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구야-2

검색결과 1,701건 처리시간 0.025초

우리나라 가구의 민간의료보험 과다가입 현황과 관련요인 (Factors and Trends Associated with Purchasing Multiple Private Health Insurances in Korea)

  • 이혜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601-610
    • /
    • 2022
  • 우리나라의 민간의료보험 가입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그에 대한 가계부담이나 중복가입 현황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다뤄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료패널 2011년부터 2018년 조사자료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가구의 민간의료보험 가입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가구원당 민간의료보험 가입수가 3개를 초과하는 가구를 과다가입 가구로 정의하고 2018년 단면자료를 사용하여 민간의료보험 과다가입과 관련된 요인에 대해 로짓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간 동안 우리나라 가구의 가입 보험수는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1인당 보험수는 2011년 1.3개에서 2018년 1.6개로 증가하였다. 1인당 보험수가 3개를 초과한 가구의 비율은 동기간 5.2%에서 10.8%로 증가하였다. 로짓분석 결과 가구주가 여성인 경우, 교육수준이 높고 고소득인 가구, 가구주 직업이 사무·서비스·판매직인 경우에 과다가입 가능성이 높아졌고, 의료급여 가구와 가구내 만성질환이 많은 가구는 과다가입 가능성이 낮아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가구의 실손의료보험 가입의 실효성과 가계부담에 대한 심층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미국 남부 가구류 생산업체 분석 - 한국 가구업체와의 경쟁 관계 - (An Analysis of Furniture, Cabinet and Fixtures Manufacturers in the U.S. South - Competitive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Manufacturers -)

  • ;김세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2호
    • /
    • pp.7-14
    • /
    • 1996
  • 이 연구(硏究)는 미국(美國) 남부(南部)의 9개 주(州)에 소재하고 있는 가구공장(家具工場)에 대한 설문조사(設問調査)를 통해 산업구조(産業構造)와 마케팅 전략을 조사(調査) 하였다. 이번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1. 가구공장(家具工場)이 사용하는 원자재(原資材)는 red oak, pine, poplar, maple 등으로 한국 가구공장(家具工場)이 원자재(原資材)의 95% 이상(以上)을 남양재(南洋材)에 의존하고 있는 것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2. 가구공장(家具工場)의 68.8%는 주요시장(主要市場)을 자기 주내(州內)에 가지고 있고, 28.8%가 주(州) 밖에 그리고 조사공장(祖師工場)의 2.5%만이 수출(輸出)했다. 아울러 수출(輸出)이나 자기 주외(州外)에 시장(市場)을 가지고 있을 수록 공장규모(工場規模)가 컸다. 3. 주요시장(主要市場)까지의 거리는 50%가 160km 이내(以內)였는데 이것은 활엽수 제재목(製材木) 공장(工場)의 30%가 800km 밖에까지 시장(市場)을 가지고 있는 것에 비해 매우 좁은 시장(市場)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제품(製品)의 유통(流通)은 직접 소비자(消費者)에게 출하(出荷)하는 것이 3/4로 압도적이었지만, 중간유통기관에 출하(出荷)하는 곳일수록 공장규모(工場規模)도 컸다. 5. 가구산업(家具産業)의 성공에 기여(寄與)하는 요인(要因)으로는 제품품질(製品品質)과 장기적(長期的)인 소비자(消費者)와의 관계(關係) 증진(增進)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하였고, 그 다음으로 기업에 대한 평판(評判)과 높은 소비자(消費者) 서비스를 지적하였다. 반면에 가구산업발전(家具産業發展)의 장애요인(障碍要因)으로는 원자재(原資材)의 품질(品質)과 원료(原料)의 불안정(不安定)한 공급(供給)이 제일 중요하게 인식되어 있었다. 그러나 해외공급자(海外供給者)와의 경쟁(競爭)은 장애요인(障碍要因)으로 거의 인식되고 있지 않았다. 6. 공장(工場)의 확장(擴張)이나 이전(移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要因)으로는 노동력(勞動力) 문제(問題)(생산성(生産性)과 비용(費用))가 가장 중요하게 지적되었고, 그 다음으로 세금구조(稅金構造), 건설비(建設費) 등이 지적되었다.

  • PDF

인삼을 첨가 제조한 액상요구르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Liquid Yoghurt from Milk Added with Ginseng)

  • 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23권2호
    • /
    • pp.219-226
    • /
    • 1996
  • 한국인의 기호에 맞으며 약리적인 효능을 가지고 있는 인삼을 인삼 extract, 백삼분 및 미삼분 형태로 요구르트 제조시에 첨가하여 요구르트의 산생성도, 유산균수, 제품의 점도, 관능검사 및 보존성 등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삼 extract, 백삼분 및 미삼분을 첨가한 액상 요구르트의 시험제조 결과 산도에 있어서는 무첨가구의 0.76%에 비하여 첨가구 특히 미삼첨가구가 1.15%로서 가장 높았다. 2. 유산균수는 무첨가구의 $1.5{\times}10^8/m{\ell}$에 비하여 첨가구가 더 증식되었고 특히 미삼첨가구가 $4.3{\times}10^8/m{\ell}$로서 가장 높았다. 3. 제품의 점도에 있어서는 무첨가구에 비하여 인삼첨가구 특히 백삼첨가구가 높았다. 4. 액상요구르트의 관능검사 결과 무첨가구에 비하여 맛, 향취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미삼이 가장 높았다. 5. 요구르트 제품의 $5^{\circ}C$, 10일간 보존시험에서 pH, 산도 및 유산균수는 큰 변화가 없었다.

  • PDF

도시 근로자 가구의 빈곤 추이(推移)와 원인에 관한 연구: 조세와 이전소득의 빈곤완화효과를 포함하여 (Trends and Causes of Poverty among Urban Wage Earners' Households)

  • 김교성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2호
    • /
    • pp.143-169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1995년부터 2005년까지 도시근로자 가구의 빈곤실태와 변화추이, 빈곤가구의 특성, 그리고 빈곤의 원인을 규명하고, 공 사적 이전소득과 조세의 빈곤완화 효과를 평가하여, 우리나라 빈곤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그에 기초하여 보다 바람직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도시가계조사의 연간 원자료를 분석의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종단자료에 대한 분석을 위해 GEE(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가장 중요한 사실 가운데 하나는, 경제위기를 경험하면서 그 규모와 심도 차원에서 심각했던 도시 근로자 가구의 빈곤 문제가, 이후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오히려 더욱 악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여성빈곤, 노령빈곤, 저학력 가구주 가구의 빈곤 등, 전통적인 빈곤가구의 특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취약집단의 빈곤화 현상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심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임시 일용직, 단순노무직, 1차 산업과 민간서비스업 종사자 가구의 빈곤화 현상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저임금과 고용불안정이 빈곤의 주된 원인임을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빈곤 가구의 특성은 빈곤의 원인에 대한 분석에서도 다시 한번 확인된다. 그리고 정부의 조세와 공적이전소득의 빈곤완화 효과는 이전의 시기에 비해 크게 확대되었지만, 그 상대적인 효과는 서구의 복지선진국과 비교해 볼 때,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는 낮은 수준이다.

  • PDF

한국 가구 시장에 나타난 전통식 가구에 관한 연구 - 침실가구의 명칭, 규모, 유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produced Traditional furniture Shown at the Furniture Markets in Korea - Focused on the Names, Dimensions, and Types of Bedroom Furniture -)

  • 이한나;박현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64-171
    • /
    • 2004
  • Currently,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has been changed irregularly and even the traditional character has been distort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s of traditional bedroom-furnitures that are reproduced and sold at the markets in Korea. The eight companies were selected as a research sample. All those companies also participated at the "Living-design Fair 2003 and 2004" The traditional bedroom-furnitures were the limited products as a research target. As a method of the research, the content analysis such as names, dimensions and types was used. The results of research were as follows: 1) Using the confused names for a same item, 2) Changes of dimensions, 3) Diversification of the types, 4) Mixing with Japanese style furniture in the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marke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selected eight companie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First, representation of traditions near to the prototype, second, reforming to be suitable to the contemporary life-style, and the last, mixing of Japanese style furniture. This research will make us be concerned about reproduced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and established the position to seek for Koreanity. This research expected to be a reference to develope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industry, opportunity of verification for reproduced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companies and find out the change of life-style through a comparison analysis of the original traditional furniture.furniture.

노인의 이전소득과 삶의 만족도 관계 (Relations between Older People's Transfer incomes and Life Satisfaction)

  • 이형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238-241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제11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이전소득(공적이전, 사적이전 소득)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분석결과, 일반가구 노인의 경우 공적이전 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저소득가구 노인의 경우 사적이전 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가구 노인의 경우 공적이전 소득이 1,019.2만원(월평균 84.9만원)으로 공적이전 소득이 소득안정화 효과로 나타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저소득가구 노인의 경우 일반가구 노인의 공적이전 소득의 절반 수준인 508.5만원(월평균 42.4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소득가구 노인의 경우 비록 "마음이 편하지 않는" 소득원천인 사적이전 소득이 불안정한 소득안정화 부족분을 채워주어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PDF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의 가구(街區)체계에 관한 연구 -1970년대 청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lock Structure of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Districts Focused on the case study of Cheongju City in the 1970's)

  • 김미연;오덕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51-563
    • /
    • 2019
  • 본 연구는 청주시의 1970년대에 시행된 4개의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를 대상으로 하며, 물리적 측면에서 가구체계의 개념을 통해 지구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첫째, 가구의 가로 특성을 보면, 4개 지구 동일하게 현재의 도시개발 기준 대비 간선도로망과 가구로의 진입을 위한 국지도로체계는 잘 갖춰져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가구내의 개별필지로의 진입로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개별 필지 별 건축이 어려운 상황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구의 형태 특성을 보면, 세장비는 평균 1:2의 비율이며, 동서방향의 장방형 가구가 높은 빈도를 나타났다. 1지구부터 3지구까지는 가구면적이 증가하는 추세이었으나 4지구는 다시 감소하여 현대적인 가구구획의 형태로 변화하는 양상을 띠었으며, 가구면적이 클수록 접도율이 일관성 있게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필지배열 특성을 보면, $4{\times}4$이상의 다열구조를 갖는 가구의 빈도가 1~3지구 까지 높았으며 4지구에서는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정방형에 가까운 가구는 접도율이 열악한 과다열 필지구획이 되어, 주거환경을 개선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한 택지 개발은 가구구획이 상당히 정형화되어 있고, 그러한 주택지의 면적이 상당한 만큼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좋은 주거지를 위한 개선방법을 찾는다면, 외곽개발 등의 난개발을 제어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정 M-W모형을 이용한 축소도시(Shrinking City)의 주택수요분석 (An Analysis of Housing Demand in Shrinking Cities)

  • 임미화;이창무
    • 부동산연구
    • /
    • 제24권1호
    • /
    • pp.27-37
    • /
    • 2014
  • 그동안의 고성장 인구증가시대에서의 공급량만을 늘리는 주택정책은 출생률감소와 인구의 고령화, 그리고 가구분화로 인한 1, 2인 가구의 증가와 같은 최근의 사회현상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주택정책은 인구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정책이다. 그렇다면 지금과 같이 인구증가율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도시가 아닌 중 소도시의 도시 계획 방향은 무엇일까? 구체적으로 대도시와 달리 인구가 감소 또는 정체되고 있는 도시의 주택 정책은 대도시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의 주택수요를 분석하되, 인구가 증가하는 성장도시(Growing City)와 인구가 감소 또는 정체되고 있는 축소도시(Shrinking City)의 주택수요를 비교함으로서 주택정책에 필요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경제 활력이 성장도시보다 떨어지는 축소도시의 경우 가구의 주택소비가 정점에 이르는 연령대가 60대 후반으로, 성장도시는 80대 초반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소득, 자산과 같은 경제변수와 가구주나이 65세 이상의 고령 1, 2인 가구더미와 청년 1, 2인 가구더미를 추가한 분석에서 축소도시는 약 5년에서 10년 정도 빠른 50대에, 성장도시는 약 20년에서 25년 정도 앞당겨진 50대 후반에서 60대 초반에 최대 주택수요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65세 이상의 고령 1, 2인 가구 또는 청년 1, 2인 가구의 비율이 주택수요를 왜곡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도시의 인구 및 경제학적 특성에 따라 가구의 주택 수요가 차별화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경제 확장기에서 바라보았던 도시정책 그리고 주택수요정책을 이제는 개별도시의 인구 및 경제구조여건에 맞추어 재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성인 뇌병변장애인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 1인 가구와 다인가구 비교 (Factors of the Life Satisfaction of Adults with Brain Lesions Disabilities: A Comparison of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 박주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696-703
    • /
    • 2021
  • 본 연구는 성인 뇌병변장애인의 생활만족도를 분석하고 이를 향상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2차 웨이브 4차 장애인고용패널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성인 뇌병변장애인 1인 가구 54명, 다인가구 227명이다. 분석은 χ2, ANOVA,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 뇌병변장애인 1인 가구는 다인가구에 비해 중년층과 노년층 비율이 높고, 소득이 낮으며, 수급자, 일상생활도움이 필요없고, 낮은 사회활동참여로 나타났다. 둘째, 다인가구 성인 뇌병변장애인의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은 장애정도(p<.05), 건강상태(p<.05), 사회활동 참여(p<.001), 장애차별경험(p<.05)이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1인 가구 성인 뇌병변장애인의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은 성별(p<.05), 연령(p<.05), 건강상태(p<.001), 고용(p<.05), 장애차별경험(p<.001)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가구유형에 따른 성인 뇌병변장애인의 생활만족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1984년(年) 도시가구(都市家口)의 동등화소비단위(同等化消費單位) 추정(推定)과 분석(分析)

  • 유종구;주학중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9권2호
    • /
    • pp.71-88
    • /
    • 1987
  • 본고(本稿)에서는 소비지출(消費支出)을 상이(相異)한 가구특성(家口特性)을 지닌 단위가구(單位家口)의 소비지출(消費支出)로 환산(換算)하기 위한 지수(指數)(디플레이터), 즉 상이(相異)한 가구특성(家口特性)들을 지닌 도시가구(都市家口)의 동등화소비단위(同等化消費單位)를 추계(推計) 분석(分析)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조르겐슨-슬레스닉"의 모형(模型)을 적용(適用)하였다. 특징적(特徵的)으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품목별(品目別) 동등화소비단위(同等化消費單位)나 총화(總和) 동등화소비단위(同等化消費單位) 모두 가구주(家口主) 직종별(職種別)로는 일용근로자(日傭勤勞者), 자영업자(自營業者), 봉급자(俸給者)의 순서로 높아지고 가구원수(家口員數)는 3명(名)에서 4명(名)으로 느는 데 따라 크게 증가되고 있다. 둘째, 가구원수(家口員數)의 증가(增加)에 따른 동등화단위(同等化單位)의 증가와 일관성 있게 가구주(家口主) 연령별(年齡別)로는 자녀(子女)를 한두 명 두게 되는 25~29세(歲)의 연령층(年齡層)에 유의(有意)한 동등화단위(同等化單位)의 증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출항목별(支出項目別)로는 광열비(光熱費)와 수도료(水道料)를 제외한 모든 지출비용(支出費用)에서 소비생활(消費生活)에 있어서 규모(規模)의 경제(經濟)가 나타난 바 이러한 광열비(光熱費)와 수도료(水道料)의 추정결과(推定結果)는 우리나라에 있어서 누진적(累進的)인 요율체계(料率體系)에서 기인(基因)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硏究)가 함축하는 가장 큰 정책적(政策的) 의미(意味)는 일용근로자가구(日傭勤勞者家口)의 동등화소비단위(同等化消費單位)가 가장 낮음으로써 같은 수준의 경제성장률(經濟成長率)을 전제하더라도 이들에게 소득(所得) 및 소비(消費)의 증대(增大)가 일어나면 국민경제(國民經濟) 전체로서의 복지후생수준(福祉厚生水準)이 가장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을 함축하고 있는 데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