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면성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7초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차용된 중국 경극과 일본 노극 가면의 상징성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ymbolic Meaning of Chinese's Peking Opera and Japan's Noh Applied in Animation Characters)

  • 한저;조승우;이현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7-58
    • /
    • 2017
  • 중국 경극에서 얼굴에 다양한 분장을 하는 것을 검보라 하며, 극 중에서는 다양한 상징성을 갖는다. 검보는 민족적 특색을 내재하며, 극중 캐릭터를 위한 "영혼의 화면"이라 불린다. 반면, 일본 노극은 가면을 쓰고 연기하는 독특한 고전 가무극으로 히타멘(直面, 가면을 쓰지 않음)과 가면을 쓰는 공연으로 나뉘며, '유현(幽玄)의 예술" 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경극의 검보와 노극의 가면은 애니메이션에 캐릭터에 차용되며, 극의 서사와 상징성을 드러내는 매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극의 검보와 노극의 가면이 연출된 애니메이션 영화를 중심으로 사례 비교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PDF

'음악대장'과 가면의 힘 ('Umakdaejang' and the Power of Mask)

  • 류재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54-766
    • /
    • 2016
  • 가면의 힘과 <복면가왕>의 출연자 중 한 사람인 '우리 동네 음악대장(이하 '음악대장')'의 인기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으며 음악대장의 열풍은 동시대 한국 사회의 어떠한 측면을 투영하고 있는가? 이 연구는 이러한 질문들에 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복면가왕>의 여러 회차들 중 음악대장의 도전부터 탈락까지를 연구의 대상과 범위로 선정하였고, 가면의 힘을 이해하기 위해 가면의 기원 및 용도, 그리고 가면의 정체성 숨기기 및 노출시키기의 문화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음악대장은 가면을 통해 익명적 전형성을 전시함으로써 정체성에 대한 궁금증을 증폭시켰다. 그는 또한 가면 아래에서 다소 거칠고 통제되지 않은 그러면서도 장난스러운 방식으로 기존 음악 프로그램의 형식과 매너에 저항적 몸짓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음악대장은 주류 세계에 자신을 알리고자 하는 자기현시의 욕망을 노출하였다. 결과적으로 가면은 그것의 익명성과 저항성을 통해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의 계층 고착화에 저항할 수 있는 효율적인 도구로 기능하는데, 바로 이것이 가면의 힘이자 음악대장 열풍의 근원이라 할 수 있다.

6.25전쟁 이후의 중·북부지역 가면극의 변화양상 (The changes in the Korean Mask Dramas of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after the Korean War)

  • 전경욱
    • 공연문화연구
    • /
    • 제22호
    • /
    • pp.5-43
    • /
    • 2011
  • 한국의 가면극은 대부분 세시풍속의 하나로 연행되었으며, 동제·줄다리기·지신밟기·횃불싸움·길놀이·사또놀음 등 여러 세시행사와 연계되어 전승되었다. 6.25전쟁 이후에는 이러한 세시행사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연행하기 때문에 원래의 기능과 의미를 상실하게 되었다. 또한 연행시간이 대폭 줄어들었기 때문에 연희내용, 노래, 대사를 많이 생략하고 있다. 북청사자놀이는 6.25전쟁 이후 사자춤이 한 마리에서 두 마리로 늘어났고, 애원성춤·사당춤·넉두리춤·칼춤을 새로 추가했다. 사자가 아이를 잡아먹던 내용도 토끼인형을 잡아먹는 내용으로 바뀌었다. 사자가면은 원래 여러 유형이 있었으나, 현재는 호랑이 모습의 가면으로 획일화되었다. 양주별산대놀이는 '애사당 법고놀이'에서 먹중 8명과 왜장녀·애사당 등 모두 10명이 등장하는 것이 이치에 맞는데, 현재는 이외에 말뚝이 가면을 쓴 배역이 등장한다. 현재의 연희에서는 성(性)과 관련된 노골적인 부분을 생략하고 있다. 또한 신할아비·미얄할미 과장에서 할미의 죽음 후에 예전에는 신할아비가 넋타령을 했는데, 최근에는 무당굿을 한다. 대사에서는 비속어와 육담을 대폭 생략하고 있다. 가면은 특히 연잎·옴중·샌님가면이 큰 변화를 보인다. 봉산탈춤은 6.25전쟁 이후 노장과장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인다. 예전에는 소무가 두명 등장했으나 현재는 한 명만 등장하고, 신장수와 원숭이의 퇴장도 차이를 보인다. 예전의 가면들은 연희자가 내다볼 수 있는 구멍을 코 양옆으로 크게 뚫었지만, 현재의 가면들은 가면의 눈동자에 구멍을 뚫어놓았다. 특히 먹중가면이 큰 변화를 보인다. 봉산탈춤을 복원할 당시에 봉산 출신의 연희자가 적었기 때문에, 다른 해서탈춤의 연희자들과 함께 연희를 복원했다.

제의적 마을 탈춤의 분석 -제의적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Village-Centered Masked Dance based on Rituals -On the Rituals Transitions-)

  • 백현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75-185
    • /
    • 2010
  • 본 연구는 제의적 마을 탈춤의 의미를 제의성의 변천을 중심으로 하회별신굿탈놀이와 강릉관노가면극을 비교 분석하여 보고자 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회의 별신굿은 하회마을 사람들이 마을을 보호해 준다고 믿었던 신에 대한 숭배의식으로 탈 제작에 있어 제의적 의미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춤사위에는 제의적 요소는 없었다. 그리고 극 전체를 통해 볼 때 공연 방식이나 내용이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는 동제인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제의적 요소로 볼 수 있는 종교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었다. 강릉관노가면극의 탈은 등장인물의 배역에서부터 제의성을 찾아볼 수 있는데, 양반광대, 소매각시, 시시딱딱이, 장자마리 등 모두가 제의적 벽사의 기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춤사위의 대부분이 강릉지방 민속에 맞게 안무한 것으로 보아 춤사위에는 제의의 본질적 요소가 없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강릉관노가면극의 특징적인 면으로 볼 때 강릉관노가면극의 경우는 단오제라는 행사와 같이 하나의 놀이로써 지방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고, 지방수호신에게 제사하는 의식과 깊은 연관을 가진 서낭제 가면극의 특징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콘 사토시 작품에서 나타나는 양면성을 지닌 캐릭터의 페르소나 연구 - <퍼펙트 블루>, <망상대리인>, <파프리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ersona of Double-sided Characters Shown in Satoshi Kon's Works)

  • 추혜진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5호
    • /
    • pp.181-208
    • /
    • 2014
  • 콘 사토시는 양면성이란 모티브에 초점을 맞춰 인간의 근본적인 자아 정체성을 다루며 존재에 대한 성찰을 담아내는 대표적인 애니메이션감독이다. 본 연구는 그의 작품 속의 자아와 또 다른 자아의 결합 방식에 따라 캐릭터의 페르소나, 즉 인격의 가면이 어떻게 드러나며 자기실현을 이루어 나가는지 그 유형을 융의 분석 심리학적 견해를 토대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인간의 가장 외적 인격을 의미하는 페르소나는 자신이 속한 사회 속에서 타인과 지속적인 관계를 맺기 위해 일정한 역할을 수행하는 사회적 행위와 연결된다. 사회적 요구가 많아질수록 개인은 여러 가지 인격의 가면을 쓰고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며 외부 환경에 적응해 나간다. 이처럼 페르소나는 외부와 중요한 관계기능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데, 집단의 요구에 지나치게 순응하여 인격의 가면에만 몰입할 경우 의식과 무의식 간의 불균형을 야기하여 개인의 자아 정체성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페르소나가 항상 부정적인 요인으로만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원활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적절하게 발달된 페르소나는 내면의 무의식과 외면의 의식 사이에 균형을 이뤄 건강한 자아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의식과 무의식의 상관관계와 결합 유형에 따라 작품 속 캐릭터를 분석함으로써 각 캐릭터의 내면에 숨어있는 가면의 욕망이 어떻게 표면화되어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차용한 심리학적 관점의 분석 방식이 다양한 캐릭터 연구에 유용한 이론적 틀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가면(假面)(Mask)을 활용(活用)한 의상(衣裳)디자인 연구(硏究) (A 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Masks)

  • 임형란;이미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8권2호
    • /
    • pp.154-16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fashion designs using masks on the basis of plasticity of masks. This study was conducted both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In a theoretical study, mask-related research and fashion-related literature were examined. In an empirical study, masks used in collections since the 1990's were analyzed through fashion magazines and fashion web sites. Based on such theoretical researches, masks used in modern fashion collections were divided into accessories and clothing to analyze and three fashion design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results described above. This study intended to express a romantic look with primitive mood that added formative elements of a mask to the design concept of "Romantic-Primitive". First, forms of masks were simplified and deconstructed and then some methods such as textile printing, leather handicraft, or applique were expressed.

통영오광대 복식의 의도성에 관한 연구 : 대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tentions of Tongyeng Ogwangdae Costume : Focused on dialogs)

  • 김초영;김은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41-549
    • /
    • 2015
  • Korean traditional mask play was done at outdoor to let spectators join the play and take mask at performance and to have disadvantage of poor transfer of dialog to the spectators. Performers transferred dialog directly and/or indirectly by using visual costume, and Tongyeong Ogwangdae with many dialogue expressions concerning the costume made use of proper intention to help spectators understand. In this study, the author watched performance of Tongyeong Ogwangdae to collect and investigate not only image material but also photograph material and to classify intention of the costume into three: First, contents of the dialog were intended to make shape. The costumes of Hongbaek Yangban, Meoktal Yangban and Jorijung of the 2nd section gave spectators contents of the play, and the costume of Halmi Yangban of Nochangtal of the 4th section described dialog of Halmi. Second, dialog had connotative metaphor. The costume of Yeongno of Yeongnotal of the 3rd section symbolized an unfinished dragon, while that of Halmi of Nongchangtal of the 4th section did sacred of Halmi. And, Nongchagtal Ai's costume of the 4th section prayed for value of Ai, richness of the life and fecundity. Third, conflict between characters was intended by indirect media. The costume of Maltukee of metaphor mask of the 2nd section became base of the assertion supporting that Maltukee had better birth history than Yangban had, and the costume of Yeongnoyangban of Yeongnotal of the 3rd section produced conflict at disclosure of identity.

현대 패션에 나타난 가면의 형태와 특성 (The Styles and Characteristics of Masks as Expressed in Modern Fashion)

  • 김선영
    • 복식
    • /
    • 제58권4호
    • /
    • pp.13-25
    • /
    • 2008
  • This study is on the various style and characteristics of mask, and was performed empirically by reviewing the related materials such as the literature, precedent studies, fashion works, and home and foreign fashion magazin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yle of mask in the modern fashion is roughly categorized by full-covered style, half-covered style, and over-half-covered style which is covered over 50% of a face. And, mask is utilized on a hat or a dress all over, or is produced by a elaborate makeup. Mask with lots of variation has three big characteristics, which are sense of disguise, sense of ornamentation, sense of grotesquery. First, sense of disguise means deviation or tool of affectation instead of cultural standard norm through transforming or masquerading as an imagery person or animal in ancient myths, famous artistes, etc. It could be developed to express a designer's identity. Second, mask decorated with various styles and materials has sense of ornamentation, which means natural human desire of expression for beauty, and at the same time human mind longing for experience a fantastic and ideal inner world being deviated from the present world even indirectly. Third, ignoring the original format of eyes, nose, and mouth, using extraordinarily various techniques such as distortion, extreme, exaggeration, concealment, or combining with animal images, mask has sense of grotesquery inducing humor and horror simultaneously.

‘사무환경의 편리성’에서 ‘기업의 생산성·수익성’에 관심증대

  • 박지연
    • 광학세계
    • /
    • 통권104호
    • /
    • pp.18-22
    • /
    • 2006
  • 2006년 복사기를 포함한 사무기기 시장의 화두는 컬러화와 사무환경의 솔루션화에 맞춰진다. 이미 지난해부터 OA 3사는 사무기기 업체로서의 이미지를 과감히 버리고‘솔루션 제공및 컨설팅’업체로 변신을 선언하고 단순 기기 판매방식에서 벗어나 사무환경과 관련해 비용과 생산성을 따져‘맞춤 환경’을 컨설팅 하는‘종합오피스 솔루션 업체’로 거듭나고 있다. 복사기 시장이 디지털화되면서 최근 4년간 부동의 8만여대 규모를 이어가면서 업체들은 새로운 수익원을 찾아 나설 수밖에 없었고 결국 솔루션을 통한 마케팅이 시장에서의 성패를 좌우하는‘열쇠’로 판단한 것이다. 더욱이 솔루션은 역으로 하드웨어 판매를 촉진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올리고 있어 메이커들은 솔루션 마케팅에 더욱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서래마을의 장소 정체성에 대한 연구 - 프랑스인 주민과 방문자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lace Identity in Seo-Rae Village - Focusing on Comparison of Sense of Place between Inhabitants and Visitors -)

  • 한성미;임승빈;엄붕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2-41
    • /
    • 2009
  • 최근 공공미술을 중심으로 하는 장소 만들기를 비롯한 경관계획의 증가와 함께, 도시의 사회 문화적 변화와 그 특성을 배경으로 한 외국인 마을, 도심 속 명소의 등장과 같은 다양한 장소들이 생성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장소 마케팅 또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장소성에 대한 고찰이 결여된 장소의 창조와 장소마케팅으로 인해 획일화, 상업화된 장소의 확산을 유발할 수 있으며, 따라서 환경계획 설계 분야에서의 장소성에 대한 이해와 심층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장소성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 프랑스인의 40% 이상이 거주하고 있고 서울시의 명소로 시민들이 방문하고 있는 서래마을을 대상으로 주민과 방문자의 장소성 지각의 차이와 장소적 현상을 통해 장소성 형성요인과 장소 정체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래마을은 프랑스인 주민의 주거 및 교육환경의 필요에 의해 형성된 장소로서, 이에 부합하는 활동과 의미의 범위에 한정되는 내부성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서래마을의 물리적 환경은 프랑스적 요소의 진정성이 결여된 형태로써, 이는 주민의 소극적 활동으로 연결되고 있다. 둘째, 방문자의 경우에는 프랑스 마을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우세하게 작용하고 그에 따른 활동 및 의미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부환경의 프랑스적 요소의 진정성 여부는 이러한 외부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방문자의 활동 및 장소에 대한 의미부여는 한국인으로 형성된 상권의 활성화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장소의 상업화 및 활동의 확대는 서래마을의 내부성보다 우세하게 작용하여, 내부성과 외부성의 역전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넷째, 서래마을은 내부의 경험이 아닌, 방문자의 기호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장소로써, 프랑스적 상징성을 활용하여 이루어진 대중적 정체성으로 해석된다. 다섯째, 프랑스인의 거주목적으로 이루어진 내부성은 진정성이 결여된 프랑스적 기호를 매개로 한 가공된 장소성으로 재생산 되었으며, 이는 장소의 본질적 측면 보다는 과장되고 상업화된 장소로서 피상적인 가면성을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