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두리 양식장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8초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를 활용한 어류 가두리 양식장 내 퇴적 유기물의 기원 및 기여도 평가 (Origin and Source Appointment of Sedimentary Organic Matter in Marine Fish Cage Farms Using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s)

  • 고영신;이대인;김청숙;심보람;김형철;이원찬;이동헌
    • 생태와환경
    • /
    • 제55권2호
    • /
    • pp.99-11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어류 양식장 퇴적 유기물의 기원 및 기여도 평가를 위해 어류(숭어) 가두리 양식장이 이동된 후 수층 및 퇴적물 내 물리/화학적 인자들의 변화와 함께 안정 동위원소 비의 특성을 조사했다. 이를 토대로 과거 양식장 퇴적물 내 축적된 유기물의 거동을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어장환경평가 기법을 검토하였다. 연구정점(OFF 및 control)에서 입자성 및 침강물질은 정점 간 차이보다는 계절적 강수량 변동에 따라 차별적 분포를 보였다. 하지만 퇴적물 내 분석된 δ15N 결과는 수층 기원 질소원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과거 외부기원의 유기물 (예: 어류 배설물)의 다량 유입이 주된 요인이라 판단된다. 실제로 과거 어류 가두리 양식활동으로 인해 OFF 정점 내 어류 배설물의 우점적 기여(>50%)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정점 내 분해되지 않은 어장 양식기인 유기물의 농도가 높은 수준으로 존재할 것이라 판단되며, 어장 회복력의 체계적인 진단을 위한 중요한 고려요인이라 판단된다.

수치모델을 이용한 해상어류가두리양식장의 환경관리 방안 (Environmental Management of Marine Cage Fish Farms using Numerical Modelling)

  • 권정노;정래홍;강양순;안경호;이원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0권4호
    • /
    • pp.181-195
    • /
    • 2005
  • 해상어류가두리양식장의 양식 활동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통영주변의 해상어류가두리양식장(Site A)에서 해수유동, 퇴적물, 저서동물 및 트랩 등의 현장조사와 수치모델-DEPOMOD를 이용하여 가두리양식장의 고형물 침강량 예측과 적정 고형물 침강량 산정으로 해상가두리양식장의 환경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대상인 Site A 해상어류가두리양식장의 입식 어종은 common sea bass(Lafeolabrax japonicus), red seabream(Pagrus major), striped breakperch(Oplegnathus fasciatus) 등 4종이고, 입식량은 227,800미 (23.1MT) 였다. 가두리양식장의 입식밀도는 $43.0kg\;m^{-2}(6.1kg\;m^{-3})$ 이고, 사료투여 량은 $30.8g\;kg^{-1}day^{-1}(1.32kg\;m^{-2}day^{-1})$ 이였다. Site A 가두리양식장 중심의 저층 퇴적물의 ORP, AVS, COD, 탄소 및 질소 농도는 각각 -334.6mV, $0.43mg\;g^{-1}dry,\;17.75mg\;g^{-l}dry,\;10.19mg\;g^{-1}dry$$3.49mg\;g^{-1}dry$ 였다. 저서동물은 Capitella capitata가 $57.8\%$로 우점하였고, Infaunal Trophical Index(ITI)는 가두리 가장자리에서 20m 거리 내까지 20 이하로 나타났다. 트랩조사 결과 Site A의 고형물 침강량은 0m에서 $34,485g\;m^{-2}yr^{-1}$, 42m지점에서 $18,915g\;m^{-2}yr^{-1}$침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 예측 결과 Site A의 사료 미섭이율은 $40\%$, 연간 고형물 침강량은 63,401 kg으로 연간 사료 급이량의 $24.4\%$이고, 고형물 침강 면적은 $8,450m^2$으로 가두리 시설 면적의 16배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ITI와 저서동물의 풍도를 통한 Site A의 지속 가능한 고형물 침강량은 $10,000g\;m^{-2}yr^{-1}$ 이하 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가두리양식장에서 고형물 침강량의 주 요인은 높은 미섭이율이고, 고형물 침강량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사료 섭이효율을 높여주어야 한다. 모델에 따르면 미섭이율을 $40\%$에서 $10\%$로 줄이면 고형물 침강량이 1/2 수준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습사료, 생사료의 사용 대신에 배합사료(EP)를 사용할 경우 $57\%$정도 침강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두리양식장의 허가면적에 대한 시설 면적비는 $5\%$미만이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부양체 수중 위치제어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osition Control System of the Float Chamber using Air Control)

  • 허정규;김태호;양경욱
    • 유공압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유공압시스템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5-80
    • /
    • 2010
  • The paper is that study method to reduce bad influence that act to the floating fish cage by effect of environment in sea. Fish cage is controlled buoyancy using air control. According to marine environment, it is descend automatically to set-up depth and rise on the surface of the sea. The paper is the preceding research for a practical application. The fish cage simplified with the spherical float body. Then a control algorithm and a program developed by the experiment. And we did modelling by bond graph technique, and controlled by the practical reference model for PID control.

  • PDF

여수 돌산도 연안 정치망 어장에 출현한 어류군집의 증조성 및 양적변동

  • 한경호;신상수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67-568
    • /
    • 2001
  • 여수 돌산도 연안은 자원학적ㆍ해양학적인 특색에 의해서 오래전부터 해양생물들이 산란ㆍ서식장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다양한 생물들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는 곳이다. 최근 급진적인 산업화에 의해 오염물질이 다량유입으로 유입되어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으며, 연안에 밀집된 가두리 양식장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고 있다. 우리나라 정치망 어장에 출현하는 어류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는 소형 정치망 자료에 의한 천수만 어류의 계절에 따른 종조성 및 양적 변동 (이ㆍ석, 1984), 경북 연안의 정치망 업(서 등, 1986)과 경북 영일만 영안 정치망 어장에 출현한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양적 변동(한 등, 1997)등이 있다. (중략)

  • PDF

해양센서네트워크 기술의 현장 적용을 위한 고려사항 (Considerations for On-the-spot Application of Ocean Sensor Network Technologies)

  • 신동현;김창화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51-354
    • /
    • 2015
  • 지구 전체 표면적의 약 70%인 바다는 석유를 포함한 각종 수산자원이 풍부하지만 인간은 바다로 접근하기 위해 파도, 태풍 등의 날씨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쉽게 접근하기 어렵다. 이 경우 해양 관련 정보를 얻고 분석 및 활용하기 위해 IoT (Internet of Things)의 기반 기술인 센서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바다에 센서네트워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파도, 태풍을 포함한 염분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게다가 수중 통신을 사용할 경우 수중에서는 전파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음파와 같이 수중에서 통신이 가능한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양센서네트워크 기술의 현장 적용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해 논의하고, 실제 가두리 양식장에 설치 운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RFID를 이용한 수산물 유통 경로망 연구 (The Study of Seafood Logistics Network with RFID)

  • 김외영;이종근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3-49
    • /
    • 2010
  • 양식어민의 소득증대와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고부가가치 수산물 상품화와 소비자의 먹을거리 신뢰성 제고를 목적으로 수행 된 경남 통영시 가두리 양식장의 고품질 수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구축 사업은 수산물 유통망의 실시간 이력추적 관리를 위하여 RFID/USN 기술 및 관련 IT 기술을 도입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산물의 실시간 이력추적을 위해 도입된 RFID 기술의 특징 및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효율적인 수산물 유통 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며, 유통망 개선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하고자 한다.

외해가두리 양식이 저서다모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 Offshore Fish Culture System on the Benthic Polychaete Community)

  • 정래홍;윤상필;김연정;이원찬;홍석진;박성은;오현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8권4호
    • /
    • pp.195-205
    • /
    • 2013
  • 반폐쇄적 연안역에서의 해상 어류 가두리 양식은 잉여 유기물로 인해 주변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기 때문에, 최근 해류의 흐름이 강하고 수심이 깊은, 외해적 성격을 보이는 제주 연안에서 외해 가두리 양식 기법이 시범적으로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새로이 도입한 외해 가두리 양식이 저서다모류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사료 투입 열흘 후 첫 조사를 실시하여 양식 종료 3개월 후까지 28개월간 10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제주 연안에 설치된 가두리 양식장의 평균 유속은 50~70 cm/s로 매우 강하였다. 퇴적물의 총유기탄소량은 조사기간 중 큰 변화가 없었으며, 값 자체도 낮았다. 사료 공급이 시작된 후 3개월 만에 저서다모류군집의 종 수와 밀도가 모든 정점에서 증가하여 초기와는 다른 군집으로 빠르게 변화하였다. 양식시작 후 18개월 까지 가두리로부터 0 m와 10 m 지점 저서다모류군집의 종 수와 밀도는 사료 공급량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이 후 가두리로부터 10 m 범위 내의 저서다모류군집은 사료 공급량이 감소하고, 퇴적물내 유기물함량의 증가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기회종이 우점하는 교란된 군집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는 양식 종료 시까지 지속되었다. 그러나 양식 종료 후 3개월 만에 기회종은 일시에 사라져 군집이 교란으로부터 빠르게 회복되고 있음을 암시하였다. 제주 연안에서의 해상 가두리 양식은 외해적 성격과 빈영양의 해역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고영양성분의 유기물이 과잉으로 유입됨에 따라 저서다모류군집을 빠르게 변화시켰으며, 유입되는 사료량과 양식기간은 군집의 교란과 뒤이은 천이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한편, 저서다모류군집에 대한 연구는 외해 환경에서의 가두리 양식 전후 저서생태계의 변화 양상을 퇴적물에 대한 지화학적 분석 결과보다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해상가두리 양식장 어류의 혈액 검사에 사용된 동물용 생화학 분석장치의 활용 가능성 (Application of Veterinary Chemistry Analyzer used to Hematological Analysis of Marine fish Cultured in Floating Netcage)

  • 정승희;지보영;변순규;최혜승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3-265
    • /
    • 2006
  • 본 연구는 동물용 생화학 분석장치를 이용하여 분석한 어류 혈액검사 항목 가운데 적용할 수 있는 분석항목의 활용도를 평가함과 동시에 어류 혈액학적 건강진단에 필요한 분석항목의 참고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경남 지역의 해상가두리 어류 양식장에서 사육중인 육안적으로 보아 건강한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참돔 (Pagrus major), 돌돔 (Oplegnathus fasciatu) 및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총 522마리를 대상으로 hematocrit 와 간편하게 혈액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FUJI DRI-CHEM 3000 기종을 이용하여 혈장화학적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Hematocrit (Ht)는 microhematocrit법에 의해 그리고 hemoglobin (Hb), 총단백 (TP), 알부민 (ALB), 알칼리성포스파타제 (ALP), 요소질소 (BUN), 젖산탈수소효소 (LDH), 중성지방 (TG), 총콜레스테롤 (TCHO), 크레아티닌 (CR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포도당(GLU)은 정상범위의 표준자료가 이미 프로그램화되어 장치된 동물용 생화학 분석장치인 FUJI DRI-CHEM 3000 기종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측정된 Hb와 혈장화학성분의 실제 값들은 본 기종의 하한 및 상한 한계치를 상당히 벗어났다. 본 장비로부터 분석값을 검출하지 못하였던 비율을 살펴보면, ALB 및 ALT는 68~66%, LDH, TP, ALP 및 GLU는 42~21%, TCHO, AST, TG, Hb 및 CRE는 18~3%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나, BUN의 분석값은 모두 검출한계를 벗어나지 않았다.

가막만 가두리 양식자의 어류질병에 관한 연구 (Present Situation of Diseases Occurred with Cultured Marine Fishes in Kamak Bay)

  • 최상덕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15
    • /
    • 1997
  • 여천군 가막만에서 해산어류의 어병발생은 20^{\circ}C$이상인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어종별 병원성생물은 넙치가 Vibrio sp., Edwardsiella sp., Streptococcus sp., Vibrio+Edwardsiella sp., Streptococcus sp.+Microcotyle sp,+Caligus sp. 및 Trichodina sp.에 감염, 조피볼락은 원인 불명 (선회병; 원인생물은 포도상구균으로 1994년에 동정함), 림포시스티스증, , Vibro+Microcotyle sp. 및 Streptococcus sp.+Micrococcus sp.에 감염, 농어는 림포시스티스증, Vibro sp., Vibro+Streptococcus sp. 및 Streptococcus sp.+Microcotyle sp.+Caligus sp.에 감염, 참돔은 Edwardsiella sp.에 각각 감염되었다. 조사지점 7개소 중 1, 5 및 6번 가두리 양식장은 20^{\circ}C$이상인 6월부터 10월까지 연속적으로 어병이 발생하였다. 약제감수성시험에서 Vibrio sp. (KS-9303)는 옥시테트라사이크린, 클로람페니콜, Edwardsiella sp. (KP-9315)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 Flaxibacter sp. (KP-9318)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옥소린산 및 클로람페니콜, 그리고 Streptococcus sp. (KP-9319)는 에리스로마이신,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및 클로람페니콜 순으로 감수성이 나타났다.

  • PDF

해상가두리에서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와 둥근전복속 교잡종(왕전복 H. madaka♀*둥근전복 H. discus discus♂)의 생물지표 비교 (Comparison of Biomarkers of Haliotis discus hannai and Hybrid Abalone (H. madaka♀*H. discus discus♂) in Marine Net Cage)

  • 김현진;신소령;김성진;박정준;이정식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63-17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해상가두리 양식장에서 북방전복과 둥근전복속 교잡종(왕전복♀*둥근전복♂)의 생물지표를 분석하여 교잡육종의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생존율은 북방전복과 유사하였으나, 성장(각장)은 교잡종에서 약 10% 빠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패각의 호흡공 기형율은 교잡종이 북방전복보다 약 6% 낮았으며, 패각 함몰 및 부식율은 교잡종이 약 15% 낮았다. 생화학적 조성에서는 조단백질의 경우 교잡종에서 약 3.1% 높았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에서 유사한 값을 나타냈다. 소화, 흡수 및 해독기능을 수행하는 간췌장의 조직학적 평가에서는 교잡종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둥근전복속 교잡종은 추후 양식 환경에 접목하였을 때 높은 양식 생산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