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Linolenic$ acid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3초

압착식, 압출식 착유 대마 종실유의 색깔과 주요성분 비교 (Comparison of color and major components of hempseed oils extracted with pressuring and extruding methods)

  • 문윤호;송연상;김광수;이지은;유경단;이영화;이경보;최인성;차영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66-672
    • /
    • 2017
  • 대마[Cannabis sativa L.]는 오랫동안 섬유작물로 재배되었지만 종실의 기름 함량이 많고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높아 식용유 원료작물로 유망하다. 오랫동안 대마 종실유를 이용해온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는 압출식으로 착유하는데, 이용 역사가 짧은 우리나라에서는 대마 종실유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소비자 기호도가 낮은 편이다. 본 연구는 압착식과 압출식으로 착유한 대마 종실유의 성분을 분석하여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압출식 착유기로 착유하면 착유량이 압착식에 비해 많았다. 착유 부산물인 유박은 압출식에서는 으깨어져 얇고 납작하게 배출되지만, 압착식은 종실이 다소 납작해졌으나 종실의 형상을 유지하였다. 압출식 착유 종실유는 압착식에 비해 Chlorophyll A, B 및 Carotenoid 함량이 높아 명도(L)는 낮고 녹색과 황색은 진하였다. 지방산 조성에서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icid, ${\gamma}$-Linolenic acid 비율은 압출식 착유 종실유가 압착식에 비해 다소 높았으나, Linoleic acid와 ${\alpha}$-Linolenic acid는 낮았다. 대마 종실유는 총 토코페롤 함량이 많고 그 중 ${\gamma}$-Tocopherol 함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었는데 압출식 착유 종실유가 압착식에 비해 다소 적었다.

한국산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의 화학적 조성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araxacum officinale Consumed in Korea)

  • 강미정;서영호;김종배;신승렬;김광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2-187
    • /
    • 2000
  • 천연에 널리 존재하지만 미개발 자원인 서양민들레의 식품학적 가치와 식품소재로의 개발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민들레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민들레의 일반성분은 잎과 뿌리에서 각각 수분 7.85와 7.73%, 회분 11.35와 4.82%, 조단백 21.6과 11.8%, 조지방 5.12와1.73%로 뿌리보다는 잎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민들레 잎과 뿌리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뿌리가 2710.66mg%로 잎의 1476.98mg% 보다 높았고, asparagine, arginine, serine, proline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잎에서 233.83mg%, 뿌리에서 209.76mg%로 잎에서 그 함량이 많았으며, 잎과 뿌리 모두 valine과 threonine의 함량이 많았다. 유리아미노산 유도체로는 ${\gamma}$-aminoisobutyric acid를 비롯하여 잎에서 14종이, 뿌리에서 11종이 검출되었고, 뿌리보다는 잎에서 441.53mg%로 그 함량이 다소 높았다. 또한 민들레 잎과 뿌리에는 어패류 등에 풍부한 taurine 성분이 비교적 높은 조성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민들레에 함유된 구성 총아미노산은 cystine을 제외한 17종이 검출되었고, 이중 필수아미노산 8종이 모두 높은 함량으로 존재하였다. 총아미노산과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뿌리보다 잎에서 각각 1.4와 1.8배정도 높았고, 전체 아미노산 중 필수아미노산이 잎과 뿌리 모두 42.17과 34.12%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주요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로 구성되어 있었고, sucrose의 함량이 잎과 뿌리에서 모두 높았다.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로 잎에서는 linolenic acid의 함량이 63.6%, 뿌리에서는 linoleic acid 함량이 56.4%로 월등히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무기질 함량은 잎과 뿌리 모두 K과 Ca이 매우 높았고, 잎의 K 함량은 3,510 mg/100g으로 대부분의 약용식물 보다 월등히 높았다.

  • PDF

건고추의 감마선 조사 후 저장 중 수분활성과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s in Water Activ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Dried Red Pepper during Post Irradiation Period)

  • 권중호;이기동;변명우;최강주;김현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58-1063
    • /
    • 1998
  • 감마선 조사에 의한 건고추와 고춧가루의 위생화 및 장기저장을 위한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면서, 감마선 조사후 저장조건 별 시료를 대상으로 수분활성과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건고추의 부위별 일반 성분 조성에서 수분함량은 과피 21.75%와 씨 9.30%였고, 조지방 함량은 과피 7.20% (신선물 기준)와 씨 22.50%였으며, 일반성분은 감마선(max. 10 kGy) 조사에 의해서도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건고추와 고춧가루는 PE (0.1 mm)/폴리마대 및 nylon $15\;{\mu}m/PE\;100\;{\mu}m$에 각각 포장하였을 경우 실온$(3{\sim}30^{\sirc}C,\;RH\;50{\circ}95%)$ 저온$(5{\sim}10^{\circ}C)$에 각각 9개월간 저장 하여도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Aw)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건고추의 주요 지방산은 $8{\sim}9$종으로 linolen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nic acid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히 고추씨$(84{\sim}85%)$에는 과피$(73{\sim}76%)$에 비해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매우 높아았으나 감마선 조사 직후나 6개월 간 저장된 시료에서도 지방산 조성에는 뚜렷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 PDF

무항생제 사육방식으로 생산된 한우육내 코티졸과 지방산 함량 (Cortisol and Fatty Acid Contents in Hanwoo Meat Produced by Antibiotics-free Rearing System)

  • 하재정;김병기;이준구;오동엽;김석수;김태균;채형복;김승준;박영식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8권3호
    • /
    • pp.129-136
    • /
    • 2014
  • 본 시험은 무항생제 사육방식이 한우육내 코티졸과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무항생제 및 관행 축산으로 생산된 한우육 1등급 등심(M. longissimus)부위를 3가지의 브랜드별로 각각 3회씩 구매하여 시료로 공시하였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우육 등심내 코티졸 함량은 무항생제 처리구에서 관행사육 처리구 대비 유의적(p=0.0176)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 함량에서는 유의적(p>0.05)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관행사육 처리구에서는 포화지방산이, 무항생제 처리구에서는 불포화지방산이 각각 높은 경향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불포화지방산 중 n-3과 n-9 지방산을 제외한 n-6 지방산(linoleic acid, ${\gamma}$-linolenic acid)에서 유의적(p<0.01)인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한우육내 코티졸 농도와 n-6 지방산 농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특히 linoleic acid와 유의적(p=0.0140)으로 부(-)의 상관관계가 성립되었다. 결과적으로, 무항생제 인증으로 사육된 한우육은 관행적으로 사육된 한우육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코티졸 함량이 낮았으며, 건강에 유익한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다소 높은 경향으로 분석됨으로써 육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Sexually Matured Female Mice showed Higher γ-Linolenic Acid (GLA) in the Muscle Tissue

  • Park, Chang Seok;Cho, Sang-Rae;Park, Young Sik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83-89
    • /
    • 2015
  • The sexual maturation occurred by the changes of steroid hormones was known to sex-dependently and/or age-dependently regulate the lipid metabolism in various animal species. Our current study demonstrates that lipid and its functional fatty acids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tatus of sexual maturation. Of the functional fatty acids, ${\gamma}$-linolenic acid (GLA; 18:3n-6) is an important factor for maintaining human health.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GLA in mice with different stages of sexual maturation. To this end, the longissimus muscle (LM) of immature (3-week-old) and mature (7-week-old) female mice was analysed for the fatty acid composition by gas chromatography. Furthermore, both gene and protein level of ${\Delta}6$ desaturase (FADS2) which is involved in GLA metabolism by real time PCR and Western blotting, respectively. Mature females showed greater (P<0.05) serum $17{\beta}$-estradiol (E2) level and LM GLA contents than immature group. The mRNA and protein levels of FADS2, which converts precursor linoleic acid into GLA, were higher (P<0.05) in mature female mice than in immature mic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sexual maturation of female mice induces GLA and FADS2 contents in LM.

한국 재래흑우 및 한우의 지방산 조성 및 영양성분 비교 (Comparison of Fatty Acid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Korean Native Black Cattle and Hanwoo)

  • 박경숙;박현숙;최영준;이재상;박성숙;정인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56-563
    • /
    • 2014
  •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Korean native black cattle (KNBC) and Hanwoo beef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isture, protein, ash, calorie and collagen content, but the fat content of KNB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anwoo (p<0.05). The P, Na and Cu content of KNB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anwoo (p<0.05). The KNBC and Hanwoo had total mineral amounts of 4,052.34 and 3,214.44 ppm, respectively, with the KNBC being significantly higher than Hanwoo (p<0.05). The vitamin B1 content of KNB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anwoo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2 content between the samples. The total structural amino acid conte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KNBC (12.35%) and Hanwoo (12.58%). The KNBC and Hanwoo had total free amino acid amounts of 752.698 and 661.795 ppm, respectively, with the KNBC being significantly higher than Hanwoo (p<0.05). The stearic acid (10.631%), linoleic acid (2.271%), linolenic acid (0.065%) and tricosanoic acid (0.038%) contents of KNBC were lower than those of Hanwoo (p<0.05). However, their palmitoleic acid (5.292%), oleic acid (48.815%), ${\gamma}-linolenic$ acid (0.094%), eicosenoic acid (0.042%) and docosadienoic acid (0.099%) cont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Hanwoo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KNBC and Hanwoo in the saturated fatty acid : unsaturated fatty acid ratio.

γ-LA-Supplementation to IVC for IVP Bovine Embryos

  • Gaja, A.;Meng, C.L.;Sato, M.;Nakajima, T.;Kubota, Chikara;Kojima,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호
    • /
    • pp.25-32
    • /
    • 2010
  •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gamma}$-linolenic acid (GLA) supplementation to in vitro culture (IVC) medium on in vitro developmental competence, freezability and morphology of in vitro matured and fertilized bovine embryos. In vitro produced (IVP) bovine zygotes were cultured in IVC medium supplemented with 0 (negative control), 15, 31, 62, 125, 250, 500 or 1,000 ppm GLA, 250 ppm linoleic acid albumin (LAA) and without any supplement as a control. Day 6 blastocysts derived from culture control were cultured in IVC medium containing either 62, 250 GLA or 250 LAA for 24 h, and at Day 7 were subjected to freezing or morphological examination by electron microscope. GLA 15 showed a tendency to have a higher cleavage rate at Day 2 (70.3%) than other groups. The hatching rate at Day 9 in LAA (38.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and all treatment groups (p<0.05), while the blastocyst rate in LAA (32.4%) did not differ from those of 15 (30.5%), 31 (27.1%), and 62 GLA (33.1%) or the control (35.1%). GLA in concentrations of 125, 250, 500, and 1,000 ppm had significantly detrimental effect on the blastocyst rate compared to 15, 31 and 62 ppm GLA, LAA, and control groups (p<0.05). In contrast, the highest post-thaw survival rate (100%) was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p<0.01). Large lipid droplets were observed in the cytoplasm of trophoblastic cells, even in the control, but were abundant in GLA groups. Tak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nto consideration, the addition of GLA to the culture medium for IVP bovine embryos at the dose of 15 ppm increased the developmental competence of zygotes and enhanced the cleavage rate up to Day 2. However, blastulation rate and post-thaw survival were not increased when GLA was added to the culture media.

초임계유체 공정에 의한 유효지방산이 풍부한 현미유의 추출 (Extraction of Brown Rice Oil Including Essential Fatty Acid Using Supercritical Fluid Process)

  • 김형진;신명옥;홍인권;박경애
    • 공업화학
    • /
    • 제8권5호
    • /
    • pp.860-865
    • /
    • 1997
  •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현미유는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 tocopherol, squalene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현미겨로부터 초입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현미유를 추출하고, GC-MSD를 이용하여 조성을 분석하였다. 현미유의 추출량은 추출공정의 조작온도와 압력에 의존하였으며,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환산밀도에 따라 추출된 기름내 지방산의 조성이 변화되었다. 또한 70~80%의 기름이 4시간 정도의 조작시간내에 추출됨이 확인되었다. 특히 용매추출공정과 초임계유체 추출공정을 비교한 결과 초임계유체 추출공정에서 추출된 기름의 조성에서만 squalene이 포함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Fatty Acid Composition and Volatile Constituents of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 Yeo, Hyelim;Youn, Kumju;Kim, Minji;Yun, Eun-Young;Hwang, Jae-Sam;Jeong, Woo-Sik;Jun, Mir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2호
    • /
    • pp.150-156
    • /
    • 2013
  • A total of 48 different volatile oils were identified form P. brevitarsis larvae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cids (48.67%) were detected as the major group in P. brevitarsis larvae comprising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volatile compounds, followed by esters (19.84%), hydrocarbons (18.90%), alcohols (8.37%), miscellaneous (1.71%), aldehydes (1.35%) and terpenes (1.16%). The major volatile constituents were 9-hexadecenoic acid (16.75%), 6-octadecenoic acid (14.88%) and n-hexadecanoic acid (11.06%).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 was also determined by GC analysis and 16 fatty acids were identified. The predominant fatty acids were oleic acid ($C_{18:1}$, 64.24%) followed by palmitic acid ($C_{16:0}$, 15.89%), palmitoleic acid ($C_{16:1}$, 10.43%) and linoleic acid ($C_{18:2}$, 4.69%) constituting more than 95% of total fatty acids. The distinguished characteristic of the fatty acid profile of P. brevitarsis larvae was the high propor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 (80.54% of total fatty acids) versus saturated fatty acids (19.46% of total fatty acids). Furthermore, small but significant amounts of linoleic, linolenic and ${\gamma}$-linolenic acids bestow P. brevitarsis larvae with considerable nutritional value. The novel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the comprehensive utilization of the insect as a nutritionally promising food source and a possibility for more effective utilization.

머위 (Petasites japonicus S. et Z. Max.)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Petasites japonicus S. et Z. Max.)

  • 조배식;이재준;하진옥;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61-667
    • /
    • 2006
  • 머위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머위의 잎과 줄기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건물(dry basis)을 기준으로 머위 줄기는 잎보다 수분, 조지방, 조회분 및 탄수화물 함량은 높았으나, 조단백질 함량은 낮았다. 머위 잎은 D-fructose와 D-glucose의 2종의 유리당과 maltose와 lactose의 2종의 이당류가 검출되었고,줄기에서는 D-fructose와 D-glucose의 2종의 유리당과 lactose의 1종의 이당류가 검출되었다. 아미노산은 잎에서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rginine, phenylalanine, leucine 순으로 검출되었으며, 줄기에서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leucine 순이었다. 머위잎에는 불포화지방산인 linolenic acid를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그 다음으로 linoleic acid, palmitic acid, $\gamma$-linolenic acid순으로 검출되었다. 반면에 줄기에서는 5종의 불포화지방산이 검출되었으며 linole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었다. 유기산은 잎에서는 oxalic acid, succinic acid, citric acid 순으로 3종이 검출되었고, 줄기에서는 oxal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순으로 검출되었다. 머위 잎과 줄기에서 비타민 A, C와 E 3종이 검출되었다. 무기질은 머위 잎과 줄기에서 8종의 무기성분이 검출되었는데, 이 중 K이 가장 많이 함유되었다. 머위의 잎과 줄기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은 함량에서의 차이가 있을 뿐 성분은 매우 유사한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 머위는 체내 신지대사와 생리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리당, 필수아미노산 및 필수지방산을 비롯한 항산화 비타민과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머위의 식품으로서의 이용화 가치가 한 층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