung Il Kwak;Mee Lan Han
    • Review of KIISC
    • /
    • v.33 no.4
    • /
    • pp.23-29
    • /
    • 2023
  • 대부분의 임베디드 시스템은 기계장치와 전자기기 장치가 함께 작동되는 물리 장치로써, 이기종 네트워크, 복잡한 보안체계 등을 고려하여 가상화 기반 사이버훈련 환경이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차량을 대상으로 물리적인 실험환경에서 모의침투 등 사이버훈련을 수행한다는 것은 교통사고를 비롯한 안전사고 발생에 있어 위험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 개발환경에서의 공격 기반 차량용 사이버훈련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공격 기반 차량용 사이버훈련 프레임워크의 작동은 자동 활성화되는 가상의 CA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시작된다. 가상의 CA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가상 머신에서 간단한 부트스트랩 명령어 실행을 통해 파이썬 패키지와 Ubuntu 서비스 목록 설치 명령이 자동으로 실행되면서 설치된다. 이후 내부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와 공격모듈과 관련된 UI가 자동으로 Ubuntu Systemd에 의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어 시작과 동시에 준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이버훈련 UI 내 공격 모듈은 사용자에 의한 공격 선택 및 파라미터 셋팅 이후 차량의 이상 상태를 사이버훈련 UI에 다시 출력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가상 개발환경 기반의 차량용 사이버훈련 프레임워크는 자율주행 차량 사고의 위험이나 다른 특수한 제약 없이 사용자의 학습 경험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가상화 기반 사이버훈련 교육 콘텐츠와는 달리 일반 사용자들이 접근하기 쉬운 형태로 확장 개발이 가능하다.

Quantitative Analysis of Postural Balance Training using Virtual Bicycle System (가상 자전거 시스템을 이용한 자세균형 훈련의 정량적 분석)

  • 김종윤;송철규;홍철운;김남균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3 no.3
    • /
    • pp.207-216
    • /
    • 2002
  • This Paper describes a quantitative analysis of Postural balance training using virtual bicycle system. We have used a virtual bicycle system that combines virtual reality technology with a bicycle . In this experiment, 20 normal adults were tes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n Postural balance. Several factors including cycling time. cycling velocity. number of times of Path deviation, center of Pressure(COP) . and weight shift were extracted and evaluated to quantify the extent of control. Also, To improve the effect of balance training, we investigated the usefulness of visual feedback information by weight shif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ystem was effective Postural balanc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nd. in addition. the analysis method might have a wider applicability to the rehabilitation field.

The Effect of The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ystem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in Stroke (가상현실재활시스템 적용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인지기능, 자아존중감의 개선효과)

  • Kim, Young-Ge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8
    • /
    • pp.5476-548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e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ystem which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develop through clinical experiment for recovering the functional abilities in stroke. For this purpose, 24 Stroke(hemorrhage13, infarction11)participated in a clinical experiment.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ystem group(n=13) and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on training, motor control) group(n=11). All participant were evaluated with three standardized assessment tools(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FIM,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Korean; MMSE-K, Self-esteem scale) before and after the planned intervention sessions. All participant were intensively carried out for 8weeks, 3times a wee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basic cognitive abilities and self-esteem 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after the interventions(p<.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for all assessment tool after interventions. Because of this experimental results, the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ystem showed the clinical utility for recovering the function in strok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verify the clinical usefulness on the improvement of various functions in brain injury and dementia.

3차원 가상영상의 VTS 운용 및 VTS 교육훈련에의 활용

  • Kim, Yo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159-160
    • /
    • 2011
  • 기존의 VTS 교육훈련시설은 레이더 영상의 전시에만 의존하여 충실한 교육효과를 거두기 어려운 현실이었다. 최근에 선박 조종시뮬레이터에서 사용되던 3차원 가상영상을 VTS 관제운용에 접목하여 악천 후 등으로 인한 CCTV 활용 및 견시가 불가능한 때에도 선박의 현재 항해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가상영상의 제공이 관제사의 효율적이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 뒤, 기존 VTS 훈련 장비에 3차원 가상영상을 접목하여 보다 충실한 교육훈련효과를 거둘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았다.

  • PDF

Development of Management and Evaluation System for Realistic Virtual Reality Field Training Exercise Contents : A Case Study (실감형 가상현실 실전훈련 콘텐츠를 위한 관리 평가 시스템 개발 사례연구)

  • Kim, J.;Park, D.;Lee, P.;Cho, J.;Yoon, S.H.;Park, S.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6 no.3
    • /
    • pp.111-121
    • /
    • 2020
  • Realistic training contents utilizing intensive immersion of virtual reality are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industry, education, and medical care. High-risk, high-cost education training, in particular, is difficult to conduct in reality, but it can be applied with the latest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at enhances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efficiently and safely experiencing it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reality. This study introduces a management system that systematically manages realistic virtual training contents and visualizes training results in schematic pictures based on defined evaluation elements. The management system can store th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content in the database and manage the training records of each trainee in a practical way. In addition, a content-based scenario can be created in multiple scenarios by setting training goals, number of participants, and methods for applying evaluation elements. This paper describes the management system's production method and the results based on the virtual reality training content as an application example.

Learning/Training System Supporting Real Time Video Chatting on Web-based 3D Virtual Space (웹 기반 3차원 가상 공간에서 실시간 화상 대화 지원 학습/훈련 시스템)

  • 정헌만;탁진현;이세훈;왕창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571-573
    • /
    • 2000
  • 기존 분산 가상환경 시스템에서는 참여자들 사이의 언어 외적인 의사교환을 지원하기 위해 참여자의 아바타에 몸짓이나 얼굴 표정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애니메이션 가능한 아바타를 사용한다. 하지만 아바타 애니메이션으로 참여자의 의사 및 감정 표현을 표현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가상 환경 내의 다중 사용자들의 의사 교환 및 감정 표현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실시간 화상 대화 가상 환경 학습.훈련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시스템은 학습 참여자의 화상 및 음성 스트림을 전달함으로써 기존 응용들에 비해 풍부한 의사 교환을 지원하고, 가상 공간에서 학습에 필요한 다양한 모듈들을 포함하고 있다.

  • PDF

Mixed-Reality Based Situation Training System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발달장애인을 위한 혼합현실 기반 상황훈련 시스템)

  • Kim, Sung-Jin;Kim, Tae-Young;Lim, Chul-Soo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4 no.2
    • /
    • pp.1-8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a design of a situation training system supporting mixed-reality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The training scenario is developed for the disabled to improve the sense of sight and perception. The user sticks a virtual pin into a hole in the working board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the appropriate feedback is delivered based on the FSM(Finite State Machine). In order to improve the reality and the training effect, the user's hand is inserted in the virtual training environments and the tactile sensation is provided using the haptic device.

  • PDF

The Design of CBTS for KSNP Simulator using Virtual Reality (가상현실을 이용한 울진표준형 원전 시뮬레이터용 컴퓨터 지원 교육훈련시스템의 설계)

  • 박신열;유현주;이명수;홍진혁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73-77
    • /
    • 2000
  • 현재 발전소의 시뮬레이터 교육은 교재 위주로 시행되고 있어서 발전소의 입체영상이나 가상사고 진행에 따른 동적 상태변화 등을 실감있게 교육할 수 있는 교육설비가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가상현실 및 멀티미디어 기법을 적용하여, 발전소 전반 및 주 제어실 등을 3차원 모델로 개발하고 이를 입체영상으로 시각화하여 발전소의 복잡한 구조와 기능들을 설명하고, 운전 중 발생 가능한 다양한 사고에 대한 시나리오 선정 및 저작으로 운전원 교육시 시뮬레이터실이 아닌 강의실에서 사고현상 시뮬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설계를 완료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CAD 데이터 구축, 가상현실 시스템 개발, 웹 환경의 교육시스템 개발, MMI 화면개발을 통한 시뮬레이터 연동 시스템 개발 등을 구현하기 위해 현재까지 설계된 컴퓨터 지원 교육훈련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Stereo Sound Authoring Tool to Modify and Edit 2Channel Stereo Sound Source Using HRTF (HRTF를 이용한 2채널 스테레오 음원을 수정 및 편집 할 수 있는 입체음향 저작도구 개발)

  • Kim, Young-Sik;Kim, Yong-Il;Bae, Myeong-Soo;Jeon, Su-Min;Lee, D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909-912
    • /
    • 2017
  • In implementing a computerized virtual training system, the auditory element is responsible for the human cognitive ability following visual elements. Especially, the improvement of hearing abil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training, and it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the training effect.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und system that is necessary for constructing such a virtual training system as a test system that can use a sound source using a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 Functional and auditory tes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system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