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表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2초

정적(靜的) 못 박기에 의(依)한 침엽수재(針葉樹材)의 할열(割裂) (Study on the check by static driving nail in softwood)

  • 심상노;김수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15-20
    • /
    • 1976
  • 우리나라의 경제적(經濟的) 수종(樹種)이며 주요(主要)한 조림수종(造林樹種)인 잣나무재(材), 젓나무재(材) 및 낙엽송재(材)에 대(對)하여 정적(靜的) 못박기 방법(方法)에 의(依)한 함수율(含水率)과 저항(抵抗)과의 관계(關係), 함수율(含水率)과 표리면할열(表裏面割裂) 길이와의 관계(關係), 함수율(含水率)과 표(表), 이면(裏面) 할열폭(割裂幅)과의 관계(關係)와 못박기 속도(速度)와 할열(割裂)길이와의 관계(關係), 못박기 속도(速度)와 할열폭(割裂幅)과의 관계(關係)를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함수율(含水率)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정적(靜的)박기 저항(抵抗)은 감소(減少)되고 특(特)히 낙엽송재(材)는 타수종(他樹種)에 비(比)하여 현저하게 저항(抵抗)이 감소(減少)한다.(Fig. 1~3) 2) 함수율(含水率)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표리면할열(表裏面割裂) 길이와 폭(幅)이 감소(減少)한다.(Fig.4~5) 3) 표면할열(表面割裂)길이와 폭(幅)보다 이면할열(裏面割裂) 길이와 폭(幅)이 배(倍) 이상(以上) 크다.(Fig.5~6) 4) 수종별(樹種別)로는 낙엽송재(材)가 현저하게 할열(割裂)이 컸고, 젓나무재(材), 잣나무재(材) 순(順)으로 할열(割裂)이 작게 일어난다.(Fig.7~8) 5) 속도(速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표면할열(表面割裂) 길이와 폭(幅)은 약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고 있다.(Fig.8~9) 6) 못박기 속도(速度)에서도 함수율(含水率)과 마찬가지로 이면할열(裏面割裂)이 표면할열(表面割裂) 보다 배(倍) 이상(以上) 컸다.(Fig.10~11)

  • PDF

고위(高位) 및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에서의 철(鐵)의 함량(含量)에 관(關)하여 (The Iron Content of High and Low Productive Paddy Soil)

  • 오왕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권
    • /
    • pp.12-20
    • /
    • 1960
  • 고위생산답(高位生産畓) 22개(個)와 매년(每年) 호마엽고병(胡麻葉枯病)을 발생(發生)시키는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 18개토양(個土壤)을 분석(分析)하고 활성철(活性鐵)과 열염산(熱鹽酸)에 녹는 철(鐵)의 분포상태(分布狀態)를 조사(調査)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작토중(作土中)의 활성철(活性鐵)의 함량(含量)과 청취(聽取)한 정조수량간(正粗收量間)에는 밀접(密接)한 정상관(正相關) (${\gamma}=0.68$, 고등(高等)의 유의성(有意性)이 있음)이 있다. 2. 고위생산답(高位生産畓) 토양(土壤)의 활성철(活性鐵) 및 열염산가용철(熱鹽酸可溶鐵)은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 토양(土壤)에서의 그것보다 현저(顯著)히 많았으며 각(各) 토양별(土壤別) I 층(層)의 그 평균함량(平均含量)과 열염산가용철(熱鹽酸可溶鐵)에 대(對)한 활성철(活性鐵)의 비율(比率)은 아래와 같다. 고위생산답(高位生産畓) 조사점수(調査點數) 활성철(活性鐵)% 활성철(活性鐵)/염산가용철(鹽酸可溶鐵) 잔적토(殘積土) 6 1.313 0.374 하성토(河成土) 9 1.334 0.335 해성토(海成土) 5 1.120 0.382 평균(平均) 20 1.224 0.359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 조사점수(調査點數) 활성철(活性鐵)% 활성철(活性鐵)/염산가용철(鹽酸可溶鐵) 잔적토(殘積土) 5 1.15 0.370 하성토(河成土) 8 0.472 0.191 해성토(海成土) 5 1.068 0.362 평균(平均) 18 0.808 0.288 그러나 표(表)에서와 같이 잔적토(殘積土)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 각층(各層)의 철(鐵)은 고위생산답(高位生産畓)에서 보다 낮지 않았다. 3. 해수(海水)의 영향(影響)을 받지 않은 고위생산답(高位生産畓)에서는 표층토(表層土)의 세탈(洗脫)이 적었으나 동(同)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 및 해성토(海成土)에서는 그 세탈(洗脫)이 크고 동세탈물(同洗脫物)은 심층(心層)에 집적(集積)되여 있다. 4. 해성토(海成土)에서는 고위생산답(高位生産畓)이나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을 막론(莫論)하고 집적층직하(集積層直下)에 활성철량(活性鐵量)이 심(甚)히 적은 층(層)이 있다. 그리고 집적층(集積層)은 고위생산답(高位生産畓)에서는 II-III층(層)(지표면(地表面)으로부터 60cm이내(以內))에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에서는 I-II층(層)(지표면(地表面)으로부터 대개(大槪) 30cm이내(以內))에 위치(位置)한다. 5. 같은 고위생산답(高位生産畓) 및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에서는 토성간(土性間)의 활성철함량(活性鐵含量)에 큰 차이(差異)가 없다. 6. 내산씨(內山氏)의 4개(個)기본(基本)토양형별(土壤型別)로는 동일(同一)토양형((土壤型)이라도 고위(高位) 저위생산답별(低位生産畓別)로 활성철(活性鐵)의 함량(含量)에는 차이(差異)가 크다.

  • PDF

충남지방(忠南地方)의 강우특성(降雨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I) 대전지역(大田地域)의 단시간(短時間) 확률강우강도(確率降雨强度) (Studies on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in Chungnam Region(I) Probable Rainfall Intensity in Short Duration in Daejeon Area)

  • 안병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82-89
    • /
    • 1981
  • 대전지역(大田地域)에 있어서 재현기간별(再現期間別)에 따른 단시간(短時間) (2시간이내(時間以內)) 강우강도특성(降雨强度特性)을 분석고찰(分析考察)하여, 확률(確率) 강우강도(降雨强度)의 최적식(最適式)을 유도(誘導)해 내므로서 소구역(小區域)의 배수공(排水工)과 도시하수도(都市下水道) 및 하천(河川)의 치수(治水) 이수(利水) 공사(工事)를 위한 신빙성(信憑性) 있는 유출량산정(流出量算定)에 기여코저 본연구(本硏究)를 시도(試圖)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단시간(短時間)의 확률강우강도계산(確率降雨强度計算)은 재현기간별(再現期間別)로 거의 평균치(平均値)가 되는 Gumbel-Chow법(法)에 의(依)한 계산치(計算値)를 대표치(代表値)로 채택(採擇)하였다. 2. 강우강도식형별(降雨强度式型別)로 적합도(適合度)를 검정(檢定)하였던바 각(各) 재현기간별(再現期間別) 공(共)히 Japanese type(석흑(石黑)의 엄밀법(嚴密法))인 $I={\frac{a}{\sqrt{t}+b}}$(Table-6 참조)가 최적식(最適式)으로 나타났다. 또한 박교수(朴敎授)가 발표(發表)한 $I=({\frac{R_{24}}{24}})({\frac{T}{t}})^{0.5486}$은 신빙성(信憑性)이 매우 높았으나 반대(反對)로 사용(使用)하고 있는 물부(物部)의 강우강도식(降雨强度式)에서 $n={\frac{2}{3}}$를 사용(使用)함은 매우 불합리(不合理)함을 확인(確認)하였다. (표(表)-7 참조) 3. 2항(項)의 확률강우강도식(確率强雨强度式) 정립(定立)으로 대전지역(大田地域)에 있어서 단시간(短時間) 강우강도(降雨强度)로 합리식(合理式)에 의(依)한 보다 신빙성(信憑性)있는 유출량(流出量) 산정(算定)을 기대(期待)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조경녹화사방(造景綠化砂防)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andscape Conservation Measures of the Radial Roadsides in Seoul Area)

  • 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7-96
    • /
    • 1975
  • 수도권(首都圈)을 중심(中心)으로 한 주요(主要) 간선도로(幹線道路)(8개노선(個路線))의 비탈면 안정녹화시공지(安定綠化施工地)에 대(對)하여 기초공사(基礎工事) 및 녹화공사(綠化工事)의 실태(實態)와 시공법(施工法) 등(等)을 조사(調査) 측정(測定) 분석(分析)하여, 비탈면 조경녹화사방공법(造景綠化砂防工法)의 기술개발(技術開發) 및 정용공법(適用工法) 기준설정(基準設定)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저 본(本) 연구(硏究)가 수해(遂行)되었으며, 그 결과(結果)는 대체(大體)로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비탈면의 주요(主要) 특성(特性) : 8개노선상(個路線上)에서 총(總) 100개소(個所)의 시공(施工)비탈면에서 특수(特殊)한 처리(處理)가 요망(要望)되는 비탈면은 초장대(超長大) 비탈면 23%, 용수(湧水)비탈면 29%, 암석(岩石) 및 사력질(砂礫質) 96%로 분석(分析)되었다. 2. 기초공사(基礎工事)의 적합성(適合性) : 기초공사(基礎工事)가 부적절(不適切)하다고 분석(分析)된 공법별(工法別) 비탈면수는 비탈다듬기공사(工事)에서 42%, 단끊기공사(工事)에서 41%. 소단공사(小段工事)에서 40%로 이들 비탈면에 대(對)해서는 보수(補修) 또는 재시공(再施工)이 요구(要求)된다. 3. 배수시설(排水施設)의 적합성(適合性) : 돌림수로공사(工事)가 잘 된 개소(個所)가 41%. 불충분(不充分) 또는 요보수개소(要補修個所)가 48%, 시공(施工)되지 않은 개소(個所)가 11% 이었으며, 또 표면배수로시공(表面排水路施工)이 불충분(不充分)한 개소(個所)도 50% 로서 일반적(一般的)으로 배수로시공(排水路施工)에 소홀하였다. 4. 조경녹화사방공법(造景綠化砂防工法) : 식생공법(植生工法)에 의한 처리개소(處理個所) 31%에 비하여 인공재(人工材)에 의한 개소(個所)는 69% 이었다. 식생공법(植生工法)에 의한 주요(主要) 공종(工種)은 선떼붙이기 및 떼단쌓기, 인공재(人工材)에 의(依)한 주요(主要) 공종(工種)은 힘줄박기, 격자틀 붙이기, 블럭쌓기, 시멘트모르타르뿜어붙이기 등(等)이었다. 5. 사방시설물관리(砂防施設物管理) : 요보수개소(要補修個所) 48%, 요재시공개수(要再施工個所) 9%이었다. 시공(施工)비탈면에서 누강침식개소(淚溝浸蝕個所) 13%, 비탈면붕괴개소(崩壞個所) 10%이었으며 비탈면 녹화율(綠化率)이 50% 이하(以下) 개소(個所)가 29%나 되었다. 6. 경관(京觀) 효과(効果) : 비탈면 전체(全體)의 경관효과(京觀効果)에 있어서 우수개소(優秀個所) 19%, 보통(普通)인 개소(個所) 37%, 그리고 불량(不良)한 개소(個所)가 44%로 분석(分析)되었다. 7. 조경녹화사방공법(造景綠化砂防工法)의 시공(施工) 대상(對象)비탈면의 특성(特性)에 따른 분류((分類)를 하고, 또한 공법(工法)과 공종(工種) 분류(分類)가 이루어졌다(표(表)10, 11). 8. 비탈면안정녹화공법(安定綠化工法)의 경관적(景觀的) 처리(處理)에 관(關)한 시공기술문제(施工技術問題)가 검토(檢討)되었으며, 또 적용공법기준설정(適用工法基準設定)을 위(爲)한 기초요인분석(基礎要因分析)이 이루어 졌다.

  • PDF

지위별(地位別) 왕죽(王竹) 및 맹종죽(孟宗竹)에 있어서 생장인자(生長因子)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 대(對)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Growth Factors in Phyllostachys Reticulata Kock and Phyllostachys Edulis Riv by Each site)

  • 김장수;정영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16
    • /
    • 1968
  • 왕죽(王竹) 및 맹종죽(孟宗竹)을 지위(地位) 상등지(上等地), 중등지(中等地), 하등지(下等地)에 따라서 생장인자(生長因子) 즉(卽) 죽고(竹高), 지하고(枝下高), 죽관장(竹冠長), 흉고주위(胸高周圍), 근경부주위(根莖部周圍)를 각각(各各) 측정(測定)하여 제(第)8표(表)를 작정(作定)하였다. 본표(本表)에 의거(依據)하여 맹종죽(孟宗竹)에서는 어느 정도(程度)의 등차(等差)를 그리고 왕죽(王竹)에서는 하등지(下等地)의 생장인자(生長因子) 특(特)히 근소(僅少)한 구티(數値)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상관표(相關表)를 작성(作成)하여 이에 의거(依據)한 상관계수(相關係數)를 산출(算出)하였다. 이때에 사용(使用)한 공식(公式)은 ${\mu}=\frac{{\Sigma}xy}{\sqrt{{\Sigma}X^2y^2}}$ 또 She.ppard 식(式)으로 추정(推正)할때 적욕(適用)한 공식(公式)은 ${\mu}=\frac{{\Sigma}xy}{\sqrt{({\Sigma}X^2-\frac{m}{12})({\Sigma}y^2-\frac{n}{12})}}$ 평균오차(平均誤差)의 공식(公式)은 $e=0.6745\frac{1-{\mu}^2}{\sqrt{n}}$ 상관계수(相關係數)에 따라 신뢰도(信賴度)를 좌우(左右)하는데 ${\mu}$ >0.5일때에는 상관계수(相關係數)가 있고 ${\mu}$ <0.3일때에는 상관계수(相關係數)가 없다고 하여 맹종죽(孟宗竹)에 있어서 죽고(竹高)와 흉고주위(胸高周圍) 죽고(竹高)와 근경부주위(根莖部周圍)와의 상관계수(相關係數)는 높으며 죽고(竹高)와 지하고(枝下高)와의 상관율(相關率)은 0.49로서 약(弱)한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성립(成立)되고 있다. 또한 왕중(王竹)에 있어서는 죽고(竹高)와 흉고주위죽고(胸高周圍竹高)와 근경부주위(根莖部周圍) 그리고 죽고(竹高)와 지하고(枝下高)의 상관계수(相關係數)가 0.45, 0.46, 0.48로서 높은 유의성(有意性)은 아니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성립(成立)된다고 하겠다. 일반적(一般的)으로 지위조정(地位組定)에 있어서는 Daher 씨(氏)의 수고생장(樹高生長)을 이용(利用)하고 있으나 상술(上述)된 상관관계(相關關係)를 통(通)하여 생장인자(生長因子)인 죽고(竹高) 흉고주위(胸高周圍) 근경부주위(根莖部周圍) 및 지하고중(枝下高中) 어느 한가지만을 특정(測定)하여도 지위(地位)를 결정(決定)할수 있다는 것이 본연구(本硏究)를 통(通)하여 입증(立證)되고 있다.

  • PDF

동력분무기용(動力噴霧機用) 삼분두(三噴頭)의 살포도(撒布度) 개선(改善)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stribution Pattern in the Triple Nozzle System)

  • 홍성화;이상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284-294
    • /
    • 1984
  • 동력분무기용(動力噴霧機用) 3분두(噴頭) 분공(噴孔)의 크기, 살포각도(撒布角度) 및 와실(渦室)의 간격을 변화(變化)시키면서 최대(最大) 분무유효거리(噴霧有效距離)의 구명(究明)과 살포도(撒布度)의 개선(改善)을 위(爲)한 분두배열(噴頭配列) 방법(方法)의 분석결과(分析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분공(噴孔) 직경(直徑)이 커짐에 따라 분무량(噴霧量)은 증가(增加)하였고 1번구(番口)는 2차(次) 곡선(曲線)으로 II번구(番口), III번구(番口)는 1차(次) 함수관계(關係)를 나타냈다. 2. 최대(最大) 유효거리(有效距離)는 살포각도(撒布角度)가 $15^{\circ}$일때 최대(最大) 값을 나타냈고 분공(噴孔)의 크기가 3.0mm일때 약17m, 2.5mm 및 2.0mm 일때 각각 약 14m, 약 13m로 나타났다. 3. 살포도(撒布度)의 균등개선(均等改善)을 위(爲)한 분두배열(噴頭配列)(表 6참조(參照))은 I번구(番口)의 분공(噴孔)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균등계수(均等係數)는 약 6%정도(程度) 개선(改善)시킬 수 있었다. 4. 살포거리(撒布距離) 6m의 최저(最低) 살포량(撒布量)을 II번구(番口)의 와실(渦室) 간격 조절(調節)로서 개선(改善)시킬 수 있었다.

  • PDF

Homès 방법(方法)에 의(依)한 다량요소(多量要素)의 적정시용(適正施用) 비율(比率) 결정(決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초지(草地) 토양별(土壤別) 음(陰)이온 N : S : P 적정시용(適正施用) 비율(比率) (The Optimal Combination of Major Nutrients Computed by The Homès Systematic Variation Technique I.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Combination of Anions N: S: P in Fertilization on the Various Grassland Soils)

  • 정연규;윤상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1-36
    • /
    • 1981
  • 초지개발(草地開發)이 유망시(有望視)되는 전국각지(全國各地)의 미개간(未開墾) 산지(山地)의 표토토양(表土土壤)을 채취(採取)하여 $Hom{\grave{e}}s$의 Systematic Variation방법(方法)에 의(依)한 다량요소(多量要素) Anions N: S: P 적정시용비율(適正施用比率) 결정(決定)을 위(爲)한 pot시험(試驗)을 에서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1. 안양등(安養等) 6개(個) 지역(地域)의 토양(土壤)에 대(對)한 혼파목초재배시(混播牧草栽培時) 각(各) 토양(土壤) 및 초종별(草種別) 다수확(多收穫)을 위(爲)한 당량비 기준(基準) N: S: P적정시용비율(適正施用比率)이 계산(計算)되었다(표(表)5). 2. 혼파목초(混播牧草)에서 화목과목초(禾木科牧草)의 수량증수(收量增收)는 각토양(各土壤)이 C.E.C, OM, T-N, Avl $P_2O_5$ 특성(特性)들과 정상관관계(正相關關系)가 있고 무기(無機)Cation 함량(含量), 염기포화도 및 pH와의 관계(關係)는 뚜렷하지 않았다. 3. 각토양중(各土壤中) Ca, Mg함량(含量)과 정상관(正相關)을 보인 두과목초(荳科牧草)의 수량증가(收量增加)는 혼파목초(混播牧草) 총수량증가(總收量增加)의 요인(要因)이 되었다. 4. 두과목초(荳科牧草)의 수량증수(收量增收)를 위(爲)하여 제주(濟州)의 화산회토(火山灰土)에서 S, 대구(大邱)의 수성암(水成岩) 암쇄토(岩碎土)에서 P시비비율(施肥比率)이 높게 나온것은 초지조성(草地造成) 및 비배관리(肥培管理)에 유의(留意)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삼나무 인공조림(人工造林) 임분(林分)의 식생(植生)에 관한 연구(研究) (The Study of Forest Vegetation in Cryptomeria japonica D. Don Plantations)

  • 이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42-50
    • /
    • 1985
  • 한국남부지역(韓國南部地域)에서 조림(造林)되고 있는 삼나무의 조림적지(造林適地)의 판정(判定) 및 시업방법(施業方法)의 개선(改善)에 필요(必要)한 기초(基礎)를 얻고자 삼나무 임분(林分)의 식생(植生)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조사지역(調査地域) 및 임분(林分)의 환경조건(環境條件)은 일본추전현지역(日本秋田縣地域)에 비교(比較)하면 21~25년생(年生) 임분(林分)은 동등(同等)하였으나 51~58년생(年生) 임분(林分)은 불량(不良)한 생육상태(生育狀態)이었다. 2) 총출현종수(總出現種數)는 256종(種)이었고, 조성종수(組成種數)는 42~99종(種)으로 일본(日本)에서 보다 많은 편(便)이나 상한수(上限數)는 같았다. 3) 온대남부(温帶南部) 및 난대북부림대(暖帶北部林帶)에 속(屬)하며 표(表) 4 와 같이 I~IV 급(級)의 임상형(林床型)으로 구분(區分)하였다. 4) 최대종다양도(最大種多樣度)(H' max)와 우점도(優占度)(1-J')는 높았고 Simpson 종다양도(種多樣度)(${\lambda}$)와 균재도(均在度)(J')는 낮은 비교적(比較的) 균일(均一)한 식생(植生)이었다. 5) 유사율(類似率)(PS)은 평균(平均) 3.904 이하(以下)로 낮은 유사성(類似性) 즉 지구간(地區間)에는 특이성(特異性)이 있다. 6) Morista's 지표(指標)($I_M$)에 의(依)하면 8번 구(區)는 일반화(一般化)되어 있고 12번 구(區)는 특성화(特性化)되어 있다. 7) Sneath-Sokal의 근원계수(近遠係數)(I)에 의(依)하면 0.15 이하(以下)의 낮은 비유사계수(非類似係數) 즉 각구간(各區間)의 유사성(類似性)이 매우 높았다.

  • PDF

송백류삽수(松柏類揷穗)의 발근(發根)에 관(關)한 연구(硏究) (On the rooting of the cuttings of two conifer species)

  • 임경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2-21
    • /
    • 1962
  • 리기다소나무와 젓나무의 야외삽목(野外揷木)이 수원농과대학(水原農科大學) 임업묘포(林業苗圃)에서 1956년(年) 실시(實施)되었는데 다음과 같은 사실(事實)이 확인(確認)되었다.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에 있어서는 총 1335본의 삽수가 3년생 및 10년생의 모수에서 얻어지고 표(表)에서 보이는바와 같은 처리(處理)를 받고 3월(月) 13일(日) 및 4월(月) 20일에 삽목(揷木)되었다. 이에 있어서는 (1) 유령목(幼齡木)일수록 발근(發根)이 높다는것과 50ppm의 IBA 또는 NAA가 가장 좋은 결과(34 per cent)를 보여주었다. (2) lammas shoot에서는 전연 발근이 되지 않았다. (3) 삽목시기(揷木時期)가 또한 발근율(發根率)에 영향을 주었다. (4) 발근기원(發根起元)은 삽수(揷穗)의 하단부위(下端部位) 또는 절구(切口)에 생긴 Callus 부터였다. 젓나무(Abies holophylla)에 있어서는 30년생의 모수에서 삽수(揷穗)가 채취(採取)되었고 3월(月) 23일(日)에 삽목(揷木)되었다. 이에 있어서는 (1) 수관(樹冠)의 상반부(上半部)에서 채취(採取)된 삽수는 전연 발근(發根)하지 않았다. (2) 수관(樹冠)의 하반부(下半部)에서 얻어진 삽수(揷穗)에 있어서는 20ppm IAA, 20ppm IBA, 2)ppm NAA, 20ppm thiamine 및 5 percent sucrose의 혼함용액이 가장 좋은 발근율(發根率)(22 per cent)를 보여주었다. (3) 모든 발근(發根)은 불규칙(不規則)한 parenchymatous 조직(組織)에서 유래했었다.

관계습도(關係濕度)와 목재(木材)의 평형함수량(平衡含水量)과의 관계(關係)에 대(對)한 연구(硏究)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 Relative Humidity Relationship of Tropical Woods)

  • 심종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4-12
    • /
    • 1982
  • 1. 이 실험은 미국 Dept. of Navy의 위촉(委囑)을 받아 School of Forestry, Yale University에서 실시중인 열대산(熱帶産) 재목(材木)이 물리적(物理的)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 연구계획(硏究計劃)의 일부(一部)로써 동대학(同大學) 목재공예연구실(木材工藝硏究室)에서 실시(實施)하였다. 2. 이 실험은 연구소에 장치(裝置)된 적은 실험설비를 이용(利用)하여 일정(一定)한 관계습도(關係濕度)(21%, 53%, 61% 그리고 83%등(等))를 조절하면서 各 관계습도(關係濕度) 밑에서 각(各) 시험편을 가질 수 있는 평형합수량(平衝含水量) equilibrium moisture content와 hysteresis loop 즉 relative humidity moisture content curve을 결정(決定)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3. 이 실험을 통(通)하여 목적(目的)한 바 열대재(즉(卽) Ocotea, Tabebuia 그리고 Hymenaea)의 관계 습도에 따라 equilibrium moisture content와 이때에 일어나는 hysteresis loop를 알게 되었으며 각(各) 수종의 관계습도에 따른 equilibrium moisture content는 Table 4과 같으며 hysteresis loop 관계(關係)는 Fig. 2.3.4와 같다. 4. 이 실험을 통(通)하여서도 과거(過去) 모는 실험결과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각(各) 수종에 따라 같은 관계습도에서 가질 수 있는 equilibrium moisture content에 상당(相當)한 차이(差異)를 볼 수 있었으며 그 차이(差異)는 관계습도가 높을수록 큰 경향(傾向)을 띠우고 따라서 hysteresis loop의 shape 에도 각기(各其) 그 고유(固有)한 특징(特徵)을 볼 수 있다. 5. 대기중(大氣中)에 있는 큰 재목(材木)이 가질 수 있는 평형함수량(乎衝含水量)(E M C) 은 Table 6와 같으며 이것 역시(亦是) 적은 시험편(試驗片)으로 시험(試驗)하여 얻은 결과(結果)와 같이 나무 종류(種類)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고 그 차이(差異)는 관계습도(關係濕度)가 높으면 높을수록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6. 재목(材木)의 생산지(生産地)가 다르면 즉 남방(南方) 열대지역(熱帶地方)에서 생산(生産)하는 것과 온대지방(溫帶地方)에서 생산(生産)되는 나무사이에는 나무 종류(種類)가 달라서 직접(直接) 비교(比較)는 안되나 나무 종류별(種類別)로 보면 역시(亦是) 이와같은 목재(木材)의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에 확실(確實)히 차이(差異)가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참조(參照) Table 5) 7. 이 실험결과를 발표(發表)함에 있어 친(親)히 충고(忠告) 지도(指導)하여 주신 Wangaard와 Dickinson 양(兩) 교수님과 재과(材科) 주선(周旋)에 수고(受苦)를 아끼지 않고 전심(全心) 도와 주신 Mr. R. C. Claneh 씨(氏)등에게 충심(衷心)으로 감사(感謝)의 뜻을 표(表)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