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甲午年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행사 - 2014년 인쇄인 신년 인사회 성료

  • Jo, Gap-Jun
    • 프린팅코리아
    • /
    • v.13 no.2
    • /
    • pp.46-49
    • /
    • 2014
  • 2014년 갑오년을 맞아 인쇄인의 화합과 발전을 도모하는 2014년 인쇄인 신년인사회가 대한인쇄문화협회와 대한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연합회, 서울특별시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등 인쇄 3단체 공동 주최로 지난 1월 8일 오후 5시 인쇄정보센터 7층 강당에서 개최됐다.

  • PDF

A Study o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Age of Enlightenment (개화기 초등수학교육 재음미)

  • Cho, Youngmi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1 no.2
    • /
    • pp.161-181
    • /
    • 2018
  • This paper summarized the change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that took place at the national level during the Enlightenment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period from 1876 to 1910. For this purpose, we divided the enlightenment period into three periods and examined major change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t each period. The necessity of arithmetic education began to be recognized before the reform of the Taoist reform, and arithmetic education became a national curriculum in the beginning of the Taoist reform period. Particularly, during the reforming period of the Gap,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of mixed Korean and Chinese were published. In the period when the intervent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began, the arithmetic education has been reduced or weakened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 policy of 'simple' and 'use'. It is also remarkable that an arithmetic book for elementary teachers was published at this time.

고종 원년(甲子)부터 해방 이전 역서(曆書)연구

  • Choe, Go-Eun;Kim, Dong-Bin;Lee, Yong-Sam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31.2-31.2
    • /
    • 2009
  • 고종 원년(甲子) 1864년부터 1945년까지 발행된 한국의 역서(曆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시기에는 갑오개혁, 태양력 시행, 일제 강점기 등의 역사적 사건으로 인하여 천문현상 자료와 시각법(時刻法), 편찬 기관과 직제 등 역서의 내용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1864년부터 1908년까지의 역서의 시각 자료는 96각법으로 표기하였고 1909년부터는 현행 시각과 동일한 방식으로 표기하였다. 1913년부터 역서의 속표지에는 역서에 사용한 시각의 기준에 대한 설명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역서의 내용과 함께 역서를 편찬한 기관과 직제에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특히 1894년 갑오개혁이후로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일출입(日出入) 시각은 시기에 따라 발표일 간격이 달라졌으며 후반에는 여러 지역의 자료를 수록하였다. 그 밖에 역서에 수록된 각종 일력(日曆) 자료의 분석을 통해 그 정확도를 살펴보았으며, 일월식(日月食)과 행성 현상에 관한 자료 등을 현대 방법으로 계산하여 검토하였다. 아울러 역서의 보급과 활용에 관한 사항도 함께 살펴보았다.

  • PDF

역사속 과학인물 - 최초의 한글 전신부호 고안 '김학우(1862~1894년)

  • Park, Seong-Rae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1 s.356
    • /
    • pp.32-34
    • /
    • 1999
  • 구한 말의 김학우는 최초의 한글 전신부호를 고안한 발명가로 고종의 총애를 받았다. 1862년 함경도에서 태어난 그는 갑오경장의 소용돌이 속에서 32세로 암살을 당했다. 러시아어, 중국어, 일어 등에 능통했던 그는 미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등 해외를 왕래하면서 전신기술을 배우고 돌아와 한글 자모의 모르스 전신부호를 만들어 1885년 10월 3일 최초로 서울과 인천 사이의 전신을 개통시킨 산파역이다.

  • PDF

he Method of Utilization on the Civil Litigation of Pre-Colonial Korea, 1894-1905 : With Special Reference to Hanseong Court (갑오·대한제국기(1895~1905년) 민사재판 판결문 활용방안 연구 한성재판소를 중심으로)

  • Hwang, Oi-jung;Lee, Young-Hak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43
    • /
    • pp.103-145
    • /
    • 2015
  •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 and management of Korean civil litigation between 1895 and 1905, during which the traditional korean legal system had undergone a significant reform until it was finally incorporated into the Japanese colonial counterpart. Civil litigation is important in historical archiving, in that we can understand archiving over time, the governing structure and our national identity. However at times we are not able to use them practically. The ultimate goal of preserving and maintaining the archives is to use them practically. The effective use of archives should be supported by their systematic management and access to a high standard. Therefore, the second main them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o unveil civil litigation to the public for professional studies. Firstly, we should make a list of civil judgments from a management perspective. Secondly, we should inform people of the civil justice rulings through publicity activities such as contents creation, exhibition, documentary creation, education and so on. Thirdly, the historical archives of the civil litigations should be preserved apart form records. Fourthly, I should propose that we offer curriculum about interpreting and understanding history archives for strengthening of our expertise. Civil judgment of Guhanmal-Japanese is invaluable as it explains the history of our culture. Results of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will be a valuable resource and invaluable to study.

한국과 일본의 1885년부터 1945년까지의 역서(曆書) 비교

  • Choe, Go-Eun;Lee, Gi-Won;An, Yeong-Suk;Lee, Yong-Sa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26-26
    • /
    • 2011
  • 일본에서 발행한 1885년부터 1945년까지의 역서를 같은 기간 동안 한국에서 발행한 역서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 무렵 한국에서는 갑오개혁(1894), 태양력 시행(1896), 일제 강점기(1910-1945) 등의 많은 역사적 사건들로 인하여 역서 발간 업무를 담당하던 기관과 역서의 내용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변화가 있었다. 반면 일본에서는 메이지유신(1868) 이후인 1873년부터 태양력을 시행하였으며, 1888년에는 동경제국대학 부속 동경천문대가 설립되어 1890년부터 역서 자료를 편찬했었다. 특히 비교 기간 동안 일본에서는 '본력(本曆)'과 본력의 중요한 내용만을 수록한 '약본력(略本曆)'이라는 두 종류의 역서가 발행되었으며, 이 연구에서는 약본력을 주로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가지고 한국과 일본에서의 역서 발행 기관, 표준자오선의 변경, 일력계산의 기준위치 등에 대한 비교 연구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몇몇 연도에 대해서는 두 나라 역서에 게재된 일력자료를 상호 비교 하였고, 특히 합삭시각에 대해서는 현대 계산 결과와도 비교하였다.

  • PDF

New Form of Joseon Calendar with One Sheet

  • Bahk, Uhn Mee;Mihn, Byeong-Hee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4 no.2
    • /
    • pp.62.1-62.1
    • /
    • 2019
  • 우리는 한 장으로 된 조선 후기 달력을 발견하였다. '성상 31년(즉 고종 31년, 1894)-광서 20년'의 제목을 가지고 있는 이 달력은 1년간 역일의 내용을 방안 형태의 표에 작성하고 있어 '고종 31년(1894) 연력장' 이라고 부를 수 있다. 조선은 태음태양력인 대통력과 시헌력을 왕실의 행정기관에서 발간하였다. 이러한 책력은 2년 전에 월력장을 제작하여 진상하는 사례가 있었지만, 연력장처럼 한 해의 역일이 모두 있는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조선은 책력을 사적으로 편찬하는 것을 엄금하였기 때문에, 관상감서인(署印)이 없는 연력장이 유통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는 상황이었다. 우리는 고종 31년(1894) 연력장을 '대청광서이십년세차갑오시헌서(大淸光緖二十年歲次甲午時憲書, 1894)'와 비교하였다. 연력장의 역일은 12 x 12의 방안에 기록되어 있고 역일 영역의 상부, 좌부, 우부에 역주 관련 요소가 기록되어 있다. 연력장의 역일 중 특정일을 표시할 때는 역일의 숫자 대신 특정일을 상징어로 표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일진, 망, 24기, 잡절(한식, 삼복(三伏), 이사(二社), 토왕용사, 납일) 등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정일 및 역주 관련 요소가 1894년 시헌서와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특기할 사항은 역일 영역 상부에 고종과 그 가족의 탄일(誕日)이, 역일 부분에 국기일(國忌日)이 기록되어 있다. 왕실의 국기일 및 탄일은 1896년 이후에 발간된 책력부터 기록된 점과 비교될 수 있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우리는 고종 31년(1894) 연력장이 민간보다는 왕실 혹은 지방 관아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 PDF

Historical Observ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한국 기록관리의 사적 고찰과 그 특징)

  • Lee, Young-Hak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34
    • /
    • pp.221-250
    • /
    • 2012
  • This paper introduc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of Korea from Joseon dynasty to now. This paper also explains historical background of making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 Joseon dynasty. This paper introduces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modern records management system by adopting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public administration of USA after liberation in 1945. The Joseon bureaucrats established systematic methodologies for managing and arranging the records. Jeseon dynasty managed its records systematically since it was a bureaucratic regime. It is also noticeable that the famous Joseonwangjosilrok(Annals of Joseon dynasty) came out of the power struggles for the control of the national affairs between the king and the nobility during the time of establishment of the dynasty. Another noticeable feature of the records tradition in Joseon dynasty was that the nobility recorded their experience and allowed future generations use and refer their experiences and examples when they performed similar business. The records of Joseon period are the historical records which recorded contemporary incidents and the compilers expected the future historians evaluate the incidents they recorded. In 1894, the reformation policy of Gaboh governments changed society into modernity. The policy of Gaboh governments prescribed archive management process through 'Regulation(命令頒布式)'. They revised the form of official documents entirely. They changed a name of an era from Chinese to unique style of Korean, and changed original Chinese into Korean or Korean-Chinese together. Also, instead of a blank sheet of paper they used printed paper to print the name of each office.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ese Imperialism in 1945 and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in 1948. In 1950s Republic of Korea used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of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without any alteration. In the late of 1950's Republic of Korea constructed the new records management system by adopting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public administration of USA. However, understanding of records management was scarce, so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was not accomplished. Consequently, many important records like presidential archives were deserted or destroyed. A period that made the biggest difference on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was from 1999 when was enacted. Especially, it was the period of President Roh's five-year tenure called Participation Government (2003-2008). The first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Participation Government's records management is that it implemented governance actively. Another remarkable feature is a nomination of records management specialists at public institutions.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also legislated (completely revised) . It led to a beginning of developing records management in Republic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