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뭄단계

Search Result 13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Generation of Inflow using Physical based Distributed Model for Establishing Water Supply Standard of New Dam (신규댐 용수공급 조정기준 수립을 위한 물리적 기반 분포형 모형 적용 댐 유입량 생산)

  • Son, Chan-Young;Kim, Bong-Jae;Lim, Dong-Jin;Lee, D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0-40
    • /
    • 2018
  • 현실화된 기후변화로 인하여 강수패턴 및 강수량의 변화가 발생함에 따라 물 관리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2014년부터 시작된 극심한 가뭄은 안정적인 용수공급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예로 보령댐의 경우 저수율이 2015년 19%, 2017년 8.3%로 역대 최저를 기록한 바 있고 2018년 3월 기준 운문댐과 밀양댐의 경우 저수율이 각각 11%(심각), 26.2%(경계)로 극심한 물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극심한 가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시설간 연계 운영, 급수체계 조정, 도수로 가동 등과 같은 구조적 대책과 더불어 저수용량에 따라 용수공급량을 감축하는 형태의 비구조적 대책의 일환인 용수공급 조정기준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용수공급 조정기준은 국토교통부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가뭄에 대하여 대응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준으로 다목적댐의 저수량을 기준으로 단계별(관심, 주의, 경계, 심각) 공급량을 감축하여 장기간 공급함으로써 국가재난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용수공급 조정기준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최소 20년 이상의 과거 관측된 유입량 자료를 모의 발생하여 이수안전도 95%이상을 만족하는 단계별 용수공급 조정 기준선을 작성하게 된다. 하지만 신규 댐의 경우 관측된 유입량 자료가 전무함에 따라 용수공급 조정 기준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유입량 자료를 생산하기 위해 첫 번째로 물리적 기반인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을 구축하고 검보정을 수행하였으며 이처럼 구축된 강우-유출모형을 이용하여 다수의 유입량 자료를 생산하였다. 두 번째로 SAMS 2007을 이용하여 유입량 자료를 모의 발생시켰으며 이를 저수지 운영에 활용하여 이수안전도 95%를 만족하는 용수공급 조정기준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극심한 가뭄에 대비하여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수자원 확보 등 이수적인 측면에서 크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sign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Database System for Heat wave and Drought (폭염과 가뭄을 위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설계)

  • Jung, Eun-Hwa;Kim, Chul-Won;Park, Jong-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3 no.4
    • /
    • pp.813-818
    • /
    • 2018
  • In this paper, the assessment items were selected for water by drought, water quality by drought, and thermal diseases by heat wave. We described the selection background for these assessment items. and then we weighted the selected vulnerability assessment items.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procedures also describe the calculation methods applied in phases and the actual cases.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database was analyzed and a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system for heat waves and droughts using these vulnerability assessment procedures was designed.

Correlation between soil moisture and crop growth indices of irrigation water management in winter wheat fields (밀 재배포장 물관리에 따른 토양수분과 생육지표의 상관관계 분석)

  • Cheng, Liguang;Kim, Dong Hyeon;Park, Hyunsu;Jang, Tae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07-507
    • /
    • 2022
  • 작물 재배에서 정밀 관개 및 물관리를 위해 토양수분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며, 최근 이상기후에 따른 가뭄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토양수분 변동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국산밀 생장기의 토양수분 및 관개는 생산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빈번한 봄가뭄의 영향으로 작물 생산 및 품질 관리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국산밀의 안정적 생산을 위한 토양수분 및 양분 관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ICT 기반의 토양 층위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물관리에 따른 국산밀의 안정적 생산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지역은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에 위치한 국립식량과학원 운봉시험지이며, 시험포장은 수분처리 조건에 따라 총 4개(A: 한발조건, B: 적정수분, C: 무처리) 처리구로 3개 블록을 구분하여 4반복으로 구성하였다. ICT 기반 10개 토양수분 및 EC (Electrical conductivity) 관측 장비를 통해 실시간으로 자료 수집하였으며, 밀 생육조사는 생육단계별 초장, LAI, 지상부 및 지중 생체중 등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처리구별 물관리에 따른 토양수분과 생육지표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가뭄에 따른 생육 영향과 적정 관개용수의 공급시기 및 공급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밀 생장기의 봄가뭄에 대응하기 위한 물관리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며, ICT 기반의 스마트관리 플랫폼을 개발하여 밀 작황 진단 및 예측을 통해 국산밀의 안정적 생산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Establishing meteorological drought severity considering the level of emergency water supply (비상급수의 규모를 고려한 기상학적 가뭄 강도 수립)

  • Lee, Seungmin;Wang, Wonjoon;Kim, Donghyun;Han, Heechan;Kim, Soojun;Kim, Hung 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10
    • /
    • pp.619-629
    • /
    • 2023
  • Recent intensification of climate change has led to an increase in damages caused by droughts. Currently, in Korea,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is used as a criterion to classify the intensity of droughts. Based on the accumulated precipitation over the past six months (SPI-6), meteorological drought intensities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concern, caution, alert, and severe.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classifying drought intensity solely based on precipita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meteorological drought warning criteria based on SPI, this study collected emergency water supply damage data from the National Drought Information Portal (NDIP) to classify drought intensity. Factors of SPI, such as precipitation, and factors used to calculate evapotranspiration,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indexed using min-max normalization. Coefficients for each factor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Genetic Algorithm (GA). The drought intensity based on emergency water supply was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coefficients of each meteorological factor determined by GA were used as coefficients to derive a new Drought Severity Classification Index (DSCI). After deriving the DSCI,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s were used to present intensity stage classification boundaries. It is anticipated that using the proposed DSCI in this study will allow for more accurate drought intensity classification than the traditional SPI, supporting decision-making for disaster management personnel.

An Approach to Drought Vulnerability Assessment using TOPSIS Method (TOPSIS을 적용한 가뭄취약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LEE, Chang-Woo;SHIN, Hyung-Jin;KWON, Min-Sung;LEE, Gyu-Min;NAM, Sang-Hyeok;KANG, Mun-S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4
    • /
    • pp.102-115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nd apply a drought vulnerability assessment plan including various factors related to drought. The evaluation technique consisted of three stages: evaluation factor and weight selection, evaluation data database construction, evaluation data and weight combination, and Delphi investigation method was applied to evaluation factor and weight selection. As the evaluation method, the TOPSIS method, which is a widely used MCDM method, was used. The results of the drought vulnerability assessment were applied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igun-gu, Korea from March 2016 to September 2019.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drought vulnerable areas were identified in Chungcheongbuk-do, Gyeongsangnam-do, and Jeollanam-do, and it was analyz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rought response plans for these areas.

Influences of Physical Soil Properties on Drought Severity in the Central Great Plains Based on Satellite Data and a Digital Soil Database (인공위성자료와 디지털 토양자료를 통해 분석한 미중부 대평원 지역 가뭄정도에 미친 물리적 토양특성의 영향)

  • Sunyurp Par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8 no.6
    • /
    • pp.935-948
    • /
    • 2003
  • The State Soil Geographic (STATSGO) database is a valuable source for assessment of soil properties at a state level. Using GIS techniques, eight physical soil properties were extracted from the database, including available water capacity, clay content, soil depth, slope, depth to water table, drainage, texture, and permeability. The influences of these soil properties on drought severity, which was estimated by NDVI departures from normal, were determined over western-central Kansas. Study results showed that seven soil propertie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drought severity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ranging from -0.89 to 0.85. Thermal emission signals from th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rought severity expressed by NDVI departure from normal and represented spatial progression of drought over time well. High thermal signals, indicating high soil moisture deficit, emerged in the western region and their spatial distribution changed over time. Different sets of soil factors influenced drought severity among early-drying and late-drying areas.

Analysis of soil moisture and drought in agricultural lands based on Terra MODIS using smart farm map and soil physical properties (스마트팜맵과 토양물리특성을 활용한 Terra MODIS 기반의 농지 토양수분 및 가뭄 현황 분석)

  • Jeehun Chung;Yonggwan Lee;Chan Kang;Jonghan Bang;Seongjo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75-375
    • /
    • 2023
  • 본 연구는 농지를 대상으로 토양수분 및 가뭄 현황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토양수분을 파악하기 위해 Terra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위성영상기반의 토양수분 산정모형을 개발하였다. 해당 모형은 MODIS LST(Land Surface Temperature) 및 NDVI(Normalized Difference Deficit Index)를 기반으로 SCS-CN(Soil Conservation Service-Curve Number) 방법에서 착안한 수문학적 개념 5일 선행강우 및 무강우일수를 입력자료로 하며, 토양 종류 및 계절에 따른 토양수분의 특성을 고려하였다. 모형의 개발을 위해 MODIS LST 및 NDVI 영상을 2013년부터 2022년까지 각각 일별 및 16일 단위로 구축하였으며, 동 기간에 대해 전국 88개소의 기상청 종관기상관측소의 강수량 및 LST 자료를 수집하였다. MODIS LST는 실측 LST 자료를 활용해 조건부합성기법을 적용하여 상세화하였고, 수집된 강수량자료는 역거리가중법을 활용해 공간 보간을 수행하였다. 토양특성의 구분은 농촌진흥청에서 정밀토양도를 수집하여 활용하였다. 공간 분포된 토양수분에서 농지에 해당하는 토양수분을 추출하기 위해 스마트팜맵을 구축하고, 농지 속성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조회 후 이를 시군구별로 평균하여 일별 평균 토양수분값을 산정하였다. 토양수분 기반의 가뭄 현황 분석을 위해 구축된 정밀토양도에서 작물 생장과 관련된 영구위조점 및 포장용수량을 활용해 5단계(정상, 관심, 주의, 경계, 심각)의 가뭄 위험도를 산정하였으며, 실제 가뭄 현황과의 비교를 통해 토양수분기반의 가뭄 위험도의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Hedging Rule for Drought Management Policy Reflecting Risk Performance Criteria of Single Reservoir System (단일 저수지의 위험도 평가기준을 고려한 가뭄대비 Hedging Rule 개발)

  • Park, Myeong-Gi;Kim, Jae-Han;Jeong, Gwan-S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5
    • /
    • pp.501-510
    • /
    • 2002
  • During drought or impending drought period, the reservoir operation method is required to incorporate demand-management policy rul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focused to the development of demand reduction rule by incorporating hedging-effect for a single reservoir system. To improve the performance measure of the objective function and constraints, we could incorporate three risk performance criteria proposed by Hashimoto et al. (1982) by mixed-integer programming and also incorporate successive linear programming to overcome nonlinear hedging term from the previous study(Shih et al., 1994). To verify this model, this hedging rule was applied to the Daechung multi-purpose dam. As a result, we could evaluate optimal hedging parameters and monthly trigger volu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