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변시설

Search Result 6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Design and Practical Use of Multi-purpose Auditorium with Priority given to Variable Application in Educational Facility (다목적강당의 계획과 활용에 관한 연구 - 가변성 적용을 중심으로 -)

  • Chi, Hyun-Jung;Lee, Jung-Ran;Lee, Sang-H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12 no.6
    • /
    • pp.5-17
    • /
    • 2005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architectural design standards of the Multi-purpose Auditorium planning in educational facilities. The success of the design is measured by how well variable elements are applied to parts of Multi-purpose Auditorium and designed and equipped so that all groups-amateurs, professionals, youth, and adult alike-may use it effectively. The use of this facility will extend over a wide range, including concerts, plays, motion pictures, forums, and other forms of presentation. The wall, stage, roof, windows, and furnitures are important parts of Multi-purpose Auditorium and variable elements can applied to these parts. To successfully application of variable elements, it is necessary that these elements are considered in planning phase including time schedule planning. Various elements are permit a more informal and flexible arrangement and extensive learning activity.

Introduction of seven-type channels on large experimental facility (대형 수리모형 실험시설의 7종 실험수로 구축 소개)

  • Yoon, Jae-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36-236
    • /
    • 2018
  •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에 구축되고 있는 대형 수리모형 실험시설은 수공구조물에 대한 수리모형실험 수행, 설계기준 제 개정, 호안 검인증제도 지원 등 국가의 정책지원과 개방 공유를 통한 국내 건설기업의 하천분야 신기술 개발 및 국가 경쟁력 확보, 하천 관련 원천기술 확보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고 있는 대규모 분산공유형 실험시설에 해당한다. 본 사업의 일환으로 현재 구축 진행되고 있는 7종의 실험수로는 장기하상변동, 토석류, 실규모 호안블록, 감세공 수리특성, 신형어도개발 등 다양한 수리특성에 대한 계측 및 분석이 가능한 대형 실험시설에 해당한다. 7종의 실험수로는 PIV시스템의 연계 계측이 가능한 1) 고정식개수로, 2) PIV실험수로와 1/5의 역경사 재현이 가능한 3) 가변식경사수로, 호안블록 및 사석의 소류력 측정이 가능한 4) 고정식급경사수로, 토석류흐름 측정이 가능한 5) 가변식하도실험수로, 장기하상변동 분석을 위한 6) 대형유사순환수로, 부유사의 침 퇴적 양상 재현을 위한 7) 소형유사순환수로로 구성되어진다. 7종의 실험수로는 '18년 2월에 착공하여 현재 실시설계도서를 검토 중에 있으며, 18년 9월에 준공될 예정이다.

  • PDF

Power Consumption Comparison of the Variable Speed Blower Motor Operation (블로워 전동기 가변속 운전방식에 따른 소비전력 비교분석)

  • Kim, Jeong-Tae;Bae, Sungw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830-830
    • /
    • 2015
  • 최근 기존 도시철도역사의 환기 설비 노후화로 인해 성능과 효율이 저하되고 있다. 또한, 상황에 따른 요구 환기량을 반영하여 풍량 조절이 불가해 효과적인 환기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에 따른 냉 난방시설의 전력 소비 증가와 화석연료의 고갈로 전력 단가가 상승함으로써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높은 고효율 영구자석 전동기를 포함한 블로워의 도입에 대한 방안과 기존 환기설비의 on/off제어에서 가변속 운전방식에 따른 방안이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논문은 가변속 운전 방식의 도입이 미치는 영향검토를 위해 가변속 운전 방식의 도입에 대한 에너지 절감효과를 예측하고, 기존설비와의 효율을 비교하고 검토할 수 있는 MATLAB 기반의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MATLAB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블로워 전동기 가변 속 운전방식에 대한 소비전력량 차이를 입증하였다.

  • PDF

Flexible and Lined Segment Tunnel for Underground Compressed Air Energy Storage(CAES) (복공식 압축공기 지하저장을 위한 가변성 분할 라이닝 터널기술)

  • Kim, Hyung-Mok;Rryu, Dong-Woo;Chung, So-Keul;Song, Won-Kyong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9 no.2
    • /
    • pp.77-85
    • /
    • 2009
  • Flexible and lined segment air-tight tunnelling technology for Compressed Air Energy Storage-Gas Turbine(CAES-G/T) power generation was introduced. The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the air-tight tunnel system can be summarized by two facts. One is that the high inner pressure due to compressed air is sustained by surrounding rock mass with allowing sufficient displacement of lining segment. The other is that the air-tightness of storage tunnel was enhanced by adopting a specially designed rubber sheet. The flexible lined air-tight underground tunnel can be constructed at a comparatively shallow depth and near urban area so that the locally distributed CAES-G/T power generation can be accomplished. In addition, this air-tight tunnelling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energy underground storage tunnels such as Compressed Natural Gas(CNG), Liquifed Petroleum Gas(LPG), DeMethyl Ether(DME) etc.

Water Treatment By VPMF (VPMF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 최충현;유승철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10a
    • /
    • pp.107-108
    • /
    • 1997
  • 1. 서론 : 분리막 시설의 전처리방법에는 Sand Filter, 유니필터 그리고 케트리지(5$\mu$m) 필터가 상용되어 왔다. 그러나 Sand Filter와 유니필터 등은 설치비용은 저렴하지만 처리수질이 5$\mu$m 케트리지 필터보다 떨어지므로 분리막시설의 전처리로 미흡하다. 통상적인 분리막 시설의 설계시에 사용되는 5$\mu$m 케트리지 필터는 역세가 불가능하므로 교체하지만 대규모의 수처리설비나, SS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 있어서 분리막의 전처리시설로 적합치 않다. 한편 5$\mu$m 케트리지 필터는 대체하기 위한 정밀여과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Z필터, BMF, Cross Filter 등이 그러한 여과장치들이다. 본 글에서 소개할 VPMF(Variable Pore Micro Filter, 가변세공 정밀여과장치)도 그러한 여과장치와 유사한 기능과 성능을 가진 정밀여과장치이다. 본 연구에서는 Caolin을 이용하여 50~100ppm 사이의 SS농도하에서 VPMF의 처리수질, 역세효율, SS포집능력 등을 평가해 볼 것이다.

  • PDF

전기설비의 고조파 장해 및 대책기수

  • Yu, Sang-Bong;Kim, Se-Dong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177 no.5
    • /
    • pp.48-53
    • /
    • 1997
  • 전력전자기술 발전에 따라 최근의 전기설비에서는 FA 및 OA용 전원은 정보통신용 전원으로 무정전 전원장치가 필수적으로 시설되고 있다. 또한 성에너지를 위한 전동기 가변속 구동장치가 많이 채택되고 있다.

  • PDF

고조파(高調波)에 대한 의문점을 풀어본다(1)

  • Yu, Sang-Bong;Lee, Sun-Hyeong;Gang, Chang-Won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08 no.12
    • /
    • pp.44-54
    • /
    • 1999
  • 최근 전력전자기술의 발전에 따라 Power Electronics를 이용한 기술이 다양화되고, 그 응용 범위가 확대되어 FA 및 OA용, 정보통신용전원으로 무정전전원장치가 필수적으로 시설되고 있으며 또한 에너지를 위한 전동기 가변속 구동장치가 많이 채택되고 있다.

  • PDF

건설안전리포트 - 신동아건설 신문로 2구역 제5지구업무시설 신축현장

  • Choe, Jong-Deok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45
    • /
    • pp.12-14
    • /
    • 2010
  • 서울의 중심 종로구, 한국의 선진 경제를 상징하는 각종 건축물이 모여 있는 곳. 우뚝 솟은 건물들은 아름다운 스카이라인을 연출하며 이곳을 오가는 수 십만 행인들의 탄성을 자아낸다. 지금 이곳에선 또 하나의 우수한 건축물이 베일을 벗고 기대에 찬 사람들을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다. 그 주인공은 바로 신동아건설 신문로 2구역 제5지구업무시설 신축현장. 이곳을 흙먼지 펄펄 날리는 흔한 건설현장이라고 생각한다면 큰 오해를 할 것이다. 외관에서 내관에 이르기까지 깨끗이 정리된 모습은 현장을 방문한 이들이 '이 곳이 건설현장이 맞나'하는 의구심까지 들게 한다. 또한 '조금의 진동과 약간의 먼지도 허용하지 않겠다'는 투철한 각오로 도심 속 현장에 맞는 공법을 도입, 조용함 속에 철저한 시공을 진행하고 있다. 이곳 현장은 지하 5층~지상 14층 규모의 업무시설로 현재 46.5%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2010년 10월을 준공일로 예정하며, 준공까지는 대략 10개월 남짓 남은 상황, 현재까지 무재해를 이어가고 있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공정에다 여러 협력업체들이 모여 있는 건설현장의 가변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무재해를 이어오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배경에 대해 이곳 현장의 임직원들은 현장 내 자연스럽게 자리잡고있는 '자율적인 안전관리 문화'와 '감성안전문화'를 꼽는다.

  • PDF

Development of Variable Air Mattresses for Shelter based on Disaster Prevention Design (방재디자인기반 구호소 가변식 에어매트 개발)

  • Noh, Hwang-Woo;Chung, Yong-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2
    • /
    • pp.80-87
    • /
    • 2022
  • Most of the disaster relief items provided to sufferers and temporary evacuees that are supposed to be victims in Korea are not suitable for the shelter environment of temporary housing facilities, and are not satisfactory because they do not have the functions, proper size and ty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er needs of emergency rescue relief items by presenting problems about the use environment and to develop the variable air mattresses which are based on disaster prevention design. In order to secure objectivity such as usability, convenience, and durability, research data are limited. However, the difficulty of mass spreading of conventional fiber mat and the functional disadvantages of foam plastic mat are solved by adopting variable air mattresses. The variable air mattresses are expected to help rehabilitate people by helping victims of physical tiredness, illness worsening, poor sleep, and life instability that can happen during long-term shelter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