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덕도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1초

가덕도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주둥치의 위내용물 조성 (Diet Composition of Spot Nape Ponyfish, Leiognathus nuchalis in the Coastal Waters of Gadeok-do)

  • 정재묵;박주면;허성회;김현지;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3-38
    • /
    • 2015
  • 주둥치의 위내용물 분석에 이용된 개체는 총 350개체로 가덕도 주변해역에서 2010년 10월부터 2011년 9월까지 매월 채집하였다. 주둥치의 체장범위는 3.0~9.8 cm를 보였다. 주둥치는 주로 요각류와 게류 유생, 새우류 유생, 갯지렁이류 등을 섭식하는 육식성 어류로 확인되었다. 그 외에 난바다곤쟁이류, 단각류, 이매패류 유생, 복족류 유생 등도 발견되었지만,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주둥치는 성장함에 따라 주요 먹이생물을 전환하였는데 3~5 cm 사이의 개체들은 요각류를, 5~7 cm 사이의 개체들은 게류 유생과 새우류 유생을, 8~10 cm의 개체들은 갯지렁이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무게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만구를 통한 해수유출입과 만내수괴의 해수교환성 (Cross-Sectional Velocity Variability and Tidal Exchanger in a Bay)

  • 김종화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6권4호
    • /
    • pp.353-359
    • /
    • 1990
  • 물리적, 지형적 특성으로 구성되고 있는 만내수괴의 유출입 구조와 해수의 교환능력을 정량적으로 구하기 위해, 진해만과 그 부속 내만을 대상으로 하여 현지관측에 근거해서 다음과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덕수도 단면의 유출입 특성은 유출수괴의 유축은 1조석주기동안 남북으로 2회 왕복운동을 진행하며, 대체로 하층에 존재한다. 유입수괴의 유축은 남부와 북부에 양분되어 존재하는 경향이다. 전 시간에 걸쳐 반류현상으로 보이는 유출입 수괴가 동시에 존재한다. 2. 양 수도를 통한 해수유출입량의 비율은 가덕수도에서 대조기 약 86~90% 소조기 61~80%유출입된다. 따라서, 가덕수도를 통한 수괴의 유출입이 만의 해수교류.교환을 지배한다. 3. 하계만의 해수교환율은 양 수도에서 대조기 12~13%, 소조기 20%이상이나, 마산만 입구에서는 대조기 9%, 소조기 2%정도에 불과하다. 4. 하구역 특성으로 본 해수교환기구는, 가덕수도가 흐름은 깊이에 따라 방향이 변하고 약간 성층되나, 잘 혼합된 염분분포를 나타내어 salt flux는 주로 이류에 의존한다. 마산만은 sill의 해저지형가 만 입구에서 tidal trapping 현상으로, 고도의 성층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 PDF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1. 소형 기선저인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 off Gadeok-do, Korea -1. fishes Collected by a Small Otter Trawl-)

  • 허성회;안용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88-301
    • /
    • 2000
  • 가덕도 주변 해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1998년 1월부터 12월까지 소형 기선저인망을 이용하여 어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57과 110종이었다 실양태 (Repomucenus valenciennei), 청멸 (Thryssa kammalensis), 주둥치 (Leiognathug nuchalis), 등가시치 (Zoarces gilli)가 연중 우점하였는데, 이들 어종이 전체 채집 개체수와 생체량의 $57.6{\%}$$37.2{\%}를$ 차지하였다. 그 밖에도 청보리멸 (Sillagojaponica), 열동가리돔 (Apogon lineatus), 횐베도라치 (Pholis fangi), 멸치 (Engraulis japonicus), 풀반댕이 (nvssa adeire), 베도라치 (Pholis nebulosa), 붕장어 (Congo.my.iaste.), 꼼치 (Liparis tnnakai), 줄망둑 (Acentrogobius pnaunlii),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 도화망둑 (Chaeturichthys hexanema), 풀미역치 (Erisphex pottii), 용서대 (Cynoglossus abbreviatus) 등이 비교적 많이 채집되었다. 채집 종수 및 채집량의 계절 변동을 보면, 봄과 가을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여름과 겨울에 낮은 값을 보였다. 종다양도지수는 가을에 높은 값을 보였다.

  • PDF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2. 삼각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 off Gadeok-do, Korea -2. Fishes Collected by Three Sides Fyke Nets-)

  • 허성회;안용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66-379
    • /
    • 2002
  • 가덕도 주변 해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1998년 1월부터 12월까지 삼각망을 이용하여 어류를 매월 소조기에 채집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69과 136종이었다. 전갱이 (Trachums japonicus), 전어 (Konosirus pu-nctatus), 숭어 (Mugil cephalus)가 우점하였는데, 이들 어종이 전체 채집 개체수와 생체량의 $63.7\%$$83.1\%$를 차지하였다 그밖에도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 복섬 (Takifugu niphobles), 고등어 (Scomber japonicus), 갈치 ( Trichiurus leptrus), 등줄숭어 (Chelon afnnis), 열동가리돔 (Apogon lineatus), 수조기 (NibeaalbiHora),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등이 비교적 많이 채집되었다 채집 종수는 여름에 많았고 겨울에 적었다. 채집량은 봄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겨울에 낮은 값을 보였다. 종다양도지수는 다른 계절에 비해 봄에 낮은 값을 보였다.

한국 남해 가덕도 인근해역에 출현하는 자어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in the Species Composition of Larval Fish Assemblages in the Coastal Waters off Gadeok-do, South Sea, Korea)

  • 이은경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4-304
    • /
    • 2023
  • 가덕도 인근해역에서 출현하는 자어 군집에 대한 계절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2019년 5월, 8월, 11월 그리고 2020년 2월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자어는 총 45과 85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우점종은 멸치(Engraulis japonicus), 망둑어류(Gobiidae spp.), 청어(Clupea pallasii), 가라지(Decapterus maruadsi), 돛양태류(Callionymidae sp.)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5종은 조사기간 중 출현한 자어 전체 출현개체수의 84.1%를 차지하였다. 멸치와 망둑어류, 가라지, 돛양태류는 여름철 우점종이었고, 청어는 겨울철 우점종이었다. 종다양도지수는 여름철에 가장 높고 가을, 겨울철로 갈수록 낮아졌으며, 봄철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자어의 출현개체수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계절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뚜렷이 구분되었다. 특히, 계절적 수온변화에 따라 여름철에는 자어의 적정한 성육환경이 형성되었고, 겨울철에는 겨울산란어종의 적정한 부화수온이 형성되어 자어군집의 계절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부산점토의 특성: 가덕도 지역 조간대 퇴적물의 대자율 (The Properties of Pusan Clay : Magnetic Susceptibility of Deltaic sediments in Gadeok-do Area)

  • 김성욱;김인수;이선갑;김무겸;정성교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47-752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of clayey soils that distributed in the Gadeok-do area, Kimhae plain (Nakdong estuary). For the study, SPT core sampling and magnetic suscepti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Soils in study area is classified into five sedimentary facies ascending order; sand/gravel. clay, sand/gravel, clay, interbedded sand and silty clay. Analysis of magnetic susceptibility for Gadeok-do clayey soil reveals that depositional process and environment can be divid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layer, and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he sea level change since late Quaternary.

  • PDF

협수로의 교통량에 따른 혼잡도 평가에 관하여 - 부산(가덕) 신항만 개발에 따른 가덕수도의 혼잡도 평가를 중심으로 - (Evaluation of Congestion due to Traffic Volume in Narrow Channel - On Gaduk Channel according to Busan New Port Development -)

  • 구자윤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40
    • /
    • 1997
  • When designing new marine traffic routes, it is desirable that the congestion due to traffic volume is evaluated by theoretical traffic capacity or by traffic simulation. Most of these techniques are applied to single server which is not considered channel width. Over-taking or paralle sailing of two or more vessels is allowalbe in Dover, Uraga, Gaduk-sudo, etc under their traffic capacity. In this paper, the Bumper Model is introduced to multiple severs in narrow channel and applied to Uraga Channel in Japan. The minimum width of Uraga Channel is 1, 400 m and its design traffic capacity is evaluated 19.26 ~ 19.52% of the basic traffic capacity. The traffic capacity on Gaduk Channel according to Busan New Port Development in 2011 will be estimated 3.59 % of maximum density and equal to 18.6% of that on Uraga Channel in 1992. The channel width Gaduk-sudo is designed 1, 600~2, 460 m and evaluated safe enough.

  • PDF

가덕도 주변 해역 꼬치고기 (Sphyraena pingui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Brown barracuda (Sphyraena pinguis, Teleostei) in the Coastal Waters of Gadeok-do, Korea)

  • 백근욱;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505-510
    • /
    • 2004
  • The feeding habits of brown barracuda (Sphyraena pinguis) were analyzed using the stomach contents of monthly samples collected from coastal waters of Gadeok-do,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1998. Brown barracuda occurred mainly from summer to autumn in the study area, and ranged from 15 to 35 cm in standard length. Brown barracuda was a piscivorous fish which, mainly consumed teleost fish such as anchovy (Engranlis japonicus) and chefoo thryssa (Thfssa kammalensis). Its diet also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shrimp and cephalopods. Although smaller fishes (<25 cm SL) consumed shrimp and cephalopods as well as fish, larger fishes (>30 cm SL) consumed exclusively teleost fish. The prey size increased with increase of fish size.

AWS 데이터를 이용한 부산 해안의 바람분포 특성 해석

  • 설동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5-266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10년간(1997-2006년)의 기상청 AWS(Automatic Weather System) 자료를 이용하여 부산 해안의 바람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부산 해안의 바랑분포 특성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해륙풍의 영향을 받지 않는 밀양의 바람분포 특성도 해석하여 비교하였다. 부산 해안의 평균풍속은 밀양보다 강하고, 부산 해안 중에서도 성인 영도와 가덕도의 평균풍속은 일광, 해운대 및 대연의 그것보다 약 2.0배 강한 특성을 보인다. 상판분석에 의하여, 부산 해안의 월별 평균풍속은 서로 변화 경향이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부산 해안의 월별 평균풍속의 최대값은 9월에 나타나는데 이는 대풍의 영향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최대순간풍속도 섬인 명도와 가덕도에서 특히 강하고, 부산 해안의 최대순간풍속은 주로 8-9월에 그 최대값이 관측된다. 부산 해안의 풍향별 관측횟수의 백분율을 살펴보면, 겨울은 남서풍-북북동풍이 우세하고 봄은 남서풍과 북동풍이 우세하다. 여름의 풍향 분포는 봄과 비슷하고, 가을의 풍향 분포는 겨울과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