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건물

검색결과 1,046건 처리시간 0.035초

인공신경망 변수에 따른 HVAC 에너지 소비량 예측 정확도 평가 - 송풍기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Prediction Accuracy of HVAC Fan Energy Consumption According to Artificial Neural Network Variables)

  • 김지헌;성남철;최원창;최기봉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4권11호
    • /
    • pp.73-79
    • /
    • 2018
  • In this study, for the predic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the ventilator,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the predicted results were analyzed and accurate by the change in the number of neurons and inputs. The input variables of the prediction model for the energy volume of the fan were the supply air flow rate, the exhaust air flow rate, and the output value was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fan. A predictive model has been developed to study with the Levenbarg-Marquardt algorithm through 8760 sets of one-minute resolution. Comparison of actual energy use and forecast results showed a margin of error of less than 1% in all cases and utilization time of less than 3% with very high predictability. MBE was distributed with a learning period of 1.7% to 2.95% and a service period of 2.26% to 4.48% respectively, and the distribution rate of ${\pm}10%$ indicated by ASHRAE Guidelines 14 was high.8.

초지류형별(草地類型別) 방목축(放牧畜)에 의한 목초이용(牧草利用)과 방목(放牧) 및 사회습성(社會習性) 비교(比較) (A Comparison of Herbage Use, Grazing and Social Behaviour by Livestock Grazing under Grassland Types)

  • 이인덕;명전;송우석;임동찬
    • 농업과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219-226
    • /
    • 1986
  • 평지(平地), 경사(傾斜) 및 임간초지(林間草地)의 유형(類型)이 가축(家畜)에 의한 목초이용(牧草利用)과 방목(放牧) 및 사회습성(社會習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비교검토(比較檢討)하고자 4년차(年次) 기존(旣存) 혼파초지(混播草地)에서 한우육성빈우(韓牛育成牝牛) 30두(頭)와 재래산양(在來山羊) 5두(頭)를 공시(供試)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재래산양(在來山羊)에 의한 상대섭취빈도(相對攝取頻度)는 평지초지(平地草地)가 35.2%, 경사초지(傾斜草地)가 35.0%, 임간초지(林間草地)가 29.8%이었고, 두당(頭當) 1일(日) 건물섭취량(乾物攝取量)은 평지초지(平地草地)가 462g, 경사초지(傾斜草地)가 459g, 임간초지(林間草地)가 391g이었으며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은 평지초지(平地草地)가 63.7% 경사초지(傾斜草地) 63.0% 임간초지(林間草地)가 62.1%이었다. 2. 한우(韓牛)에 의한 채식시간(採食時間)은 초지류형(草地類型)에 따라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반추시간(反芻時間)은 경사초지(傾斜草地)에서 길었고,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짧았다. 휴식시간(休息時間)은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길었고 경사초지(傾斜草地)에서 짧았다. 보행시간(步行時間)은 평지초지(平地草地)에서 길었고, 방황시간(彷徨時間)은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길었다. 반추회수(反芻回數), 식괴당저작회수(食塊當咀嚼回數) 및 배분회수(排糞回數)는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적었고, 배뇨회수(排尿回數)는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많았다. 음수인수(飮水因數) 및 음수량(飮水量)은 경사초지(傾斜草地)에서 많았고 보행거리(步行距離)는 경사초지(傾斜草地)에서 길었다. 3. 한우(韓牛)에 의한 사회적(社會的) 거리(距離)는 임간초지(林間草地)가 3.70m, 경사초지(傾斜草地)가 3.56m, 평지초지(平地草地)가 3.41m였고, 두당점유면적(頭當占有面積)은 임간초지(林間草地)가 $14.6m^2$, 평지초기(平地草地)가 $11.9m^2$, 경사초지(傾斜草地)가 $11.0m^2$이었다. 우군형성(牛群形成)은 경사초지(傾斜草地)가 3.7두(頭), 평지초지(平地草地)가 3.6두(頭), 임간초지(林間草地)가 3.4두(頭)이었다. 방목이동순위(放牧移動順位)는 복합적(複合的)인 pear-shaped grazing formation에 가까웠으나 초지유형(草地類型)에 따른 상하(上下) 방목축간(放牧畜間)의 우열관계(優劣管係)는 분명(分明)치 않았다.

  • PDF

춘파초지조성시 질소 및 가리의 분시방밥이 수량 및 식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plit Application Method of Fertilizer Nitrogen and Potassium on the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the Spring sowing Pasture)

  • 이혁호;박근제;정연규;이필상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4-130
    • /
    • 1986
  • 본(本) 시험(試驗)은 춘파초지조성시(春播草地造成時) 목초(牧草)의 정착(定着)과 수량(收量) 및 식생변화(植生變化)를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조성시(造成時)의 기비량(基肥量)을 2수준(水準)($N:P_2O_5:K_2O=80:200:70$ 및 160:200:140kg/ha), 관리시(管理時)의 질소(窒素) 및 가리(加里) 분시방법(分施方法)을 3수준(水準)(봄 다비(多肥), 균등분시(均等分時), 가을 다비(多肥))으로 하여 분할구법(分割區法) 4반복으로 포장(圃場) 배치(配置)하여 1984년 3월부터 1985년 10월까지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에서 실시(實施)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총(總)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조성시(造成時)의 기비수준(基肥水準)이나 관리시(管理時)의 분시방법간(分施方法間)에 대차(大差)없었다. 2.화본과목초(禾本科牧草)의 총(總)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조성시(造成時) N=160, $P_2O_5=200$$K_2O=140kg/ha$ 시용(施用)한 처리(處理)가 4,854kg/ha로서 보비(普肥)에 비(比)해 16% 증수(增收)되었으며 분시방법간(分施方法間)에는 별차이(別差異)가 없었다. 3. 두과목초(荳科牧草)의 총(總)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조성시(造成時) 증시(增施)한 구(區)가 보비(普肥)에 비(比)해 23% 감소(減少)되었으며 분시방법간(分施方法間)에서는 봄 다비(多肥)에 비(比)해 균등분시(均等分施)는 3%, 가을다비(多肥)는 9% 감소(減少)되었다. 4. 야초(野草)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조성시(造成時)의 기비수준(基肥水準)에는 대차(大差)없었으나 분시방법(分施方法)에서는 봄 다비(多肥)에 비(比)해 균등분시(均等分施)는 6% 감소(減少)되었고 가을 다비구(多肥區)는 11% 증가(增加)되었다. 5. 식생구성비율(植生構成比率)에 있어서 조성시(造成時)의 다비(多肥)는 보비(普肥)에 비(比)해 화본과(禾本科)는 증가(增加)되었고 두과(荳科)는 감소(減少)되었으며 분시방법(分施方法)에 있어서는 균등분시(均等分施)가 비교적(比較的) 양호(良好)하였다. 6.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볼 때 춘파초지조성시(春播草地造成時)의 목초(牧草) 정착(定着)을 위(爲)한 기비량(基肥量)은 N : 160, $P_2O_5$ : 200 및 $K_2O$ : 140kg/ha가 수량(收量) 및 식생유지면(植生維持面)에서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분시방법(分施方法)은 균등분시(均等分施)가 좋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최근(最近) 한국(韓國)의 전작지(田作地) 잡초발생(雜草發生) 분포(分布)에 관(關하)여 (Weed Occurrence in Upland Crop Fields of Korea)

  • 장영희;김창석;연규복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4-304
    • /
    • 1990
  • 우리나라 전국(全國)을 대상(對象)으로 139개군중(個郡中)은 81개군(個郡)을 선정(選定)하여 군당(郡當) 2개면(個面)에 2필지(筆地)식 전작지(田作地) 동하작물별(冬夏作物別)로 잡초발생분포상황(雜草發生分布狀況)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1. 우리나라 전작지(田作地)에서 발생(發生)되는 초종(草種)은 총(總) 46과(科) 232종(種)이었고 이 중(中) 동작지(冬作地) 39과(科) 165종(種), 하작지(夏作地) 41과(科) 189종(種)이었으며 동(冬), 하작지(夏作地)에서 중복발생(重復發生)되는 잡종(雜種)은 34과(科) 122종(種)이였다. 2. 잡초(雜草)의 형태적(形態的) 특성별(特性別) 발생초종수(發生草種數) 또는 $m^2$당(當) 건물중(乾物重)은 동(冬), 하작지(夏作地) 모두 광엽잡초(廣葉雜草), 화본과(禾本科), 사초과(莎草科) 순(順)으로 많았다. 3. 생활형태별(生活形態別) 발생초종수(發生草種數)에 있어서는 동(冬), 하작지(夏作地) 모두 1년생(年生)과 다년생(多年生) 초종발생비율(草種發生比率)이 비슷하였고 월년생잡초(越年生雜草)가 적었다. $m^2$당(當) 건물중(乾物重)에 있어서 동작지(冬作地)는 1년생(年生)이 월등(越等)히 많고 월년생(越年生) 다년생(多年生) 순(順)으로 많았으며 하작지(夏作地)는 1년생(年生) 다년생(多年生) 월년생(越年生) 순(順)으로 많았다. 4. 지역별(地域別) 잡초우점순위(雜草優占順位)를 보면 동작지(冬作地)에 있어서는 중부이북(中部以北)은 명아주, 쇠뜨기 등 밭에서 발생(發生)되는 초종(草種)이 많은 반면(反面) 중북부이남지역(中北部以南地域)은 답이작(沓裏作)에서 많이 발생(發生)되는 뚝새풀, 벼룩나물, 별꽃 등(等)이 많고 제주도(濟州道)는 능지(陵地)에서 발생(發生)되는 초종(草種)과는 크게 달랐다. 또한 하작지(夏作地)에 있어서는 전국(全國)이 바랭이, 쇠비름이 가장 우점(優占)하고 중부이북(中部以北)은 방동사니, 강아지풀이 많고 중부이남(中部以南)은 깨풀, 방동사니가 많았으며 제주(濟州)는 쥐깨풀, 한련초다 많았다. 5. 동작물(冬作物)의 전답별(田畓別) 우점순위(優占順位)에 있어서 맥류(麥類)밭에는 뚝새풀, 명아주, 별꽃, 갈퀴덩굴, 순(順)이었고, 양파밭에는 별꽃, 명아주, 뚝새풀, 망초 순(順)이며 마늘밭에 명아주, 냉이, 속속이풀 별꽃 순(順)으로 우점(優占)하였다. 답(畓)에서는 맥류(麥類), 양파, 마늘 모두 뚝새풀, 벼룩나물, 명아주, 속속이풀, 냉이 순(順)으로 우점(優占)하여 작물간(作物間)에 차이(差異)가 적었다. 6. 하작물(夏作物)의 우점순위((優占順位)에 있어서 두류(豆類), 참깨, 고추 재배지(栽培地)는 바랭이, 쇠비름, 깨품, 방동사니로서 우점순위(優占順位) 비슷하였고 옥수수는 바랭이, 피, 명아주, 쇠비름, 서류(薯類)는 쇠비름, 바랭이, 명아주, 방동사니의 순위(順位)로 우점(優占)하였다. 7. 지대별(地帶別) 발생초종수(發生草種數)는 동(冬) 하작지(夏作地) 공(共)히 평야(平野) 중산간지(中山間地) 산간지(山間地) 하천변(河川邊) 순(順)으로 초종(草種)이 많았고 $m^2$ 당건물중(當乾物重)은 동작지(冬作地)는 초종수(草種數) 발생순위(發生順位)와 비슷하나 하작지(夏作地)는 하천변(河川邊)이 많았는데 이는 개체당(個體當) 생육량(生育量)이 많았기 때문으로 본다. 8. 토성별(土性別) 발생초종수(發生草種數)는 동(冬), 하작지(夏作地) 공(共)히 양토(壤土), 사양토(砂壤土)에서 많았고 사토(砂土), 식토(埴土)에서 적었으며 $m^2$당(當) 건물중(乾物重)에 있어서는 사토(砂土), 사양토(砂壤土)에서 많고 식토(埴土)에서 적었다. 9. 배수정도별(排水程度別) 발생(發生) 초종수(草種水)는 배수(排水)가 좋을수록 초종(草種)이 다양(多樣)하게 발생(發生)하고 $m^2$당(當) 건물중(乾物重)으로 보면 배수불량(排水不良)한 곳은 아주 적었으나 그 외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10. 경운여부별(耕耘與否別) 발생초종수(發生草種數)는 무경운(無耕耘)보다는 경운(耕耘)한 곳이 월등(越等)히 많았고 $m^2$당(當) 건물중(乾物重)에 있어서는 호경운(號耕耘)한 곳이 많았는데 이는 무경운(無耕耘)으로 인(因)한 잡초발생시기(雜草發生時期)가 빨라서 개체당(個體當) 생육량(生育量)이 많은데 기인(起因)한 것으로 본다. 11. 전작물재배지(田作物栽培地)에서 발생(發生)되는 우점(優占) 10초종(草種)을 들면 동작지(冬作地)에 있어서는 뚝새풀, 명아주, 별꽃, 갈퀴덩굴, 냉이, 속속이풀 등의 초종(草種)이 전답(田畓)에서 우점잡초(優占雜草)이고 밭에는 망초, 방동사니, 쇠뜨기, 벼룩이자리가 추가(追加) 우점초(優占草)이며, 논(畓裏作)에서는 벼룩나물, 꽃바지, 마디풀이 추가우점초(追加優占草)이였다. 하작지(夏作地)에 있어서는 명아주, 방동사니를 제외(除外)하고는 동작지(冬作地) 발생초종(發生草種)과 전혀 다른 바랭이, 쇠비름 깨풀, 피, 강이지풀, 여귀, 개비름, 닭의장풀이 우점초(優占草)로서 이들 잡초(雜草)의 방제대책(防除對策)에 유의(留意)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思料) 되었다.

  • PDF

환기팬 작동방식이 월동용 양봉사내의 온.습도환경에 미치는 영향 (Control Effect of Temperature and Humidity by Ventilation Fan Operation in Wintering Honey Bee House)

  • 이석건;김란숙;이종원;이현우;최광수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9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20-23
    • /
    • 1999
  • 양봉사란 겨울철에 꿀벌의 월동에 적합하도록 환기와 온도 및 습도환경조절이 가능한 건물을 지칭하는 것이다. 양봉사를 이용하여 월동할 경우 노동력의 절감, 식량 소모량의 감소 및 월동기간 중 폐사율의 감소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양봉가의 대부분은 실외월동을 하고 있는 실정이며, 일부 상온 실내월동을 실시하고 있으나 저온양봉사를 이용한 월동은 실시된 적이 없으며, 이에 관한 연구는 전혀 수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중략)

  • PDF

노말프로판올의 자연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의 관계

  • 하동명;최용찬;한종근;김한돌;신용범;정세훈;이문선;윤준혁;류정열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54-159
    • /
    • 2003
  • 화학공장과 제조업 등의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화재 및 폭발은 설비와 건물의 파괴뿐만 아니라 사업장의 근로자와 인근 주민에 대한 인명 피해까지 초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공정 안전을 위해 화재 및 폭발 분야의 연구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방화(Fire Protection) 및 방폭(Fire Protection)에 관련되는 특성치로 MSDS의 5번째 항목인 폭발화재시대처방법(Fire-fighting Measures)에서는 폭발(연소)한계(Explosive Limit 혹은 Flammability Limit), 인화점(Flash Point), 최소발화온도(AIT: Auto-ignition Temperature)가 제시되고 있다.(중략)

  • PDF

기획시리즈 - 화단 및 지피용 수호초 재배 이용

  • 송정섭
    • 조경수
    • /
    • 통권108호
    • /
    • pp.31-33
    • /
    • 2009
  • 화단이나 정원. 공원 등 외부 생활공간의 그늘이나 반 그늘진 곳에 심는 종으로 수호초(秀好草)가 많이 쓰이고 있다. 맥문동과 함께 상록성이면서 키가 크지 않고 심어두면 생장속도가 꽤 빨라 조기에 지면을 덮어주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 전역에서 겨울에도 상록으로 월동함으로 사계절 볼거리를 주어 활용범위가 넓은 식물이다. 문헌상 한국에 자생한다고 되어있으나 아직 자생지에서 확인된 경우는 없는 듯 하며 우리나라에 심겨진 것은 대부분 일본에서 들어온 종이 아닌가 싶다. 영명이 Japanese spurge이다. 키가 작아 분화용으로 가능할 것으로 보이지만 반덩굴성으로 옆으로 깔리며 자라기 때문에 나무 밑이나 건물 그늘진 곳의 화단용으로 적합하다. 요즘 점차 수요가 늘고 있는 옥상정원용으로 우수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연구용 원자로 1, 2호의 폐로 계획

  • 서두환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937-941
    • /
    • 1995
  • 한국원자력연구소는, 지금까지 연구로 1호(250 ㎾)는 33년째, 연구로 2호(2 ㎿)는 23년째 운전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로는 노후하였고, 새로운 연구로 하나로(30 ㎿)가 금년 4월에 준공하였으며, 현재의 연구로 1, 2호가 있는 부지와 건물은 한국전력공사의 소유물이라는 이유로, 금년 말까지 연구로 1, 2호는 폐로할 계획으로 있다 이 논문에는 연구로 1,2호기에 대한 1)폐로 계획의 배경, 2)연구로의 이력, 3)폐로 계획 등을 기술하고 있다.

  • PDF

熱流體工學과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應용

  • 정명균;김경천
    • 기계저널
    • /
    • 제22권4호
    • /
    • pp.281-288
    • /
    • 1982
  • 제품의 고급화, 정밀화, 생산성의 행상, 그리고 원가절감이 요구되는 요즈음 컴퓨터를 이용한 온라인 계측, 데이타처리 그리고 제어가 기계공학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점점 더 크게 인식되고 있다. 더욱 동력비와 연료비가 계속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건물에너지시스템, 화학공정시스템과 기타 에너지사용시스템의 온라인 모니터링(on-line moritiring)과 최적제어(에너지 사용비절감)을 위한)가 어느 때 보다도 중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본 해설을 통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의 중요성과 일반적 방법을 잠시 생각해 보고자 한다.

  • PDF

제2 연구단지건설 구상과 그 의의

  • 경종철
    • 과학과기술
    • /
    • 제6권7호통권50호
    • /
    • pp.7-10
    • /
    • 1973
  • (1)제2연구단지건설배경 1.연구단지(연구학원도시)의 개념 2.제2연구단지건설의 필요성 3.제1연구단지의 선험 4.우리나라 연구단지의 앞으로의 전망 가.수원농업기술 개발 단지 나.홍릉 제1연구단지 다.제2연구단지 5.외국의 사례 (2)제2연구단지건설계획의 경위 (3)제2연구단지건설계획(시안) 1.계획의 기조 2.이전대상기관(1차계획) 3.단지의 구성 4.건물배치 및 설계방향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