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두리 양식장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7초

H 콘도의 건설에 따른 천수만 양식장 안전성 검토 (A Safety Study of the Fish Farm in Cheonsuman after Constructing the H Condominium)

  • 한두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4093-4099
    • /
    • 2013
  • 본 논문은 부남호 부근에 대형 콘도를 지을 때 콘도에서 나오는 오폐수가 천수만 가두리 양식장 등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으로 COD를 모사하였으며, 다른 인자는 수치에 비례하여 예측할 수 있다. 조류의 이동 경로는 평균적으로 방류지점으로부터 서쪽을 향하게 되어 이곳은 가두리 양식장이 없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하며, 바닷물이 정지한 상태를 가정하여 모의한 결과 매우 천천히 확산되는 것을 보았지만, 바람 등에 의한 흐름이 있을 경우는 오염물질의 확산을 촉진하여 쉽게 희석되기 때문에 오염물질에 의한 피해의 위험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통영 인근 가두리 양식장 지역의 저서동물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Fauna under Marine Fish Culture Cages near Tong-yong, Southern Coast of Korea)

  • 박흥식;최진우;이형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8
    • /
    • 2000
  • 본 조사는 1995년 8월부터 1996년 2월까지 계절별로 3차례에 걸쳐 통영주변 가두리 밑의 환경 및 저서동물 군집조사를 통해 가두리 운영에 따른 저서생물 군집구조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지역의 가두리 밑은 주변 해역과 유사한 퇴적상과 용존산소량을 나타낸 반면 높은 유기물 함량을 나타냈다. 종 수의 경우 가두리 밑이 대조구에 비해 적었지만 서식밀도에서는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가두리 밑의 경우 Capitella capitata 와 Nebalia bipes등이, 대조구의 경우 Lumbrineris longifolia와 Amphioplus sp.가 우점 종을 나타냈다. 특히 가두리 밑에서는 Asterina pectinifera와 Asterias amurensis 등 표서성 초대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양도에서 가두리 밑은 계절적인 차이를 보인 반면, 대조구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군집구조에서 가두리 밑과 대조구는 상이한 구조를 나타냈다. 본 조사결과 가두리 양식은 유기물 증가와 시설물에 의한 유해 패각 가입 등 생물학적 영향에 의해 가두리 밑 저서환경과 저서동물 군집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해상 가두리 양식이 저서 다모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Fish Farming on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 정래홍;윤상필;권정노;이재성;이원찬;구준호;김연정;오현택;홍석진;박성은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3호
    • /
    • pp.159-169
    • /
    • 2007
  • 가두리 양식으로 인해 과잉 공급된 유기물은 연안의 저서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주요인의 하나로 알려져 왔다. 이 연구는 2003년 6월과 8월 가두리 밀집해역인 통영연안의 두 양식장(A, B)에서 가두리 양식으로 인한 유기물 오염이 저서동물군집, 특히 저서다모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정도와 범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다모류가 저서동물 군집의 개체수 조성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각 조사선에서 $81%{\sim}87%$로 매우 높았다. 가두리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다모류군집의 종 수, 밀도, 다양도 그리고 우점종의 분포 양상은 현격히 변하였다. 가두리로부터 10 m 이내에서는 유기물 오염지표종인 Capitella capitata가 우점하였으며, 종 수도 가장 낮아 군집이 유기물에 의해 심하게 교란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 capitata는 가두리 양식장의 밀집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지형학적으로 보다 은폐된 양식장 A에서 최대 $18,410\;ind.m^{-2}$의 고밀도 출현 양상을 보였으며, 두 양식장의 거리에 따른 개체밀도와 다양도 패턴의 전체적인 차이를 좌우하였다. C. capitata의 개체수가 급감한 10 m 지점 이후 15 m까지 구간에서는 종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런 종 수 및 밀도의 급격한 변화는 이 구간이 심한 유기물 오염 상태(highly polluted)에서 약한 유기물 오염 상태(slightly polluted)로 전환되는 추이점(ecotone point)임을 말해준다. $15{\sim}60m$ 구간에서는 종 수와 밀도의 추가적인 증가와 유지가 관찰되는 약한 유기물 오염 상태의 점이역(transitional zone)이 형성되었으며 군집의 주 구성원은 Lumbrineris longifolia, Aphelochaeta monilaris 등과 같은 잠재적 유기물 오염지시종들 이었다. K-우점도 곡선과 다차원 척도법의 결과도 앞의 군집변화와 일치하였다. 이 연구에서 저서다모류군집에 대한 유기물 오염의 영향은 가두리로부터 떨어진 거리, 가두리가 위치한 해역의 지형학적 특성 및 가두리 양식장의 밀집도에 의해 좌우되었다.

서산 부남호 수문을 통한 오염물질 확산 모델링 (Computer Simulation of Water Pollution by Opening the Water Gate of Bunam Lake in Seosan City)

  • 한두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054-1058
    • /
    • 2009
  • 본 논문은 호수 바닥이 오염된 서산 부남호의 수문을 개방했을 때 예상되는 오염물질의 확산에 관한 것이다. 몇 가지 각본을 가지고 컴퓨터 시늉을 한 결과 적절한 시간 간격을 주고 방류할 경우 천수만에 위치한 가두리 양식장에 지장이 없음을 알았다.

  • PDF

가두리 양식장 주변의 물질 수지

  • 유신재;강신규;홍기훈;강영철;박철원;김종만;조선형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4년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요지집
    • /
    • pp.187-188
    • /
    • 2004
  • PDF

통영 저도와 장두도 가두리 양식장 퇴적물에 있어서 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중형저서생물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Meiobenthos for Pollution Monitoring in Mariculture Farms in Tongyong Coastal Area, Southern Korea)

  • 김동성;최진우;제종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17-225
    • /
    • 1998
  • 가두리양식이 저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장두도의 해양목장화 가두리 예정해역과 저도의 기존 가두리 양식해역에 서식하는 중형저서생물군집을 조사하였다. 출현분류군은 가두리 예정지와 기존 가두리 해역에서 각각 26종류와 15종류이었고 총 개체수에서는 각각 7,702 개체/10$10\;cm^{2}$와 432 개체/$10\;cm^{2}$를 보여 기존 가두리 양식장에서 출현종류수와 서식밀도에 있어서 낮은 값을 보였다. 선형동물 (Nematoda)이 두 해역 모두에서 가장 우점하였고 다음으로 우점하는 육질편모충 (Sarco-mastigophora)과 함께 전체 출현개체수의 약 $90\%$를 차지했다. 퇴적물 깊이에 따른 현존량을 보면 표층 ($0\~1\;cm$)에 가장 높은 밀도로 서식하고 있었으며, 장두도에서는 퇴적물의 깊이에 따라 현존량이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저도의 기존 가두리지역에서는 퇴적물의 깊이에 따라 현존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저서환경 오염의 지수인 N/C 값 (nematodes/harpacticoid copepods ratio)는 기존 가두리지역인 저도에서 장두도보다 약 2배 정도 높은 값을 보여 유기물 함량이 높은 저도에서 선형동물의 상대적인 비중이 높음을 보였다. 또한 유기물오염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Kinorhyncha를 이용하여 또 다른 저서환경 오염지수로 N/K 값 (nematodes/kinorhynchs ratio)을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양 해역의 N/K 값은 N/C 값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 PDF

해상 가두리 양식장 암모니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Monitoring System for Ocean Fish Farm)

  • 오진석;조관준;곽준호;진선호;이종호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6년도 전기학술대회논문집
    • /
    • pp.273-274
    • /
    • 2006
  • The sea is origin of all lift, and 90% of the all living organisms are in the sea. The biosynthesis is very different. Many organisms are kept on a lower or developed to another evolutionary level than on shore. Our society is increasing demand and need for marine food and this food has to product at onshore or offshore fish farming sites. Ocean fish farms have a special operation properties such as a good quality water, net cage, sheltered locations and feeding system. The farming site is controlled and monitored for fish welfare as ammonia($NH_3$), temperature, the speed of a running fluid. Specially, the fish farm is seriously influenced by ammonia. In this paper, $NH_3$ monitoring system for ocean fish farm is researched for the suitable fish farming sites, and test equipment is designed for achieving practical data. The equipment wit monitoring algorithm is expected to the useful system for ocean fish farm.

  • PDF

해상 어류가두리양식장의 환경영향평가: I. 퇴적물 산소소모율 및 저서동물을 이용한 유기물 오염영향권 추정 및 유기탄소 순환 (An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Marine Cage Fish Farms: I. Estimation of Impact Region and Organic Carbon Cycling in Sediment Using Sediment Oxygen Consumption Rates and Macrozoobenthos)

  • 이재성;정래홍;김기현;권정노;이원찬;이필용;구준호;최우정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9권1호
    • /
    • pp.30-39
    • /
    • 2004
  • 해상 어류가두리 양식장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003년 8월에 경남 통영시 미륵도에 설치된 해상 어류가두리양식장에서 거리를 증가시키면서 퇴적물로 유입되는 입자물질의 침강 플럭스, 퇴적물 내 유기탄소의 수직분포, 퇴적물의 산소소모율, 저서동물의 군집을 분석하였다. 입자 유기물 침강 플럭스, 표층 퇴적물의 유기탄소 농도 및 퇴적물의 산소소모율은 가두리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 가두리양식장에서 유출된 유기물이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나타냈다. 저서동물 중 다모류인 Tharyx multifilis, Lumbrineris longifolia, Siganlbra tentaculata, Capitella capitata가 전체 군집에 88%를 차지하여 우점하였으며, 특히 오염지표종인 Capitella cupitata는 반경 5 m이내에서만 출현하였다. 퇴적물의 산소소모율 및 저서동물의 군집을 이용하여 추정한 유기물의 오염 영향권이 잘 일치하여 가두리양식장을 중심으로 반경 10 m내외에 유기물이 집중적으로 퇴적되고 있으며 최소한 50 m까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가두리양식장에서 퇴적물로 유입되는 유기탄소 플럭스는 2.14 g C m$^{-2}$ day$^{-1}$으로 가두리양식장에서 50 m떨어진 지점에 비해 약 2배 정도 큰 수치였다. 또한 유입된 유기물 중 약 50%(1.07 g C m$^{-2}$ day$^{-1}$)가 상부층에서 분해되었다. 반면 50 m 저점에서는 유입된 유기탄소 중 30%(0.30 g C m$^{-2}$ day$^{-1}$)가 재순환되며 나머지 70%는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식장 환경이 갯벌양식 굴 (Crassostrea gigas)의 성장과 폐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vironment Factors on Growth and Mortality of Cupped Oyster, Crassostrea gigas)

  • 박상우;김용;김지혜;정수환;한경남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3-281
    • /
    • 2013
  • 갯벌양식 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2011년 9월부터 12월까지 어장환경이 서로 상이한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에서 성장과 폐사를 비교하고 2012년 1월 갯벌 수평망식 본양성장에 이식하여 7월까지 조간대 노출시간 별 갯벌양식 굴의 순응 결과를 조사하였다.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의 경우 각 양식장간에 수온과 영양 염류를 제외한 환경요소가 뚜렷한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참굴의 성장에 차이가 있었다.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의 수온은 원산도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염분은 세 지역 모두 안정적인 변화 양상을 보였으며 Chlorophyll-a 농도는 수온과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갯벌지역의 수온은 해면지역에 비해 변화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 갯벌 양식 굴의 성장은 원산도리, 창리, 파도리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이 감소하였다. 갯벌 수평망식 본양성장 갯벌양식 굴의 성장은 3시간, 1시간, 5시간 대기노출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수온이 $5^{\circ}C$ 이하로 내려간 1월에는 성장이 크게 낮아졌으나 폐사율의 뚜렷한 경향은 보이지 않았고, 수온이 올라가는 3월부터 성장률이 증가하였으나 월평균 수온의 변동폭이 높았던 4-6월에 폐사율이 급증하였다. 한편,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에서 수용한 참굴은 각장 대비 각고가 길게 성장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다시 갯벌 수평망식 본양성장에 이식 후 수용하면서 각고 대비 각장이 크게 성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