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상공동체의식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5초

가상공동체의 지식선순환을 위한 지식탐색과 공유에 관한 연구 (Towards the Virtuous Circle in Virtual Community through Knowledge Seeking and Sharing)

  • 김재경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2호
    • /
    • pp.19-38
    • /
    • 2014
  • 본 연구는 지식경영연구에서 비교적 적은 관심을 받아온 지식탐색행동인 지식브라우징(knowledge browsing)과 지식검색 (knowledge seeking)의 역할을 가상공동체 환경에서 조사하였다. 지식탐색행동이 가상공동체의식을 매개요인으로 지식공유의도와 가상공동체홍보에 양의 영향을 끼치는 선행요인으로 고려되었다. 연구가설들은 한 가상공동체의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능동적 지식탐색행동은 가상공동체의식에 양의 관계를 보였고, 가상공동체의식은 지식공유의도와 공동체홍보에 양의 관계를 보였다. 실무자들은 본 연구를 통해 회원들의 지식탐색행동이 가상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 효과가 있고 결국, 지식공유활성화와 가상공동체 홍보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식탐색행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회원들이 가상공동체로부터 지식을 얻고, 다시 지식을 가상공동체에 공유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공동체를 홍보하게 되는 가상공동체의 선순환적 발전을 꾀할 수 있다.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웹기반 인성교육 시스템 설계 (A Web-based Humanity Education System Design to Build Consciousness of Union)

  • 김유호;박선주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71-178
    • /
    • 2004
  • 현대사회는 산업사회의 발달에 따른 물질 만능주의로 인해 이기적이고 배타적인 사회풍조가 사회 전반으로 점차 확산되면서 전통적 가치관이 경시되고 공동체 의식이 퇴색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터넷의 발달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가정과 학교가 가상의 공간에서 정보의 공유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웹을 활용한 인성교육이 가능해졌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웹의 특성을 활용하여 학습자가 다양한 체험활동 중심의 인성교육을 마을 단위로 실천하도록 한 후 웹 상에 구축된 인성교육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신이 체득했던 체험활동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학생, 교사, 학부모가 상호 작용하게 함으로써 학습자가 지속적으로 인성 교육에 관심과 흥미를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인성교육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더 나아가 웹기반 인성교육 시스템을 통해 마을을 사랑하는 마음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여 마을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갖고 상부상조하는 전통을 가꾸어 나가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가상커뮤니티 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Virtual Community Success)

  • 김상훈;조승철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49-69
    • /
    • 2006
  • 가상커뮤니티가 기업의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인터넷 사용자의 인터넷 사용의 주요한 동인이 되고 있음에도 가상커뮤니티 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가 아직까지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 가상커뮤니티 성과의 대표적 성과변수인 사용자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들은 일부요인들에 대해 진행되었으나 영향요인들을 보다 종합적으로 포함하는 연구는 시도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커뮤니티 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통합적인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실증분석을 행하였다. 본 연구모형에 포함된 영향요인은 가상커뮤니티 운영요소 개인특성, 유용성, 신뢰 몰입 등 5가지 변수이며 성과변수로서는 가상공동체의식, 충성도 구매의도 등 3가지이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가상커뮤니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92개의 유효한 응답설문으로 LISREL 분석을 이용하여 연구모형 및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가상커뮤니티 운영요소 및 개인특성이 가상커뮤니티 성과의 영향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매개변수들로서 유용성, 신뢰, 몰입이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몰입과 충성도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과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가 모두 지지되었지만, 성과변수들 중 가상공동체의식의 경우는 새로운 지표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