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로외관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서울 중계동 백사마을 가로외관 특성 연구 (The Study on Street Facade Characteristics of Junggye-dong 104 village in Seoul)

  • 장용해;이영한
    • KIEAE Journal
    • /
    • 제13권5호
    • /
    • pp.5-15
    • /
    • 2013
  • 104 village has kept the landscape of low-income settlements at hillside village as called 'Daldongnae' since 1960s. It has high urban and social values in modern housing history of Korea.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asic type, transformed type of street facade and also the meaning in the modern housing history. It analyzes basic elements(building elevation, gate, fence) and subsidiary elements(roof form, door, window), and the type of street facade by the composition of the element.

인천 구도심 도시조직의 보전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지구단위계획의 내용과 실효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servation and Practical Use of Incheon Old Town Urban Tissue)

  • 이범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41-25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대역사환경으로서 도시조직을 이해하고 이를 보전 및 활용하기 위한 지구단위계획의 내용과 실행 사례를 검토하여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사례 연구이며, 인천시 구도심의 경험을 토대로 도시의 보전을 위한 지구단위계획의 역할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에 첫째, 인천 구도심은 개항과 조계지가 그 시작이며, 일본조계, 청국조계, 각국공동조계 등 각기 다른 도시조직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이러한 도시조직의 보전을 유도하기 위하여 지구단위계획 내 지침으로 가구 계획과 획지 계획, 심의제도를 수립하였다. 셋째, 보전 지침이 미친 영향으로 대상지 내 골목길과 옛 해안선 등 가로와 세장형이라는 필지의 형태, 건물의 외관 요소 등을 보전 및 활용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지구단위계획의 수립 및 재정비 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조계지 내 역사적 가치를 지닌 가로의 추가적인 발굴이 필요하다. 둘째, 조계지 내 필지의 경우, 고유한 형태적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대형 개발을 제한한다. 셋째, 건물의 외관은 보전 및 활용을 유도하기 위하여 계획적 인센티브를 마련한다.

가로경관 조명설계를 위한 건축물 외관유형과 경관조명방식과의 상관관계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elationship Model of Building Facades and Exterior Lighting for Streetscape Design)

  • 김미연;최진원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40호
    • /
    • pp.139-148
    • /
    • 2003
  • For lighting design in such diverse structures, we need lots of considerations, such as us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harmony with its surroundings, and the function and type of lighting to be install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s determined by its shape and several vertical and horizontal factors based on the shape, which can be focused on at day time by shading, the surface structure, the quality of the surface and the color. On the other hand, they can be at night hidden in the darkness or enforced strongly by the effect of the lighting. In this paper, correlation between the ways of lighting and building facade types according to vocabularies for sensitivity is explored based upon an analysis of building facades for small-scale commerce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cityscape lighting design. It is considered that categorization of types of building facades, presented in this article,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exterior lighting methods can be useful in planning lighting. And the process of the study is thought to be able to present a method about the exterior lighting planning. Furthermore, computer simulation on the bases of the correlation model of the lighting methods related to vocabularies for sensitivity about the building facade types is expected to be data and means which can be a great help for designers to predict various results quickly.

주변가로 구성요소를 고려한 고층집합주택의 적용 가능한 외관색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ble External Color Design of High-storied Apartment House Considering Street Components)

  • 이청웅;박성진;김무오;박행자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123-131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types and color conditions of street views through relationship of high-storied apartment house to street components which has great visual influence on urban street view and requires harmony with street environment as background factor and conducted positive experiment with high-storied apartment houses located at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since 1990s in order to set applicable color ranges in designing external colors of high-storied apartment houses which became background of street view by types. Consequently, in image changes of four factors of main colors in classified street types, P, RP, R and YR colors showed high average values in naturalness, harmony and unity and GY, G, BG and B colors showed dichotomy with low average value, but image of personality showed generally low average value. RP, R and YR colors showed higher adaptability and GY, G and BG colors showed lower adapt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according to adaptability of main colors used in high-storied apartment houses by street types, there was difference of appropriate color range in street components and external colors of high-storied apartment houses by street types.

템플릿 모델을 이용한 차량 종류 인식 방법 (Vehicle Model Recognition using Template Models)

  • 이정화;김태형;황영철;차의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96-299
    • /
    • 2010
  • 본 논문은 템플릿 모델을 이용하여 차량의 외관에 따른 종류를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선, 영상에서 차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누적 차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배경 영상을 추출한 후 차량 영역을 획득한다. 획득한 차량 영상은 날씨와 조명 영향에 따라서 그림자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외곽선을 추출하고 가로와 세로, 대각선 방향으로 사영한 결과를 이용하여 그림자를 제거한다. 그림자 영역이 제거된 최종 차량 영역은 템플릿 모델과의 매칭을 통하여 가장 적합한 차량 종류로 인식한다.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차량 종류를 인식하였을 때 만족할 만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사진저작물의 창작성 판단 기준 (Standard of Creativity in the Copyrightable Photographic Works)

  • 최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93-105
    • /
    • 2015
  • 최근 동일 풍경을 대상으로 촬영한 두 사진이 실질적으로 유사하지 않다는 법원 판결을 놓고 사진의 창작성 기준 및 저작권 보호 수준에 대한 논란이 뜨거웠다. 이에 본 연구는 풍경 사진을 비롯한 각종 사진 저작권 관련 국내외 판례 및 관련 법령, 각종 선행 연구 등을 중심으로 사진의 창작성 및 저작권 보호 기준을 제시해 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진저작물에서 표현 부분은 사진의 구성 요소 중 피사체의 선정, 구도의 설정, 빛의 방향과 양의 조절, 카메라 각도의 설정, 셔터의 속도, 셔터찬스의 포착, 기타 촬영 방법, 현상 및 인화 등의 과정에서 촬영자의 개성과 창조성이 있는 부분에 해당한다. 반면 위에 언급한 부분 중 촬영자의 개성과 창조성이 존재한다고 보기 어려운 부분을 '아이디어'라 할 수 있는데, 사진의 주제 콘셉트 느낌, 피사체 특히 공중 영역에 있거나 자연에 존재하는 물체의 외관, 계절이나 시간 등 촬영 시점, 사진이 가장 멋있게 나올 수 있는 촬영 장소, 가로나 세로 앵글의 선택 여부는 일종의 아이디어로 볼 수 있다. 사진의 경우 예외적으로 사진촬영에 들인 노력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본 연구를 통해 저작권법은 사진저작물에 있어서도 일관되게 '아이디어'가 아닌 '창작적 표현'만을 보호해 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역사문화도시 공주의 고도담장정비 사례 연구 (Case Study of Ancient City Wall Renewal in Gongju, a Historic Cultural City)

  • 온형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254-269
    • /
    • 2020
  • 본 연구는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 중 가로경관개선 사업의 하나인 담장에 대한 이론과 담장 디자인 선행 연구를 통하여 고도에서의 담장에 어울리는 담장 정비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선행 연구를 유목화하고, 담장 디자인 이론을 고찰한 후, 고도 지정 지구의 의의와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례 대상지를 선정하여 고도담장정비 사례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여러 특성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담장의 선행 연구는 담장의 성격 분석, 담장 디자인 원리 응용, 담장 구조·색채와 형태 및 응용, 현대적 재해석, 궁궐 담장, 주택·사찰·마을의 담장 등 6개 항목으로 유목화되었다. 담장은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 중 가로경관개선 사업에 해당하며 시지각적 인지도가 내부 건축물보다 선경험으로 제공되는 특성이 있다. 고도담장정비 사례 대상지는 고도별 특별보존지구와 보존육성지구의 구성 분포 비율을 기준으로 무령왕릉과 인접한 공주시 송산리길 주변 마을을 선정하였다. 공주시 송산리길 주변 마을의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은 한옥 신축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담장 정비는 한옥 신축과 동시에 시행된 게 아니었다. 가로변 건축물 외관 정비 사업으로 추후에 지원과 정비가 이루어진 것이다. 한옥과 담장이 동시에 설계되어 심의 후 신축되었다면 한옥의 규모 및 디자인과 조화를 이루는 담장이 되었을 것이지만 서로 기간을 두고 신청, 설계, 시공되었기에 한옥의 처마와 담장이 대지 경계선에 거의 맞닿아 있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공간적으로 가깝고 높은 한옥 본채와 담장의 배치는 답답하게 닫혀 있는 구조물로 인식된다. 송산리길의 담장 디자인은 고도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형태와 색상과 재료로 차분하고 은은하며 안온한 분위기를 자아내야 하는데, 날카롭고 옹색하여 난처한 지경에 놓여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려면 담장 설계 디자인을 먼저 고려한 후, 한옥 본채 설계 디자인을 후순위로 진행하는 방안의 도입도 합리적 대안이 될 수 있다. 사례 대상지인 공주시 송산리길 담장 지원 사업의 문제 요인은 전통 담장이 가져야 할 미적 요건에 상당히 부족하다. 첫째, 담장의 자연 재료 선정 및 활용에서 미적 의식이 실종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디자인 완성도와 조화의 부재이다. 조사 대상지인 공주시 송산리길 고도담장정비의 문제 요인을 분석한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옥 설계와 담장·대문 시공 설계 도면을 함께 심의해야 한다. 둘째, 한옥 담장 디자인의 자연석 돌담 일변도를 재검토 진단하여야 한다. 셋째, 계획·설계 과정에 주민과 전문가의 의견을 조정하는 상시 체계를 가동해야 한다. 넷째, 한옥의 개별성을 집단화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문화 자산으로 가치를 높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