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르치기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5초

대학 강단에서 마크 트웨인 가르치기 (Teaching Mark Twain in Undergraduate British and American Novel Class)

  • 최정선
    • 영어어문교육
    • /
    • 제10권2호
    • /
    • pp.159-176
    • /
    • 2004
  • Mark Twain's works are very good texts for students' understanding of American literature and culture deeply and comprehensively, However, professors teaching Mark Twain could be confronted with several problems: how to teach vernacular language in his works; how to deal with the massive volume; how to teach various issues systematically.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a way to solve these problems, based on my experiences of teaching Adventures of Huckleberry Finn and A Connecticut Yankee in King Arthur's Court in novel classes. One of good methods of discussing the various issues systematically in his works is focusing on his contemporary dominant discourses and his critiques on them. In teaching Adventures of Huckleberry Finn, the black discourse is the comtemporary dominant dicourse to concentrate on. I tried to discuss various issues in my classes, mainly relating them to exploring how Twain was contained in his contemporary black discourse and how he resisted it at the same time. The representation of the blacks in the work is a good example to show this. To what extent Huck can have human relationship with Jim is an important question to contest his interaction with his contemporary discourse. In my paper I examine various issues and problems I was faced with in the classes. In teaching A Connecticut Yankee in King Arthur's Court, the crucial discourses are industrialism and modernity. Here, what must be paid attention to is that although industrialism is a part of modernity, it is convenient to deal it separately from the issue of modernity. Twain was dominated by those discourses, but he criticized them on the other hand. Various issues can be discussed, related with the question how much he was contained in the discourse of modernity and how much he criticized it. Students' understanding of this work and his contemporary dominant discourses can be enhanced by discussing his ambivalence toward modernization, democracy. and the Medieval feudalism.

  • PDF

Shulman-Fischbein 개념틀을 활용한 예비 교사의 기하 영역에 대한 지식 해석 : 미국 예비교사들의 사례 (Interpretation of Teacher Knowledge in Geometry with Shulman - Fischbein Framework: Cases of US Preservice Teachers)

  • 김지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13-139
    • /
    • 2018
  • 많은 사람들이 교수에서 교사의 지식이 중요다고 동의하고, 이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정량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잘 가르치기 위해 교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의 요소와 특징을 규명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본 논문은 기하 영역에서 예비 교사의 지식을 정성적인 방법으로 Shulman-Fischbein 개념틀을 활용하여 해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7명의 여 예비교사들이 본 연구에 자원하여 참여하였고, 각 예비교사는 지필 형식으로 된 일련의 과제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예비교사의 지식은 수학적 알고리즘적 SMK, 형식적 SMK, 직관적 SMK, 알고리즘적 PCK, 형식적 PCK, 직관적 PCK로 분석되었다. 해결결과 예비 교사들은 강한 SMK를 갖고 있고, 그들의 뿌리깊게 자리잡은 SMK는 변하지 않으며, 그들의 SMK와 PCK는 상당한 관련이 있고, 그들은 학생에 대한 지식과 관련하여 적절한 PCK를 갖고 있지만, 교수학적 전략을 제시함에 있어 직관적 PCK에 상대적으로 덜 고려하는 경향을 보였다. Shulman-Fischbein 개념틀을 활용하여 분석해 드러난 예비교사들의 지식은 향후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유리수와 무리수의 합집합을 넘어서: 실수가 자명하다는 착각으로부터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가? (Beyond the Union of Rational and Irrational Numbers: How Pre-Service Teachers Can Break the Illusion of Transparency about Real Numbers?)

  • 이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3호
    • /
    • pp.263-279
    • /
    • 2015
  • 유리수에서 실수로의 확장 혹은 무리수의 존재성을 수학적으로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완비성 공리가 필요하므로, 실수의 도입은 학교수학에서 가장 가르치기 어려운 주제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실수를 '유리수와 무리수의 합집합'으로 정의하는 학교수학의 교수학적 변환이 어떠한 교수학적 공백을 남겨놓을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유리수에서 실수로의 수 체계 확장의 이유, 임의의 비순환 무한소수의 존재 이유 등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설명을 분석하여 대학수학의 학습에도 불구하고 예비교사들의 실수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교수학적 공백을 인식하고 학교수학과 대학수학을 연결함으로서, 예비교사들이 실수 개념이 자명하다는 착각으로부터 어떻게 벗어날 수 있었는지를 논의하였다.

초.중등학교에서 수학교육체계와 연계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과정과 교수방법 (Computer Programming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in Connection with Mathematics Education System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박영미;유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16-127
    • /
    • 2008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초 중등학교의 컴퓨터교육과정이 컴퓨터 활용 중심 내용으로 편성되어 컴퓨터를 이용한 다양한 분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가르치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 들어 초.중등학교에서 미래 교육이 요구하는 창의적이며 논리적인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컴퓨터 교육 과정을 변화시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교과목의 내용이 컴퓨터 프로그래밍이지만 아직까지 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학습 전이를 높일 수 있는 체계화된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초 중등학교에서 컴퓨터 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면서 교과 내용의 연계성을 갖추고 있는 수학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여 프로그래밍 관련 요소를 추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초 중등학교에서 연속적이고 계열적 내용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체계적으로 가르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교육 과정을 제시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과과정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기법을 가르치기 위한 수업 모형과 학습지도안을 개발한다.

EAP 전문 코퍼스를 활용한 유아교육 전문 어휘 추출 (Extracting Technical Vocabulary Lis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Using EAP Specialized Corpus)

  • 이제영;안종기;이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75-484
    • /
    • 2017
  • 본 연구는 EAP 전문 코퍼스 구축과 분석을 통해 유아교육 전문 어휘 목록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 전문가 2인과의 협의를 통해 선정된 7권의 유아교육 관련 영어 전공 서적을 기초로 50만 단어 수준의 전문 코퍼스를 구축하였다. 유아교육 전문 코퍼스의 어휘적 분포를 분석한 결과 기본 어휘에 해당하는 GSL[1]은 81.86%, 학술어휘에 해당하는 AWL[2]은 9.78%로 타 분야의 학술적 텍스트와 유사한 분포를 나타냈다. 한편 어휘의 다양성을 살펴보기 위해 TTR을 산출한 결과 3.18로 타 코퍼스의 결과와 비교할 때 낮은 수치, 즉 동일한 어휘의 반복이 비교적 많다는 특징을 보여 주었다. 다음으로 빈도와 출현 범위 등을 기준으로 유아교육 분야의 전문 어휘를 추출한 결과 총 224개의 어휘가 선정되었다. 이 어휘 목록은 영어로 유아교육을 가르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영어로 쓰인 유아 교육 분야의 전공서적을 읽기 위한 기초 자료서로 유용성을 지닐 것으로 기대된다.

카툰(Cartoon)을 통한 토양의 이해 (Understanding Soil by Cartoons)

  • 김계훈;현해남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Spc호
    • /
    • pp.51-56
    • /
    • 2009
  • 토양학과 비료를 가르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고 있다. 카툰은 강의자와 학생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다. 강의자는 강의하고자 하는 장에 근거한 이야기를 전개하는 축이 된다.? 그리고 카툰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정확하고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한 정상적인 문장을 선택하고난 다음 적정한 삽화를 삽입하여야 한다. 카툰이 다루어야 할 주요 내용은 용어풀이, 영양흡수, 산도, 염류 축척, 수분, 오염, 화학비료, 퇴비, 그리고 일반 토양과 관련한 분야가 포함된다.

인터넷을 통한 방사선 측정 원격 제어 실험실 개발 (Development of Remote Control Laboratory for Radiation. Detection via Internet)

  • 박상태;이희복;육근철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7권1호
    • /
    • pp.59-66
    • /
    • 2002
  • 과학 교육에 있어서 실험의 역할은 자연 현상과 그와 관련된 원리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한 원격 제어 실험은 원격으로 과학 교육을 가르치기 위한 중요한 해법 중의 하나이다. 원격 실험은 오랜 시간이 걸리는 실험뿐만 아니라, 원격지 사람들끼리 협동을 통한 실험, 피교육자들이 접하기 힘든 고가의 장비가 필요한 실험, 절차가 위험한 실험 등에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과 인터페이스 기술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실험실 장비를 제적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개발하였다.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들은 원격으로 실제 장비를 제어하고 실험을 함으로써 핵물리를 배우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실험의 응용 예로써 방사선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원자력 발전소 주변 환경방사선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모니터링 값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PL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문제해결 수준이 프로젝트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he Perceived Level of Problem Solving on the Performance of Project Completeness in Programming Education)

  • 장윤재;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41-51
    • /
    • 2011
  • 정보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정보교육은 정보과학의 원리와 개념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교육과정으로 개정되었다.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라,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알고리즘 사고 학습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의 수준과 능력을 고려한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학습자의 문제해결과정 각 단계가 프로젝트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문제해결 수준에 따른 프로젝트 완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문제해결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프로젝트 완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과정 각 단계가 프로젝트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문제발견 요인이 프로젝트 완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프로젝트 완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해결과정 단계를 탐색하여, 문제를 발견하는 활동과 반성적 성찰을 통한 문제해결 검토 과정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 PDF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나타난 추상화 내용 분석 (Analysis of Abstraction Contents in Informatics Textbooks of Middle School According to 2015 Revised Curriculum)

  • 김수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10
    • /
    • 2018
  •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라 개정된 정보 교과는 2018년부터 중학교 학생들에게 필수 교과로 도입되었다. 정보 교육과정에 나타난 추상화의 개념은 일반적인 추상화와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데, 현재 정보 교과서에는 이런 개념이 혼재되어 있다. 컴퓨팅 사고력의 추상화는 자동화와의 연결이 반드시 필요하며, 지금처럼 혼재된 사례로는 제대로 된 추상화 개념을 가르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정보 교과서를 조사하여 추상화의 개념과 예시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러 정보 교과서의 추상화 내용이 자동화와 연결되지 않고 있으며, 일반적인 추상화의 개념과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위한 명확한 추상화의 개념과 교육활동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컴퓨팅 사고력을 증진하기 위한 추상화 수업 재구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기술과 자유로운 상상의 연결 패러다임

  • 이호영
    • 의학교육논단
    • /
    • 제8권1호
    • /
    • pp.1-11
    • /
    • 2006
  • 의사는 인간의 생명을 구하는 권한이 있으니까 마치 생명을 죽이는 권한도 포함된 것 같은 생각에 그야말로 막강한 권한을 가진 것 같이 보인다. 오늘의 한국에서는 과거와 달리 의사의 사회적 위상에 많이 떨어져 있지만 아직도 미국이나 독일 같은 선진 사회에서 의사의 위상은 준신에 가깝게 높고 그의 말과 판단이라면 비록 건강에 관한 이슈뿐만 아니라 삶에 대한 지혜로도 존중되고 수용된다. 의사의 사회적 위상이 높아진 것은 의학이라는 특수한 학문과 이와 연결된 의술의 그동안의 엄청난 발달과 무관하지 않다. 역사적으로 보면 고대 희랍시대부터 의학은 인간의 질병을 고치고 생명을 건강하게 보존하는 특별한 지식 그리고 이 지식을 기반으로 응용되는 치료기법으로 기예 (techne)라는 존칭으로 불리었다. 즉, 건강의 회복이라는 실질적인 목적을 가진 지식과 테크닉을 합친 이른바 귀중한 실천 (praxis)이다. 의학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은 시대와 문화가 바뀌면서 또한 의학 자체가 좀 더 발달하면서 도전을 받는다. 20세기에 들어서서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고 또 고통을 주는 질병의 종류와 양상이 변하고, 의 과학이 앞으로 인류의 병들을 퇴치시킬 수 있다는 기대에 차질이 생기게 되었다. 미국 같은 선진국에서는 일찍이 1960년도 말부터 의학교과목 개혁의 일환으로 인문학의 과목들을 같이 가르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과목들이 윤리학, 철학, 역사, 문학 등이다. 인문학의 보강은 의학과 기술과 인간성의 연결을 위해 의사들이 쓸 수 있는 인지적 도구 (cognitive tools)를 갖추게 하는 목적에서이다. 인문학의 도입으로 의사들이 인간의 삶을 좀 더 깊게 이해하고 풍부한 인간성으로 지식과 기술을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기 위해 각자의 마음과 머리 속에 포용통합능력을 발달시키자는 데 있다. 즉 의사들의 의식과 자유로운 상상력이 확장되면서 새로운 정체성을 갖게 되는 것을 바라는 것이다. 선진국의 의학교육에서 이 같은 교육이 좋은 의사를 만든다는 신념을 굳혀가고 있다. 성과를 증명하는 연구결과가 없어 아직도 회의적인 반응도 있으나 이와 같은 교육이 윤리적 상황에 대한 예민도를 높이는 것은 확실하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은 기독교 이념이 기본 교육철학이다. 인간성을 강조하고 의사들이 자신의 인간성을 개발 강화하는 교육이 하나님의 사랑을 의사 지신의 인간성과 그의 인간애로 내재화 시킬 수 있다면 그리스도의 정신을 의학과 의술에 연결시키는 고귀한 목적을 이룰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