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공성 세라믹

Search Result 88,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파인 세라믹의 연삭잔류균열깊이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정윤교;정연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10a
    • /
    • pp.36-40
    • /
    • 2001
  • 파인 세라믹은 대부분의 기계적 특성에 있어서 일반금속보다 우수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각종기계 및 부품 재료로서의 기대가 크다. 그러나 세라믹재료의 고경강도, 고취성에 기인하는 난가공성 및 가공손상층의 발생은 이들 재료의 실용화에 큰 장애로 되어 있다. 현재, 다종의 세라믹이 개발되어져 있고, 이들을 어떠한 제품의 형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기계적 가공을 필요로 하게된다. 오늘날, 세라믹의 기계적 가공법으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것은 다이야몬드숫돌에 의한 연삭가공이다.

A study on the processing of dental ceramic composites by using laser (치과용 세라믹 보철물 소재 레이저 가공성 평가)

  • Hwang, Junho;Kwon, Sung-Min;Lee, ChanWoo;Kim, HyunDeok;Kim, Im-Sun;Lee, Kyu-Bok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57 no.1
    • /
    • pp.1-7
    • /
    • 2019
  • Purpose: The laser processability of dental prosthesis is investigated using two ceramic composites, including 3M, Lava Ultimate and Ivoclar vivadent, IPS e.max. Materials and methods: The $CO_2$ laser, picosecond laser and femtosecond laser are used to assess the processing power of dental prosthetic materials Lava Ultimate and IPS e.max and the line processing shape was measured using a confocal microscope. Results: The brittleness, carbonization and micro crack of the ceramic composite were influenced by heat accumulation of the material and could be controlled by the laser power and pulse time. Conclusion: In the case of $CO_2$ lasers, micro crack and carbonation occurred immediately, and in the picosecond laser processing, the micro cracks are partially improved, but the carbonization occurs continuously. Finally, we confirmed the high efficiency of laser processing with femtosecond laser. In particular, Lava Ultimate, a ceramic resin composite material, showed the best processability when processed using a femtosecond laser.

A Study on the Machinability of Ceramics by Low Temperature Cooling Diamond Tool (다이아몬드공구 내부 냉각법에 의한 세라믹스의 피삭성에 관한 연구)

  • Kim, Jeong-Du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6 no.2
    • /
    • pp.50-59
    • /
    • 1990
  • 일잔적으로 세라믹재료는 강도, 내식성, 내열성, 내마모성의 성질 등이 우수하여 신소재로서의 응용폭이 점점 확대되고 있으나, 가공성이 난삭재로 피삭성의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공 중 절삭열을 억제시키는 방안으로 극저온 내부 냉각공구시스템을 제작하고, 냉매로 액화질소를 순환 공급하면서 이때 난삭재인 세라믹 가공의 피삭성 향상의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분리판 소재

  • 김도형;전재효;김승구;전중환
    • Ceramist
    • /
    • v.7 no.6
    • /
    • pp.76-81
    • /
    • 2004
  • 가동온도가 $800^{\circ}C$ 이하인 평판형 SOFC에서는 기존의 세라믹 분리판 대신에 금속 분리판이 적용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금속 분리판은 가공성 및 경제성 등이 세라믹 분리판 보다 우수하여 SOFC의 실용화를 앞당기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금속 분리판의 적용을 위하여서는 아직 해결되어야만 할 문제점들이 남아 있는데, 표면 산화층의 형성에 따른 접촉 저항의 증가와 합금 성분 중의 Cr의 증발에 의한 전극 열화의 문제 등이 대표적인 그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SOFC용 분리판의 요구특성에 적합한 신합금의 개발과 고기능 표면 코팅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PDF

전해 인프로세스 드레싱법(ELID)을 이용한 고능률.고정도 원통연삭

  • 이득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10a
    • /
    • pp.161-165
    • /
    • 1993
  • 최근 산업의 발달과 함께 제품의 고정도화,다양화,생산성 향상등의 요구에 의해 연삭가공에 있어서도 고능률.고정도가공이 주목되고 있다. 특히 반도체산업,광산업 등에 넓게 응용되고 있는 광학소자 가공에서는 가공정도와 가공능률이 동시에 달성되는 것에 대한 요구가 많지만, 이러한 광학소자의 가공에 있어서 기존의 연마방법은 가공정도와 가공능률에 한계가 있었다. 그런데 연삭가공에서 고능률,고정도가공의 한가지 방법으로 "전해 인프로세스드레싱(Electrolytic In-Process Dressing;ELID)연삭법"이 개발되어 고강도 메탈본드숫돌에 의한 초경합금,세라믹재료등의 경취성재료를 고품위 가공하고 있다. ELID연석법이란 숫돌의 다이아몬드나 cBN등의 연삭입자를 결합하고 있는 금속결합재를 전기분해에 의해 적당량 제거하여 일반적인 연삭과 같이 연삭입자를 연속적으로 돌출시켜 가공이 유지되도록 하는 연삭방법이다. 본 연구는 ELID연삭기술을 이용하여 원통연삭에서 철갈재료 및 세라믹재료의 고능률.고정도 가공특성을 살펴보았다. 원통연삭에서의 주철파이바본드숫돌 및 코발트본드숫돌에 의한 ELID연삭과 비트리파이드본드숫돌에 의한 일반연삭과의 고능률 가공특성을 비교하였다.

  • PDF

The effect of microstructure of electrical discharge machinable silicon nitride on wear resistance (방전가공용 질화규소의 미세조직이 내마모에 미치는 영향)

  • 이수완;김성호;이명호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8 no.1
    • /
    • pp.111-116
    • /
    • 1998
  • Silicon nitride is hard and tough ceramic material. Hereby, mechanical machinability is very poor. It has also high electrical resistance. Silicon nitride of extremely high electrical resistivity becomes conductive ceramic composite by adding 30 wt% TiN. Ceramics with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can be electrical discharge machined. Using by the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DM) technique. $Si_3N_4-TiN$ ceramic composite with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is utilized to make metal working tool. These tool materials have severe wear problem as well as oxidation. Post HIP processing after sintering $Si_3N_4-TiN$ ceramic composites was performed. The tribological property of $Si_3N_4-TiN$ composite as a function of content of TiN was investigated in air, at room temperature. The hardness, fracture toughness, and flexural strength were compared with the wear volume. SEM observation of wear tracks can make an explanation of wear mode of $Si_3N_4-TiN$ composite.

  • PDF

칼슘 포스페이트계 세라믹을 이용한 N/P분할사 직물의 기능성 가공

  • 김수봉;정용식;이경주;박병기;이근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28-131
    • /
    • 2003
  • 최근 산업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쾌적한 생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와 관련하여 섬유 분야에서도 미생물에 대한 저항성이나 악취 등을 제거하는 섬유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합성 섬유의 항미생물 가공은 내세탁성이 우수하지 못하지만, 극세사의 경우 일반사에 비해 표면적이 커서 가공제의 흡착량이 많아져, 극세사 소재가 가지고 있는 고흡수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항미생물성을 갖는 나일론/폴리에스테르(N/P) 복합극세사 소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