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능교통량

Search Result 26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Optimal Route Location using Possible Traffic Capacity and Virtual Running and Application at Road Design in the City Centre (도심지 도로설계에서 가능교통량과 가상 주행을 통한 최적노선선정)

  • Choi, Hyun;Song, Suck-Jin;Kang, In-J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3 no.4 s.34
    • /
    • pp.39-46
    • /
    • 2005
  • This paper use virtual running after possible traffic capacity application for optimal route location. General road is designed the design after we examine an alternate adequacy investigation and an execution design sufficiently. Various road user's requirement must be reflected from the beginning. But it is difficult to contain the various suitable design criteria because we consider the existing 2-dimension element. First of all, this study chose optimal route, used traffic assignment and 3D simulation. Then selected optimal route through the consistent road construction by analyzing road driving simulation of 3-dimension data and the urban landscape. possible traffic capacity and virtual running will be able to do the urban landscape analysis harmonizing with the environment; equally, it could be objectively solve the problem of a civil appeal.

  • PDF

Development of no-overtaking Model and Analysis of fundamentals of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on Two-Lane Highways (양방향 2차선 도로의 추월금지 모형개발 및 교통류특성 분석 연구)

  • 최재성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4 no.2
    • /
    • pp.173-189
    • /
    • 1996
  • 본 논문의 목적은 2차선 지방지역도로에서 사용 가능한 No-overtaking Model의 개발과 현장조사를 통한 우리 나라 2차선 도로의 교통류 특성의 규명이었다. No-overtaking Model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미 개발된 바 있는 Slow moving Vehicle Model의 이론적 틀을 근거로 하되 중차량을 따라 피동적으로 주행하는 일련의 차량군에 또 다른 중차량이 포함된 경우에 대해서도 분석이 가능하도록 개선했다. 경기도 일원에서 약 3 개월동안 조사한 현장조사에서 나타난 우리 나라 2차선 도로의 교통류 특성은 첫째로, 2차 선 교통류의 주요 MOE(Measures of Effectiveness)들은 교통량에 의해 비교적 정확하게 산정 가능하다는 것과, 둘째로 우리 나라의 주요 MOE값은 외국의 경우와 비교했을 때 대 체로 유사한 결가를 보이나 평균속도의 경우 최소 5km/h 최대 15km/h 정도와 차이를 나타 낸다는 것, 그리고 셋째로 차량군의 선두차량 85%의 경우 그 속도는 100.4km/h이고 추월 에 필요한 반대편차선 차량과의 여유 거리는 754.8m이라는 것이었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중차량의 속도분포를 확률 분포식으로 나타내는 경우의 지체시간, 추월율 등의 2차선 교통 류 MOE를 산출할 수 있는 Model을 개발하는 것이며 현재 5분 교통량으로 표시된 교통량 을 보다 많은 현장수집 자료를 통해 1시간 단위의 교통량을 기준으로 하여 MOE를 산정해 보는 것이다.

  • PDF

해상교통량 추정기법에 관한 연구

  • Mun, Seong-Bae;Lee, Chun-Gi;Jeon, Seung-Hwan;Jeong, Eun-Seok;Song, Jae-Uk;Jeong, U-R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249-251
    • /
    • 2013
  • 해상교통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해상 개발사업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항해안전의 위험요인을 전문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으로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가 있다. 이제도의 주요 평가항목에는 해상교통 현황조사, 해상교통 현황측정, 해상 교통시스템 적정성 평가 및 해상교통 안전대책이 있다. 특히 해상교통 현황측정의 세부 항목 중에는 진단 대상 항만 또는 항로가 추정된 미래의 해상교통량을 수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필요 시 관련 해역의 교통 흐름을 조정할 목적으로 수행하는 해상교통혼잡도 평가 있다. 이 연구는 현재 교통혼잡도 평가를 위한 미래 해상교통량 추정기법의 문제점의 현황과 이를 개선하여 신뢰도 있는 교통량 예측이 가능한 통계기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raffic Volume Estimation Model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Data Using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데이터 기반 교통량 추정 모형 개발)

  • Dong-seob Oh;So-sig Yoon;Choul-ki Lee;Yong-Sung CH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4
    • /
    • pp.1-13
    • /
    • 2023
  • This study develops an optimal mobile-communication-based National Highway traffic volume estimation model using an ensemble-based machine learning algorithm.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data and VDS data, the LightGBM model was selected as the optimal model for estimating traffic volume. As a result of evaluating traffic volume estimation performance from 96 points where VDS was installed, MAPE was 8.49 (accuracy 91.51%). On the roads where VDS was not installed, traffic estimation accuracy was 92.6%.

Warrants of Permissive Left-Turn Signal Systems Based on a Cross Road Volumes (교차도로 교통량을 고려한 비보호좌회전 신호체계의 적용기준)

  • 김동녕;최종윤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4
    • /
    • pp.67-7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criteria for implementing unprotected left turn at intersections with variation of traffic volume on a cross road approach. Using Transyt-7F model, the delays calculated from permissive and protected left turn signal system were compare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left turn volume for a certain opposing through volume up to the volume limits to which permissive left turn is more effective, Average stopped delay of the intersection was used as the measure of effectiveness in this study. The major conclusions are (1) the lighter the traffic gets in a cross road, the more the allowable left turn volume increases. The allowable left turn volume when the ratio of cross traffic to the concerned approach traffic is 0.6 appears about 50% more than the volume when the ratio is 1.0. (2) Comparing to the criteria of the manual of traffic safety facility, the results when the traffic ratio is 0.6 seem to be most similar the criteria of manual and the results when the traffic ratio are 0.8 and 1.0 appears to be lower than the criteria of manual. (3) The possible amount of making a left turn tha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opposing through traffic, decreases as the number of opposing through lanes increases. The products of volume need to be used as the criteria of permissive left turn with considerable cautions because of its low consistency.

A Study on Characteristic Design Hourly Factor by Road Type for National Highways (일반국도 도로유형별 설계시간계수 특성에 관한 연구)

  • Ha, Jung-Ah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2 no.2
    • /
    • pp.52-62
    • /
    • 2013
  • Design Hourly Factor(DHF) is defined as the ratio of design hourly volume(DHV) to Average Annual Daily Traffic(AADT). Generally DHV used the 30th rank hourly volume. But this case DHV is affected by holiday volumes so the road is at risk for overdesigning. Computing K factor is available for counting 8,760 hour traffic volume, but it is impossible except permanent traffic counts. This study applied three method to make DHF, using 30th rank hourly volume to make DHF(method 1), using peak hour volume to make DHF(method 2). Another way to make DHF, rank hourly volumes ordered descending connect a curve smoothly to find the point which changes drastic(method 3). That point is design hour, thus design hourly factor is able to be computed. In addition road classified 3 type for national highway using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so we can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DHF by road type. DHF which was used method 1 is the largest at any other method. There is no difference in DHF by road type at method 2. This result shows for this reason because peak hour is har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 of hourly volume change. DHF which was used method 3 is similar to HCM except recreation road but 118th rank hourly volume is appropriate.

Rule-based traffic information processing (규칙에 기반한 교통량 정보처리 기법)

  • 윤광준;박영태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1998.06a
    • /
    • pp.709-71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교통 정보처리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기존의 불완전한 영상분할 기법을 후처리 과정에서 자동차의 특징과 context 정보로 구성된 지식기반에 의한 전문가 시스템으로 보완함으로써 자연적인 영상에서도 정확한 영상분할이 가능한 컴퓨터 시각장치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환경에서 구축한 3000여개의 영상 데이터베이스 중 100여개의 영상에 대해 위의 차량검출 기법을 적용한 결과, 영상의 대비도가 높을 경우 대부분의 영상에서 약 10%의 오차 범위 내에서 정확한 영역검출이 가능하였으며, 교통량의 최적제어를 위한 지능적 신호체계 구축의 자동화에 사용될 수 있다.

  • PDF

Estimation of Trip Matrices from Traffic Counts : An Equilibrium Approach (교통망 평형 조건하에서 링크 교통량 자료를 이용한 기종점 통행표 추정방법에 관한 연구)

  • 오재학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0 no.1
    • /
    • pp.55-62
    • /
    • 1992
  • 교통수요는 교통정책 및 교통시설 계획의 수립 및 평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교통수요의 예측은 교통연구에서 중요한 부문을 차지하고 있다. 도로밑에 설치된 전자차량감지기(Electronic Vehicle Detector)로부터 자동 수집된 링크 교통량 자료(Traffic Counts)를 주요 입력자료로 이용하여 계획지역의 기종점 통행표(Origin Destination Trip Matrix)를 작성할 수 있는 기법 들이 최근 수년동안 많이 발달하게 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기법들은 가구조사(Home Inteview), 노변면접조사(Road-Side Interview)등을 토하여 조사된 자료를 기초로하는 전통적은 4단계 교통수요추정방법(Conventional 4-Stage Estimation Method)-통행발생(Generation), 통행분포(Distribution), 수단선택(Modal Split), 교통배분(Assignment)-과 비교하여 첫째로 정확도가 높은 링크 교통량 자료를 별도의 조사를 거치지 않고서도 수집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사비용이 거의 들지 않아도 되어 경제적이고, 둘째로 전통적인 수요예측방법들에서 요구되어지는 복잡한 모형수립 및 계수조정(Parameter Calibration)이 필요하지 않아 간편하고 셋째로 오래전에 작성된 기종점 통행표를 단순히 링크 교통량 자료만을 이용하여 쉽게 보완할 수 있어 지속적인 자료의 축적(Data Age-ing)이 가능하며 더 나아 가서 소위 연속적인 교통 계획 및 교통시설관리(Continuous Transport Planning and Management)를 가능케 하는 등의 여러 장점 때문에 많은 주목을 받아 오고 최근 몇 년이 꾸준히 실무에 유용하게 적용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링크 교통량자료를 이용하여 기종점 통행표를 작성하기 위하여 개발된 기존의 여러 기법들 가운데 특히 용량제약조건(Capacity-Restrained Condition)하에서 기존의 방법들을 상호 검토한 후 Wardrop의 교통망 평형원칙(Wardrop's First Network Equilibrium Principle)을 만족하는 새로운 추정기법을 제의하고 이의 시험결과를 논의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한다. 링크 교통량 자료를 이용하여 기종점 통행표를 작성하는 기법들의 근본 목표는 조사된 링크 교통량(Ob-served Traffic Counts)에 가장 근접한 교통망 통행 배정 링크 교통량(Assigned Link Volumes)을 재현(Re-producing)할 수 있는 기종점 통행표들 중에서 최적의 기종점 통행표를 발견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통망에서 통행자의 여행 경로 배정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현실적인(Realistic) 교통망 통행 배정 모형(Net-work Traffic Assignment Model)의 선택은 중요한 요소가 되며 특히 교통망에 교통체증(Traffic Conges-tion)이 심할 경우 교통망 통행자 평형조건(Network Traffic Equilibrium Condition)을 고려하기 위한 특별한 처리가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는 Whllumsen(Hall, Van Vliet and Willumsen, 1980)에 의하여 개발된 ME2(Maximum Entropy Matrix Estimation)기법에서 반복식 추정방법(Sequential Estimation Method)을 사용할 경우 Wardrop의 평형조건을 만족하는 기종점 통행표를 구할 수 없다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엔트로피 극대화문제와 교통망 평형 조건(Entropy Maximisation and Network Equilibrium Condition)의 두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수식모형과 이를 풀기 위한 알고리즘(Simultaneous Solution Algorithm)을 제의하였다. 제의된 수식모형과 알고리즘을 예제 교통망(Example Network)을 이용한 시험하고 그 결과를 ME2 의 반복식 추정 방법으로부터 구한 기종점 통행표와 비교 검토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Traffic Volume Correction and Prediction Using SARIMA Algorithm (SARIMA 알고리즘을 이용한 교통량 보정 및 예측)

  • Han, Dae-cheol;Lee, Dong Woo;Jung, Do-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0 no.6
    • /
    • pp.1-13
    • /
    • 2021
  • In this study, a time series analysis technique was applied to calibrate and predict traffic data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planning, design, maintenance, and research. Existing algorithms have limitations in application to data such as traffic data because they show strong periodicity and seasonality or irregular data. To overcome and supplement these limitations, we applied the SARIMA model, an analytical technique that combines the autocorrelation model, the Seasonal Auto Regressive(SAR), and the seasonal Moving Average(SMA). According to the analysis, traffic volume prediction using the SARIMA(4,1,3)(4,0,3) 12 model, which is the optimal parameter combination,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of 85% on average. In addition to traffic data,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of great value in that it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raffic correction and forecast improvement in the event of missing traffic data, and is also applicable to a variety of time series data recently collected.

New Traffic Measurement Using CCTV (CCTV를 활용한 새로운 교통량 측정)

  • Shin, Seong-Yoon;Kim, Chang-Ho;Lee, Hyun-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105-10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통행 시간의 측정 방법 중 하나인 CCTV를 활용한 주행 차량 조사법을 이용하여 교통량을 측정한다. 교통망의 서비스 수준을 측정하는 주요 기준인 통행 시간과 지체 시간에 대하여 알아본다. 신호등 간격이 넓어서 연속적인 교통류 특성을 갖는 곳에서 측정을 하도록 한다. 반대편의 교통류가 충분히 식별 가능한 구간이어야 하고, 구간의 끝부분에서는 유턴이 가능해야 한다. 이 방법은 측정차량의 운전수만 있으면 CCTV와 프로그램이 알아서 측정하고, 시간, 거리, 교통량을 기록할 수 있는 장비도 필요 없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