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동범위

검색결과 480건 처리시간 0.024초

정적 스트레칭과 PNF 스트레칭이 태권도 선수의 관절가동범위와 점프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cts of Static and PNF Stretching on Range of Motion and Jump Performance in the Taekwondo Player)

  • 최공집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771-1776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교 태권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정적 스트레칭과 PNF 스트레칭이 선수들의 유연성 향상과 순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슬관절의 관절가동범위를 평가하고, 점프수행능력을 평가하여 기능적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정적 스트레칭과 PNF 스트레칭 그룹 모두 관절가동범위와 점프수행능력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두 그룹간의 비교에서는 점프수행능력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꽃꽂이 작업의 관절가동범위와 근육활성도 측정 및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적용사례 (Measuring Range of Motion and Muscle Activation of Flower Arrangement Tasks and Application for Improving Upper Limb Function)

  • 이손선;박신애;권오윤;송종은;손기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4호
    • /
    • pp.449-462
    • /
    • 2012
  • 본 연구는 신체재활을 위해 다양한 꽃꽂이 작업들을 이용하기 위해서 꽃꽂이 작업 시 주로 사용되는 작업들을 분류하고, 각 작업 수행 시 사용되는 상지의 관절가동범위와 근육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꽃꽂이 작업 시 상지의 관절 가동범위와 근육활성도 측정결과를 근거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꽃꽂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임상현장에서 적용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상지 움직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주요한 꽃꽂이 작업을 분류한 다음, 작업 분석을 토대로 8가지 꽃꽂이 기본 작업(자르기 1, 굵은 줄기; 자르기 2, 가는 줄기; 꽂기 1, 긴 줄기; 꽂기 2, 짧은 줄기; 말기; 관엽 이용; 휘기 1, 굵은 줄기; 휘기 2, 가는 줄기; 감기, 절화용 와이어 이용)을 재분류하였다. 강원도 소재 대학의 8명의 남학생(평균 연령 $24.1{\pm}2.5$세)들이 8가지 꽃꽂이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삼차원 실시간 동작 분석 시스템과 근 전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상지의 관절가동범위와 각 근육부위별 활성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이 측정결과를 토대로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꽃꽃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울시 소재 재활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참여대상자들의 의사에 따라 4명은 원예치료군에 나머지 4명은 작업치료군에 배정되었다. 원예치료는 1일 2회(총 33회기)로 실시되었으며, 프로그램 전과 후에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기능 평가를 위해서 관절가동범위와 장악력 및 전반적인 상지기능평가가 수행되었다. 꽃꽂이 작업 수행 시 어깨관절은 자르기 1 작업에서 관절가동범위의 변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팔꿈치 관절은 감기 작업에서, 손목부위 관절은 휘기 1 작업에서 가장 큰 관절가동 범위를 나타냈다(P < 0.001). 수행된 꽃꽂이 작업에 따라 상지 근육의 부위별 근육 활성도는 다양한 변화를 보였으며, 한 가지 작업에 대해 여러 부위의 근육들이 동시에 사용되었다(P < 0.001). 또한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는 작업일지라도 재료의 굵기나 길이에 따라 관절가동범위와 근수축의 차이가 나타났다(P < 0.001).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해 실시된 꽃꽂이 작업을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어깨, 팔꿈치, 손목관절)의 가동범위와 장악력 및 전반적인 상지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꽃꽂이의 주요 작업을 이용하여 특정 신체부위의 기능향상이 필요한 대상자의 재활치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실제 재활환자의 상태에 따라 효율적인 맞춤형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깊은목굽힘근 강화운동과 등뼈 관절가동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전방머리자세와 목통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ep Neck Flexor Exercise and Thoracic Mobilization Exercise on Forward Head Posture and Neck Pain in Chronic Stroke)

  • 양선아;서동권;이병권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08-215
    • /
    • 2019
  • 본 연구는 깊은목굽힘근운동과 등뼈 관절가동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통증, 전방머리자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36명은 사전측정 후 무작위로 깊은목굽힘근군(DNFE), 등뼈 관절가동운동군(TROM), 대조군으로 각각 12명씩 배정되었다. 중재 전후에 통증(VAS), 두개척추각도(CVA), 두개회전각도(CRA), 전방머리내밈자세(FHP), 등뼈관절가동범위(TROM)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DNFE 군과 TROM 군은 중재 전후 VAS, CVA, CRA, FHP, TROM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두 군은 대조군에 비해 VAS, CVA, CRA, FHP, TROM에서 보였다(p<.05). 결론적으로 깊은목굽힘근운동과 등뼈 가동범위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전방머리자세와 목통증 회복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므로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 중재프로그램에 깊은목굽힘근운동과 등뼈 가동범위운동을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전기자극방법이 앞십자인대 재건술환자의 근력과 통증, 관절가동범위 및 공포-회피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Method on Muscle Strength, Pain, Range of Motion, Fear Avoidance-Belief in Patients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박신준;이주환;이덕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38-546
    • /
    • 2017
  • 본 연구는 앞십자인대 재건술 환자에게 신경근전기자극 및 경피신경전기자극을 적용하여 근력과 통증, 관절가동범위 및 공포-회피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앞십자인대 완전파열로 인해 관절경재건술을 받은자를 대상으로 신경근전기자극군(n=14), 경피신경전기자극군(n=14)으로 나누었고 각 군은 일반적인 물리치료를 받은 후 각 중재를 적용받았다. 각 전기치료 중재는 1일 1회 30분, 주 3회씩 4주간, 총 12회 규칙적으로 적용하였다. 중재방법에 따른 평가에는 무릎관절의 굽힘과 폄시 등속성 근력, 통증, 무릎관절 가동범위, 공포-회피반응이 포함되었다. 연구결과 신경근전기자극군과 경피신경전기자극군 모두에서 통증, 관절가동범위, 공포-회피반응에서 유의한 개선이 있었다. 하지만 등속성 무릎 굽힘 및 폄근력의 경우 신경근전기자극군에서만 유의한 개선이 있었다. 또한, 신경근전기자극과 경피신경전기자극 두 전기치료 방법간, 근력, 통증, 관절가동범위, 공포-회피반응에선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신경근전기자극과 경피신경전기자극은 앞십자인대 재건술 환자의 통증, 관절가동범위, 공포-회피반응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넙다리네갈래근 근력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신경근전기자극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방암 절제술 환자의 관절가동술과 전기자극을 융합한 중재가 어깨 가쪽돌림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int Mobilization with Electrotherapy interventions on External Rotation and Pain in Mastectomy Patients)

  • 김태현;조균희;박신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88-197
    • /
    • 2020
  • 본 연구는 관절가동술 후 두 가지 유형의 전기치료 방법을 각각 적용하였을 때 유방암 환자의 어깨 가쪽돌림 가동범위와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유방절제술을 시행한 유방암 환자 30명을 STMG (관절가동술+비침습적 무통증 신호 전기치료) 15명과 TENMG (관절가동술+경피신경전기자극) 15명으로 나누었다. 중재는 4주간 주 3회, 1회당 1시간씩 실시하였다. 측정은 어깨 가쪽 돌림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 ROM), 통증(Visual analog scale)을 측정하였다. 중재 전·후 두 군 모두 어깨 가쪽돌림 관절가동범위, 통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STMG는 어깨 가쪽 돌림 관절가동범위를 제외하고 TENMG보다 통증 감소에서 더욱 효과적이었다(p<.05). 유방암 절제술 환자의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STMG이 TENMG보다 더욱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을 더하고, 더 많은 대상자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탄력밴드를 이용한 1회성 동체 PNF 스트레칭이 고등학교 야구선수의 피칭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NF Stretching with Elastic Band on Ball Speed of High School Baseball Players)

  • 이상원;김원현;김도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525-535
    • /
    • 2016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야구선수를 대상으로 운동 전 탄력밴드를 이용한 1회성 동체 PNF 스트레칭 운동을 통해 동체의 관절가동범위 및 구속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봄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I 광역시 소재 고등학교 소속 야구선수 11명을 대상으로 동체 PNF 스트레칭을 던지는 팔을 중심으로 전방 및 후방향으로 각 30회 실시한 후 동체 관절가동범위와 구속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체 PNF 스트레칭 운동 후 동체 관절가동범위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둘째, PNF 스트레칭 운동 후 최고, 최저 및 평균구속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PNF 동체스트레칭 운동 후 선수들의 투구시 힘듦 정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야구선수들의 탄력밴드를 이용한 1회성 동체 PNF 스트레칭 운동을 통해 ROM 증가 및 구속증가를 기대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슬링 운동이 무릎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여성 환자의 근력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ling Exercise on Muscular Strength and Range of Motion in Female Patients who Received Total Knee Replacement)

  • 배창환;정연우;이동우;조성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395-4403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무릎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여성 환자에게 슬링 운동을 적용하여 무릎관절의 근력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참여자는 2그룹 나누어 슬링 운동군 15명, 대조군 15명으로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대상자들은 근력 검사를 위해 Biodex system를, 관절가동범위 검사를 위해 각도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데이터의 분석은 통계적 유의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서 대응표본 t-검정과 독립 t-검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슬링 운동군은 중재 전후 굽힘 각, 넙다리네갈래근, 뒤넙다리근 근력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대조군은 중재 전후 굽힘 각, 폄 각, 넙다리네갈래근, 뒤넙다리근 근력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무릎관절 근력과 굴곡 관절 가동범위는 슬링 운동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슬링 운동법이 무릎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근력과 관절 가동범위에서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경부안정화 운동이 민간 경비원의 목통증, 경부장애지수,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ervical Spinal Stabilization Training in Private Security on Chronic Neck Pain and Cervical Function, Neck Pain, ROM)

  • 김성호;권봉안;이완희
    • 시큐리티연구
    • /
    • 제25호
    • /
    • pp.89-107
    • /
    • 2010
  • 이 연구는 만성 경부통을 가진 민간 경비원들을 대상으로 경부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여, 목통증, 경부장애지수, 관절가동범위, 근육통증, 재위치감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 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 지역 민간경비업체에 종사하는 직원 중 만성 경부통을 호소하는 21명을 대상으로 경부 안정화 운동그룹, 자세교정 운동그룹으로 무선 할당하여, 주3회, 8주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목통증과 경부장애지수를 조사하였으며, 관절가동범위, 근육통증, 재위치감각 검사를 실시하여 실험 전 후 변화된 값을 비교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통증강도와 경부장애지수는 경부 안정화 운동그룹이 실험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관절가동범위, 근육통증, 재위치감각은 경부 안정화 운동그룹에서 실험 후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 자세교정 운동그룹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그룹 간 비교에서도 경부 안정화 운동그룹이 통증, 경부장애지수, 관절가동범위, 근육통증, 재위치감각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p<0.05).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만성 경부통을 호소하는 민간 경비원들을 대상으로 경장근과 다열근과 같은 심부근육 강화에 초점을 둔 경부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일반적인 자세교정 운동프로그램보다 통증 및 목 기능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부 안정화 운동이 만성 경부통을 가진 민간 경비원들의 목 통증 감소와 기능 회복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