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동범위

검색결과 480건 처리시간 0.035초

슬관절 전치환술 후 조기 슬관절 운동 교육 프로그램이 통증, 슬관절가동범위, 환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 Early Knee Joint Exercise Education Program on Pain, Knee Range of Motion, and Satisfaction in Patients after Undergoing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 신이슬;이영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24권3호
    • /
    • pp.283-292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arly knee joint exercise education program on pain, knee ROM, and satisfaction among patients with a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Methods: An experimental study with non-equivalent groups was conducted using 32 patients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32 patients for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knee joint exercise education including systemic continuous passive motion (CPM) exercise and knee exercise. The control group received conventional CPM exercise. Pain, flexion and flexion contracture range of motion, and patient satisfaction were evaluated by $x^2$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using the SPSS 23.0 Windows program. Results: There were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atients' knee flexion and satisfa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in and flexion contractur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posed education program is efficient and effective when providing nursing care after a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독비와 슬안 뜸요법이 노인의 무릎 관절통증, 가동범위 및 일상생활활동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Dogbi(ST35) & Sulan Moxibustion on Knee Joint Pain, Range of Motion and Discomfort during ADL in the Aged)

  • 박정숙;권순조;권영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89-196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test the effects of ST35 & Sulan moxibustion on knee joint pain, range of motion, and discomfort during Activies of Daily Living (ADL) in elderly with knee joint pain. Metho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research design was used. Thirty four elderly who had knee joint pain were studied. Of them, sixteen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eighteen the control group.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NRS, goniometer, and a modified ADL questionnaire developed by Lee. Result: The pain scores of right & left knee joint after moxibus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ight: F=26.27, p=0.000, Left: F=20.77, p=0.000). Right and left knee ROM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moxibustion (Right: F=10.74, p=0.003, Left: F=9.239, p=0.005). Discomfort during ADL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moxibustion (F= 32.31, p=0.000). Conclusion: It is necessary that nurses provide the elderly with knee joint pain with moxibustion to reduce joint pain and to increase knee ROM as an alternative therapy.

보행 시 정상인과 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의 족관절 운동역학적 변수와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Kinetic Variables and Muscle Activity of Ankle Joint During Walking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Diabetic Plantar Ulcers)

  • 권오윤;최규환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5-61
    • /
    • 2001
  • 본 연구는 보행주기 동안 정상인과 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의 족관절 운동역학적 변수와 족관절 근육들의 근활성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이 있는 환자 9명(남자: 6명, 여자: 3명)과 성, 연령, 체중으로 짝짓기(matching)시킨 대조군 9명이었다. 3차원 동작분석기, 힘판,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보행주기 동안 족관절의 관절가동범위, 모멘트(moment), 일률(power), 그리고 내측가자미근, 전경골근, 비복근의 근수축 개시시간(onset time)과 종료시간(cessation time)을 측정하였다. 정상군과 비교하여 당뇨병성 족부궤양군의 보행속도는 느렸고, 입각기 기간이 길었으며, 족관절의 가동범위가 적었고, 족관절 최대 족저굴곡 모멘트와 일률이 정상군에서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보행주기에서 당뇨병성 족부궤양군에서 내측 가자미근과 비복근의 근수축 개시시간은 유의하게 빨랐으며, 전경골근과 비복근의 근수축 종료시간은 유의하게 지연되었다. 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군의 족관절 근육에서 동시수축(co-contraction)이 증가되고, 보행속도가 느리며, 입각기 기간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보행특성의 차이는 족부 감각손실에 따른 보행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보행전략 때문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이러한 비정상적인 보행특성이 당뇨병성 족부궤양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족저부 압력분포과 족부궤양 발생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견갑근막 동통증후군 중년여성에게 적용한 저항운동 프로그램이 어깨 통증, 견관절 가동범위 및 주위 신체조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Resistance Exercise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with Myofascial Pain Syndrome on Shoulder Pain, Angle of Shoulder Range of Motion, and Body Compositi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 김원종;허명행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86-297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myofascial pain syndrome on shoulder pain, range of motion, and body composition around the shoulder in middle-aged women. Methods: A total of 72 women participated in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subjects were group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39) and a control group (n=33).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resistance exercise program using an elastic band for 8 weeks, 3 days a week. The control group followed a normal daily for 8 weeks. Measurements were conducted three times; before the experimental treatment (pre-test), the 2nd and 8th weeks after treatment. Results: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omogeneity of the dependent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except for the thickness of the left and right muscles and the left fat. After treatment, shoulder pai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F=18.54, p<.001) and the range of shoulder mo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left, F=86.70, p<.001; right, F=98.66, p<.001). Furthermore,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ickness of muscles between the two groups (left, F=40.20, p<.001; right, F=29.57, p<.001); however, the thickness of fa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The resistance exercise program reduces shoulder pain and improves the range of motion of the shoulder joint and increases muscle mass on around the shoulder. It suggests to conduct a study to confirm the long-term exercise effect.

스트레치 센서를 이용한 스쿼트 시 발목 가동범위 체크 센서 양말에 관하여 -20대 후반 남성을 중심으로- (Using a Stretch Sensor About of Squat Ankle Range of Motion Check Socks -Focusing on Men in Their Late 20s-)

  • 송관우;박진희;김주용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2호
    • /
    • pp.129-14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ocks to check the range of ankle movement during squats for men in their late 20s. Sensors of 6, 8, and 12 mm were selected, and each sample was impregnated 1 to 3 times. It was prepared using a CNT dispersion, and the GF value was measured using UTM. Among them, the sample with 2 impregnation showed the best GF value. As a result of applying each sample to the socks, the 12 mm sensor was wider than the area of the Achilles tendon, resulting in noise, and the 8 mm sensor was higher tha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ocks,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graph. Therefore, testing was performed using a 6 mm sensor.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ensor, the normal operating range was checked through squats, and significant changes were confirmed when the operating range was checked again through squats by performing operations that can increase the operating range through Gastrocnemius, Soleus stretching, and low lunge.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ankle movement range of the user is checked prevent injury, to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the production of shoe products and the promotion of physical health.

관절 가동운동(mobilization)이 관절 감수기(joint receptors)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oint Mobilization Techniques on the Joint Receptors)

  • 김선엽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5-105
    • /
    • 1996
  • 지금까지의 내용을 요약하면 먼저, 인체의 각 관절 주위에는 관절의 움직임과 위치를 파악하는 감지기 역할을 하는 기계적 감수기가 있다. 이러한 감수기는 크게 네가지로 구분되어지는데 대개 I형 감수기, II형 감수기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 각각의 감수기의 특성(표 2.)을 알아보면, 루피니(Ruffini)감각기와 유사한 모양을 하고 있는 I형 관절감수기는 주로 운동의 속도(speed)와 방향(direction)을 감지(detection) 하며, 파시니안(Pacinian)감각기와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는 II형 관절감수기는 매우 작은 움직임에 대한 감지를 하는데, 예를 들어 속도가 가속(acceleration)되는 것과 같은 움직임 등을 알아낸다. 이외에 골지건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는 III형 관절감수기는 운동의 자세(position)와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Carpanter, 1990). 관절의 자세 유지 혹은 안정성 즉, 정적(static) 운동에 주로 관여하는 I형 관절감수기와, 역동적(dynamic)인 운동에 감지를 주로 하는 II형 관절감수기는 진동(oscillation)자극에 잘 촉진된다. 이러한 자극은 동통이 심하게 발생된 관절에 나타나는 근육의 과긴장(hypertonicity)과 동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 III형 관절감수기는 억제 (inhibitory)감수기라 할 수 있는데, 골지건(golgi tendon organ)의 기능과 매우 관련이 깊다. 이 감수기는 관절의 가동범위를 기계적인 자극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관절의 가동 끝범위에서 강한 신장(strong strectch)이나 thrust 기술로 감수기를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자극은 결국 근육에 이완을 얻게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관절 주위의 조직에 분포한 특별한 기계적 감지를 환자들의 임상 증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극하는 치료를 적용할 수 있다면, 현재 물리치료사들이 적용하고 있는 관절 가동운동을 좀더 전문적인 수준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관절 가동운동이 관절 감수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oint Mobilization Techniques on the Joint Receptors)

  • 김선엽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19
    • /
    • 1996
  • 지금까지의 내용을 요약하면 먼저, 인체의 각 관절 주위에는 관절의 움직임과 위치를 파악하는 감지기 역할을 하는 기계적 감수기가 있다. 이러한 감수기는 크게 네가지로 구분되어지는데 대개 I 형 감수기, II 형 감수기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 각각의 감수기의 특성(표 2.)을 알아보면, 루피니(Ruffini)감각기와 유사한 모양을 하고 있는 I 형 관절감수기는 주로 운동의 속도(speed)와 방향(direction)을 감지(detection)하며, 파시니안(Pacinian)감각기와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는 II 형 관절감수기는 매우 작은 움직임에 대한 감지를 하는데, 예를 들어 속도가 가속(acceleration)되는 것과 같은 움직임 등을 알아낸다. 이외에 골지건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는 II 형 관절감수기는 운동의 자세(position)와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관절의 자세 유지 혹은 안정성 즉, 정적(static) 운동에 주로 관여하는 I 형 관절감수기와, 역동적(dynamic)인 운동에 감지를 주로하는 II 형 관절감수기는 진동(oscillation)자극에 잘 촉진된다. 이러한 자극은 동통이 심하게 발생된 관절에 나타나는 근육의 과긴장(hypertonicity)과 동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 III 형 관절감수기는 억제(inhibitory)감수기라 할수 있는데, 골지건(Golgi tendon organ)의 기능과 매우 관련이 깊다. 이 감수기는 관절의 가동범위를 기계적인 자극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관절의 가동 끝범위에서 강한 신장(strong stretch)이나 thrust 기술로 감수기를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자극은 결국 근육에 이완을 얻게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관절 주위의 조직에 분포한 특별한 기계적 감지를 환자들의 임상 중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극하는 치료를 적용할 수 있다면, 현재 물리치료사들이 적용하고 있는 관절 가동운동을 좀 더 전문적인 수준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ti-Gravity Treadmill Program을 적용한 가속재활의 효과 : 반월상연골 봉합술 환자의 슬관절 등속성 근기능 및 기능점수와 관절의 가동범위, 통증지수 (Effect of Accelerated Rehabilitation with Anti-Gravity Treadmill Program : Isokinetic Myofuction and Functional Score of Knee Joint, ROM, and VAS Score in Meniscus Repair Patients)

  • 조한수;오두환;이진욱;장석암;이장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46-5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16주간의 anti-gravity treadmill program을 적용한 가속재활운동이 반월상연골 봉합술 환자의 슬관절의 등속성 근기능 및 기능점수와 관절가동범위, 통증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슬관절의 반월상연골 파열 진단을 받고 봉합술을 시행한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슬관절 등속성 신근력과 굴근력은 16주간의 anti-gravity treadmill program을 적용한 가속재활운동 후, $60^{\circ}/sec$$180^{\circ}/sec$에서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1, p<.01), 등속성 근결손율은 $60^{\circ}/sec$에서는 신근력과 굴근력, $180^{\circ}/sec$에서는 신근력이 유의하게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1, p<.05). 슬관절 기능점수 또한 가속재활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1), 슬관절 가동범위도 가속재활운동 후, 신전의 경우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굴곡에서는 유의하게 증가를 나타내었다(p<.01). 시각적사상척도(VAS)를 이용한 주관적 통증지수의 변화는 가속재활운동 후, 유의하게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1). 이상의 결과에서, 16주간의 anti-gravity treadmill program을 적용한 가속재활운동은 슬관절의 반월상연골 봉합술 환자의 슬관절 등속성 근기능 및 기능점수와 관절가동범위, 통증지수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재활방법은 기존의 전통적 재활방법과 비교하여 보다 안전하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빠른 스포츠 현장 및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움직임을 동반한 관절가동술 적용 전 시행된 연부조직가동술이 뇌졸중 환자의 족관절 가동범위, 근 조직, 균형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The Immediate Effect of Soft Tissue Mobilization Before Mobilization with Movement on the Ankle Range of Motion, Muscle Tissue, Balance in Stroke Patients)

  • 장우석;최순호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7-46
    • /
    • 2020
  •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s of Soft Tissue Mobilization (STM) before Mobilization with Movement (MWM) on ankle ROM, pennation angle, balance in stroke patients. Methods: A total of 22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intervention STM before MWM. STM was applied for one minute, MWM was applied one set of six times, in a total 3 sets. The passive ankle joint range of motion (ROM) was measured using a goniometer, the pennation angle was measured using RUSI, and the balance was measured using Timed Up & Go Test. Results: The ROM of the ankle dorsi-flexion, muscle tissue (pennation angle) and bala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nkle dorsi-flexion ROM, pennation angle of the medial gastrocnemius muscle, and balanc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group where STM was performed before the MWM intervention. Therefore, the physiotherapists should consider these results in their intervention. If MWM is applied to stroke patients, applying STM first is a better intervention.

그라스톤을 이용한 연부조직가동술이 편마비 환자의 하지 관절 가동범위, 근력, 보행 능력에 미치는 즉각적인 영향에 관한 예비 연구 (The Pilot Study on the Immediate Effects of Graston Technique for Lower Extremity Range of Motion, Muscle Strength, Walking 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 최율정;심현보;이준용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1-27
    • /
    • 2019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aston technique for lower extremity range of motion (ROM), muscle strength, walking ability in hemiplegia patients. Methods: Twelv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OM of the knee extension was measured by 90-90 straight leg raise test, the hamstring and quadriceps muscle strength was collected by utilizing a handheld dynamometer. In addition walking speed was evaluated by 10 meter walking test. The group was applied intervention using a Graston instrument for one minute. After intervention, immediate effect was assessed. The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alpha}=.05$. Results: The ROM of the knee extension, quadriceps muscle strength and walking spee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Hamstring muscle strength was significantly reduc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raston instrument technique has the effect of instantaneously flexibility the muscles, and the muscle applied with the technique has weakened, while the muscle of the opposite side has increased the muscle strength. In addition, the muscle flexibility and the walking speed have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