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상공간실험

Search Result 36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Distance Estimation in Virtual Space According to Change of Resolution of Static and Dynamic Image (가상현실공간에서 정적 및 동적 이미지의 해상도 변화에 따른 거리추정에 관한 연구)

  • Ryu, Jae-H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3
    • /
    • pp.109-119
    • /
    • 2011
  • The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has been used as the application of architectural presentation or simulation tool in the field of industry. The high immersion and intuitive visual information are the great merits of design evaluation or environmental simulation when we are using the virtual environments. But the distortion of distance perception in VR is still a big problem when the accuracy of distance presentation is strictly required. For example, distance estimation is especially important when the virtual environments are applied to the presentational tool for evaluation the space design or planning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If there are some perception error between the built space in real and represented space in virtual, the accurate design evaluation or modification of design is hard to be carried out during the design development stage. In this paper, we have carried out some experiments about distance estimation in the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to verify the factors and their influence. We made a hypothesis that the lack of the information for the user in VR causes the different distance estimation from the real world because users are usually comfortable with moving fast and long distance in VR environments compared with moving slow and short distance in real space. So, we carried out basic experiment to prove our hypothesis that the lack of information makes subjects estimate the distance of walking in VR shorter compared with the same distance in real. Also, among the factors that probably affect the distance estimation in VR, we have verified the influence of the image resolution. The influence of resolution degradation of image on the distance estimation was verified with the condition of static and dynamic imag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olution has deep relation with the distance estimation. For example, the subject underestimated the distance at the lower resolution condition. We also found the methods of the making the lower resolution image could affect on the visual perception of subjects.

A Basic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of Three-Dimensional Electronic Nautical Chart in the Virtual Space (가상공간에서 3차원 전자해도 구현을 위한 기초 연구)

  • 김봉석;김창경;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1.05a
    • /
    • pp.71-79
    • /
    • 2001
  • 가상공간(virtual space)에서 3차원 전자해도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하였다. 가상현실 언어인 VRML 과 IDL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DEM 자료로부터 3차원 지형객체를 제작한 후, VRML 브라우저인 데이터를 호출하여 지속적으로 이동 가능하였다. 실험결과, 3차원 지형객체를 가상공간에 가시화하였다. 또한, 가상공간에서 객체가 임의의 GPS 데이터  호출하여 지속적으로 이동 가능하였다. 실험결과, 3차원 전자해도 구현에 대한 방법과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Study on Parameters for Optimizing Cognitive Distance in Virtual Environment (가상공간에서의 거리감 인지 최적화를 위한 제어 요소 도출 연구)

  • Lee, Jung-Gi;Sul, Se-Hee;Kim, Nam-Gyu;Yang, U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058-1059
    • /
    • 2017
  • 현실의 물리적인 공간에서의 상호작용으로 얻은 경험을 가상현실에서 완전 몰입형 HMD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동일하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상공간 내의 사물의 위치, 높이와 같은 거리감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느끼는 실재와 가상 간 거리감 보정을 위한 제어 요소 도출을 위해 인체 데이터인 IPD, 키, 눈높이를 측정하여 실험에 반영한다. 실험 시 보다 높은 가상공간 상 거리감 인지를 위해 현실에서의 50cm, 100cm 거리감 인지 훈련을 수행한다. 실험자는 가상공간 상에서 85cm 거리에 위치한 판자를 시각적으로 가늠 후 인지한 만큼 이동하게 되고 그 거리를 측정한다. 측정된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한 분산 분석을 통해 각 데이터 간의 관계를 파악한다.

A study of user performed Virtual Space Storybook (사용자 참여 가상공간 스토리북 구현)

  • Park, Su Jin;Jung, Moon Ryul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5 no.3
    • /
    • pp.115-122
    • /
    • 2019
  • We In this study, We tested for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virtual space story books were planned. The proposed virtual space concept, a story book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Virtuality, was implemented Several steps are needed to proceed with the virtual space storybook's story. First, a user brings a real object in to virtual space and recognizes the real object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object-recognition software. Second, when object recognition progresses, the virtual 3D model is augmented in the virtual space, which is then inserted into the virtual space and rendered. Finally, software projected a virtual space storybook on the desk in which users can touch and select real-objects. This virtual space storybook was implemented using the new story-making technology by applying the virtual space concept. the Augmented Virtuality concept is to augment real objects based on virtual space. To confirm this we tested a user test using the virtual space storybook. the user seemed as if can the distinction between real objects and virtual images. Also very well and that understood the process of putting the real objects in virtual space.

Human Performance Variations in the different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s of a Stereoscopic Display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공간적, 시간적 해상도에 따른 인간성능 평가)

  • 박재희;박경수;고희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81-184
    • /
    • 2000
  • 가상현실 시스템은 대부분 가상세계에 대해 사용자의 3차원 제어작업을 요구하게 된다. 이때 3차원 제어작업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입출력장치의 최적 설계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표시장치의 주요 설계요소인 공간적 해상도(spatial resolution), 시간적 해상도(temporal resolution or frame rate), 가상세계의 복잡도가 3차원 제어작업의 인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3 조건의 화면 해상도, 2 조건의 프레임 레이트(18 Hz고정과 18Hz 이상 변동 최대화 조건), 3 조건의 가상세계 복잡도에 대한 18 조합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18Hz 로 고정된 프레임 레이트 조건이 프레임 레이트를 그 이상 최대로 하는 것보다 더 좋은 제어성능을 보였다. 화면 해상도는 높을수록 제어성능이 향상되었다. 가상세계의 복잡도에서는 방향정보만 주는 경우가 방향 정보가 없는 경우나 너무 많은 정보가 있는 경우보다 나은 성능을 보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가상환경 시스템의 표시장치나 가상세계 설계에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in Virtual Environments and with Textual Enhancement Techniques in the Metaverse (메타버스의 가상환경과 텍스트 강화기법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 효과)

  • Jeonghyun Kang;Seulhee Kwon;Donghun Chung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25 no.1
    • /
    • pp.155-172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through diverse treatments in virtual settings, particularly by differentiating virtual environments with three textual enhancement techniques. A 2 × 3 mixed-factorial design was used, treating virtual environments as within-subject factors and textual enhancement techniques as between-subject factors. Participants experienced two videos, each in different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with one of the random textual enhancement techniqu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virtual environments and textual enhancement techniqu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presence among groups. In examining main effects of virtual environme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flow and attitude toward pre-post learning. Also, main effects of textual enhancements notably influenced flow, intention to use,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confidence.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of Metaverse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suggesting that learner experiences and effects vary with different virtual environments.

2D Map-Based Navigation in 3D Virtual Environment (2차원 Map 기반 3차원 가상공간 Navigation)

  • Gwon, Tae-Uk;Choe, Yun-Cheol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8 no.4
    • /
    • pp.327-337
    • /
    • 2001
  • 이 논문에서 제시된 2D Map-Based Navigation (MBN)은 다중 사용자 환경의 가상공간을 이동할 때, 실세계와 유사한 이동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공간에 대한 현장감 및 현실감의 제고에 초점을 두었다. MBN은 사용자들이 가상공간에서 발생하기 쉬운 spatial loss를 방지하고, 이동 시 부가적인 입력이 없이도 일정한 속도로 이동을 지원하는 Automatic Constant-velocity Navigation, 이동중 장애물 및 다른 사용자(아바타)와의 충돌현상을 감지 및 회피하는 Collision Detection and Avoidance, 그리고 충돌회피 후 기존 방향으로의 계속된 이동을 지원하는 Path Adjustment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MBN은 spatial loss의 방지, 사용자의 부가적인 노력의 감소 및 병행작업의 보장, 현실과 유사한 사용자 중심의 navigation 기법의 제공, 그리고 가상공간과 현실과의 괴리를 줄임으로써 가상현실이 추구하는 현실감 및 현장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MBN이 사용자 중심의 매우 자연스럽소, 쉽고 편리한 가상공간 navigation 인터페이사라는 평가를 얻었다.

  • PDF

Creation and Retrieval Method of Semantic Annotation Objects in 3D Virtual Worlds (3D 가상공간에서 시멘틱 어노테이션 객체의 생성 및 검색 기법)

  • Kim, Soo-Jin;Yu, Seok-Jo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3 no.5
    • /
    • pp.11-18
    • /
    • 2008
  • One of important Issues in computer graphics field is to communicate among users in virtual world like secondlife. However, in 3D virtual world, users' needs to wish to build their own contents in 3D virtual space are rising, similarly, users produce own homepage and animation, and leave writing in notice board. In this paper, we tried to achieve this by introducing semantic annotation object concept, which is a kind of annotation method in 3D virtual world. User can retrieve an 3D object by searching corresponding annotation data. This method can build semantic 3D virtual world and enable users to search 3D objects by integrating 3D object and 2D semantic multimedia information. Also, through a comparison experiment with proposal system and general 3D virtual world. the performance of proposed system is evaluated.

  • PDF

Resource Allocation for Networked Virtual Reality Systems (네트워크형 가상현실 시스템에서의 자원할당)

  • 오세웅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4 no.2
    • /
    • pp.130-135
    • /
    • 2001
  • When a networked virtual reality system handles composite media audio and video as well as three dimensional computer graphics, the quality of the virtual space is greatly affected by the current available network, and end system resources. Even if the network can preserve a certain amount of resources, the required resources change dynamically according to the user\`s navigation of a large virtual space, and then it may decrease the quality of the virtual space. In this paper, a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is proposed and the proposed system copes with the deterioration of quality of virtual spaces in case that the starvation of system resources occur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fficient.

  • PDF

시각 주목 정보에 기반한 자율 가상 캐릭터의 인지 메모리 설계

  • Cha, Myeong-Hui
    • 한국게임학회지
    • /
    • v.6 no.1
    • /
    • pp.52-54
    • /
    • 2009
  • 프로그램된 정보를 사용하는 자율 가상 캐릭터는 항상 반복된 패턴 행동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흥미를 잃는 경우가 많고 현실성도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율 가상캐릭터가 자율적으로 인지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한 정보를 활용하여 상황에 맞는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메모리 체계를 제안한다. 본 논문은 자율 가상 캐릭터가 시각 주목으로 인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메모리 체계의 모델을 제시한다. 메모리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게임 환경에 적합한 빠른 시각 주목 알고리즘을 연구하여 중요하고 눈에 띄는 정보만 저장한다. 자율 가상 캐릭터의 인지 메모리를 크게 시각 기억와 공간 관계 기억 구조로 구성한다. 시각 기억은 쿼드그래프로 구현된 저장 구조에 인지한 정보를 저장한다. 공간 관계 기억은 공간 관계 그래프 이론을 기반으로 객체들간의 방향과 거리 정보를 저장한다. 본 논문의 제안 방법을 가상 환경에서 실험한 결과, 자율 가상 캐릭터는 시각 주목 기능으로 3차원 가상 환경의 동적 객체까지 감지하여 자율적으로 정보를 주목하여 저장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자율 가상캐릭터는 메모리 정보를 활용하여 목표 객체를 빠르게 탐색하며 길찾기에 필요한 경로 계획을 수립한다. 성능면에서는 주목맵만들기 위한 특징맵으로 가장 주목할 수 있는 특징들로 구성하여 처리속도가 1.6배 이상 향상됨을 확인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