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작업환경

Search Result 336,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COINS- I : 가상발전소 개념에 따른 원자력 극한작업을 위한 지능형 상호협조 훈련시스템의 모델링

  • Cha, K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a
    • /
    • pp.608-613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고온, 고압, 그리고 방사능 준위가 높은 원자력발전소 구조물의 극한환경(Hazardous Environments)에서의 점검 및 보수에 대한 작업자의 훈련을 위해 지능형 상호협조 훈련시스템 (COINS-I: COoperative INtelligent training System-I)의 개념모델을 제안하였다. 비교적 방사능준위가 높은 격납용시 구조물과 보조(Auxiliary) 빌딩을 일차적 극한작업환경으로 설정하였다. 격납용기 구조물과 보조빌딩에 대한 가상발전소 환경(Virtual Plant Environments)을 모델링하여, 극한환경에서의 점검 및 보수훈련 Pilot 연구를 COINS-I의 개발목적으로 하였다. COINS-I은 점검, 보수훈련을 위한 가상발전소 환경을 갖는 극한작업 시뮬레이터, 지능형 Tutoring 기능을 갖는 극한작업 훈련프로그램, 3차원 가상인터페이스 등의 훈련장비를 갖는 훈련설비로 구성된다. COINS-I을 통한 교육 및 훈련 궁극적으로 작업자가 경험치 못한 극한작업(예를들면, 원자로해체, 중대사고, Life-extension 등)의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한 훈련이 가능하여 방사능 피폭량을 저감하며, 극한작업 자동화를 위한 연구에의 활용이라 하겠다.

  • PDF

네트워크 가상환경에서 확장가능한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시스템

  • 이병극;이헌주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25 no.2
    • /
    • pp.32-39
    • /
    • 1998
  • 전화나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환경이 보편화됨에 따라 사용자는 통신망을 통해서 원거리 사용자와 공동작업(Collaboration)을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러한 사용자들간의 공동작업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상에서 공동작업을 할 수 있는 가상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공간과 다양한 멀티미디어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들이 쉽게 공동작업을 할 수 있게 해 주는 시스템인 Webber에 대해서 설명한다. Webber는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를 기반으로 각각의 클라이언트가 IP 멀티캐스팅을 이용하여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복합형(Hybrid)구조의 시스템이다. Webber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담당하는 Service-PUP과 이를 관리하는 Framework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서비스의 추가, 삭제,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 PDF

A Study on the Force Reflecting Teleoperation System Based on Virtual Environment (가상환경을 이용한 힘반영 원격조작 시스템에 관한 연구)

  • 김대현;김영동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5 no.1
    • /
    • pp.63-71
    • /
    • 2000
  • 원격조정 시스템에서 힘정보는 중요하다. 그러나 특수 응용 분야에 적합한 크기와 측정의 정확성을 가지는 힘 센서의 적용은 매우 어렵다. 더욱이 힘 정보의 전송으로 인한 시간지연으로 시스템은 불안정 되기 쉽다. 본 논문은 가상환경을 이용한 원격조정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시스템은 그래픽 시뮬레이션 처리부, 슬레이브 제어부 그리고 역감 제시부로 구성되어진다. 슬레이브 암이 작업물체와 접촉작업을 할 때 역감은 가상환경에서 계산되어지므로 힘 선세와 시간지연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으로 접촉작업에 대한 힘 제시 원격조정을 수행하였고, 실험결과를 통해서 안정된 접촉작업을 확인하였다.

Analyzing performance imbalance between virtual machines caused by excessive use of GPU memory in RPC-based GPU virtualization environments (RPC 기반 GPU 가상화 환경에서 GPU 메모리의 초과 사용 시 발생하는 가상머신 사이의 성능 불균형 문제 분석)

  • Kang, Jihun;Lee, Jaehak;Gil, Joon-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113-114
    • /
    • 2019
  •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가상머신의 고성능 연산을 지원하기 위해 Graphic Processing Unit(GPU)를 사용한다. 가상머신들은 공평성을 위해 독립적인 가상머신 스케줄러를 사용하기 때문에 컴퓨팅 자원의 초과 사용으로 인한 성능 저하가 발생해도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는 가상머신들의 성능은 균등하게 측정된다. 하지만 GPU 연산의 경우 다중 작업을 수행할 때 하드웨어 기반 스케줄러를 사용하며 가상머신의 입출력 작업을 위한 하이퍼바이저의 First In First Out(FIFO) 기반 스케줄링 기법으로 인해 가상머신 사이의 공평성을 보장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GPU 메모리를 초과 사용하는 환경에서 가상머신들의 성능을 측정하고 성능 불균형으로 인한 문제를 분석한다.

GPGPU Task Management Technique to Mitigate Performance Degradation of Virtual Machines due to GPU Operation in Cloud Environments (클라우드 환경에서 GPU 연산으로 인한 가상머신의 성능 저하를 완화하는 GPGPU 작업 관리 기법)

  • Kang, Jihun;Gil, Joon-Min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9 no.9
    • /
    • pp.189-196
    • /
    • 2020
  • Recently, GPU cloud computing technology applying GPU(Graphics Processing Unit) devices to virtual machines is widely used in the cloud environment. In a cloud environment, GPU devices assigned to virtual machines can perform operations faster than CPUs through massively parallel processing, which can provide many benefits when operating high-performance computing services in a variety of fields in a cloud environment. In a cloud environment, a GPU device can help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virtual machine, but the virtual machine scheduler, which is based on the CPU usage time of a virtual machine, does not take into account GPU device usage time,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other virtual machines. In this paper, we test and analyze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other virtual machines due to the virtual machine that performs GPGPU(General-Purpose computing on Graphics Processing Units) task in the direct path based GPU virtualization environment, which is often used when assigning GPUs to virtual machines in cloud environments. Then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GPGPU task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machine.

Analysis to Impact of Monitoring interval on Performance of Virtual Machine in Cloud Environments (클라우드 환경에서 모니터링 주기가 가상머신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분석)

  • Hwang, Seunghyun;Bak, Bongwoo;Lee, Jaehak;Yu, Heon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05a
    • /
    • pp.260-261
    • /
    • 2018
  •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가상머신을 사용하는 클라우드 환경은 자원 사용량을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에 사용자의 자원 요구량과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마이그레이션, 오토스케일링과 같은 가상머신 관리 작업을 수행한다. 가상머신 관리 시 참조되는 가장 중요한 정보는 가상머신과 물리머신의 자원 모니터링 정보이다. 클라우드 센터에서 자원 모니터링 작업은 가상머신 관리 시 필수적이지만 모니터링 정보 수집 시 사용하는 자원은 물리머신의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모니터링 주기가 짧으면 모니터링 작업을 위한 자원 사용으로 인해 가상머신과 자원 경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물리머신에서 실행 중인 가상머신의 작업의 유형에 따른 최적의 모니터링 주기를 도출하기 위해 자원 모니터링 주기가 가상머신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모니터링 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가상머신의 성능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의 모니터링 주기를 도출한다.

Fuzzy Logic-driven Virtual Machine Resource Evaluation Method for Cloud Provisioning Service (클라우드 프로비저닝 서비스를 위한 퍼지 로직 기반의 자원 평가 방법)

  • Kim, Jae-Kwon;Lee, Jong-Si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2 no.1
    • /
    • pp.77-86
    • /
    • 2013
  • Cloud computing is one of the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s and utilizes several computing resources. Cloud environment uses a virtual machine to process a requested job. To balance a workload and process a job rapidly, cloud environment uses a provisioning technique and assigns a task with a status of virtual machine. However, a scheduling method for cloud computing requires a definition of virtual machine availabilities, which have an obscure meaning. In this paper, we propose Fuzzy logic driven Virtual machine Provisioning scheduling using Resource Evaluation(FVPRE). FVPRE analyzes a state of every virtual machine and actualizes a value of resource availability. Thus FVPRE provides an efficient provisioning scheduling with a precise evaluation of resource availability. FVPRE shows a high throughput and utilization for job processing on cloud environments.

A Multiuser Realtime VR System for Interior Design (다중사용자의 실시간 가상현실 인테리어 디자인 시스템)

  • Jung, Myong-Muck;Kim, Goo;Choi, Jung-Il;Chae, Chang-Byong;Lee, Mye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603-605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웹 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준 VRML을 이용하여 구성한 가상환경에 대해 클라이언트/서버의 통신 환경에서 다중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으로 그 가상환경을 변경하는 방법과 공동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개발에 대해 기술한다. 본 시스템은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웹 브라우저의 플러그인으로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을 기반으로하여 개발한 가상현실 인테리어 디자인 시스템은 VRML로 작성된 인테리어 파일을 일반적인 가상현실 브라우저의 특성인 일반적인 브라우징 작업 외에 가상현실 내에 객체 조작과 변형 및 새로운 객체 첨가 등의 일련의 작업을 할 수 있다.

  • PDF

Design of Application Sharing System for Collaborative Works in 3D Virtual Environment supporting Multi-Participants (다중 참여자를 지원하는 3차원 가상환경에서 공동작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공유 시스템 설계)

  • Tak, Jin-Hyun;Lee, Sei-Hoon;Wang, Chang-Jo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7 no.2
    • /
    • pp.355-364
    • /
    • 2000
  • Application sharing for collaborative works make multiple participants to be capable of collaborative developments through sharing development tools and applications which is distributed to various system without spatial restriction. However, applying legacy application sharing to CSCW based virtual environment has a problem because it dont consider 3D space and it disturbs the harmonic interaction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 designed application sharing system for collaborative works in 3D virtual environment to share application effectively on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 The designed application sharing system for collaborative works in 3D virtual environment consist of application sharing manager, group manager and communication manager. This system is able to perceive event of 3D space about application of participant on 3D virtual environment by agent which moves to participant sites and get an ordered events and conflict among participants through scheduling. Therefore, designed application sharing system for collaborative work in 3D virtual environment can support efficient collaborative works and improve reusability of legacy application through using easily legacy application in 3D virtual environment when CSCW application development for virtual environments.

  • PDF

A Study on Method for Load Balancing in Desktop Cloud Computing Environment (데스크탑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로드 밸런싱 기법에 관한 연구)

  • Shin, Eun Hwan;Kim, Jee Hong;Eom, Young 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234-237
    • /
    • 2010
  •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발전으로 서버 환경에 한하여 적용되었던 가상화 기술이 데스크탑 환경으로 빠르게 확산되어가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은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하나의 물리적 자원위에서 여러 개의 가상 머신을 운용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기법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기존 서버 가상화 환경에서의 로드 밸런싱 정책은 프로세서와 네트워크 사용률을 주된 로드 측정의 기준으로 삼았다. 그에 반해 데스크탑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하에서의 데스크탑 가상 머신은 사용자 유형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작업 요청을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처리 중인 작업의 특성을 고려한 보다 유연한 로드 밸런싱 정책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데스크탑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 적합한 로드 밸런싱 정책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안하는 기법이 가지는 효율성을 기존 방식과 비교 및 분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