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 like 1

검색결과 692건 처리시간 0.034초

둥근성게(Strongylocentrotus nudus)의 Smad3와 Estrogen Receptor-related $Receptor\;{\beta}$ like 1 유전자 발현 (Gene Expression of Smad3 and Estrogen Receptor-related $Receptor\;{\beta}$ like 1 in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nudus)

  • 정유정;손영창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1호
    • /
    • pp.43-47
    • /
    • 2007
  •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TGF-{\beta})$ 신호의 매개자 역할을 하는 Smad 계열 단백질은 발생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Estrogen receptor(ER)와 구조적으로 유사한 estrogen receptor-related receptor(ERR)은 포유동물에서 후기 배발생기에 외배엽 형성과 관련이 되어 있는 고아핵수용체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무척추동물의 초기발생과정과 계절번식기 동안에 Smad3와 ERR의 유전자 발현이 발생과정과 성숙에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동해안 연안에 주로 서식하는 극피동물문 둥근성게과 둥근성게(Strongylocentrotus nudus)를 재료로 하여 계절별 및 배발생 과정중에 Smad3와 $ERR{\beta}$ like 1의 mRNA 농도를 real-time PCR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Smad3 mRNA는 샘플링을 시작한 2004년 2월의 생식소와 비교하면 4월부터 그 농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6월까지 증가하였으며, 산란기인 8월에 감소하였다가 10월부터 12월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ERR{\beta}$ like 1 mRNA는 6월까지 낮은 수준이었으나, 산란기인 8월에 급증한 후 다시 감소하였다. 수정란부터 초기 유생기까지 발생과정을 분석한 결과, Smad3 mRNA는 8세포기 및 16세포기에 높은 발현이 관측되었다. 한편, $ERR{\beta}$ like 1 mRNA는 포배기, 낭배기, 초기 유생기에 현저하게 높은 발현패턴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둥근성게의 산란기 및 발생배의 발생후기에 $ERR{\beta}$ like 1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추정되며, 초기 난할시기에는 Smad3의 관련성이 시사되었다.

  • PDF

Estradiol-$17{\beta}$와 Nonylphenol이 둥근성게(Strongylocentrotus nudus) 초기 배발생과 Estrogen Receptor-related Receptor $\beta$ Like 1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stradiol-$17{\beta}$ and Nonylphenol on mRNA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related Receptor $\beta$ Like 1 and Early Embryogensis in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nudus)

  • 정유정;맹세정;손영창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179-185
    • /
    • 2007
  • Estrogen과 estrogenic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EDCs)는 주로 스테로이드 수용체와 작용하여 다양한 표적 단백질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한다. 구조적으로 estrogen 수용체와 유사한 estrogen 수용체형 수용체(estrogen receptorrelated receptor, ERR)는 포유동물에서 배발생 후기에 외배엽 형성과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진 고아핵수용체(orphan nuclear receptor)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무척추동물인 둥근성게(Strongylocentrotus nudus)의 발생배를 재료로 estradiol-$17{\beta}(E_2)$과 EDCs의 일종인 nonylphenol(NP)이 발생과정의 형태학적 변화와 $ERR{\beta}$ like 1의 mRNA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E_2$와 NP가 처리된 발생배는 발생속도가 지연되었으며, 초기 유생기에 가까운 후기배의 비정상적인 발달형태가 관찰되었다. 수정란부터 초기 유생기까지 측정한 결과, 이들 화학물질에 의해 $ERR{\beta}$ like 1 mRNA는 포배기에 급격히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둥근성게의 초기 배가 $E_2$와 NP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발생되며, $ERR{\beta}$ like 1의 감소가 이 비정상적 배발생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EFFECTS OF SEVERAL CYTOKINES ON THE FUNCTIONS OF FETAL RAT OSTEOBLAST-LIKE CELLS IN VITRO

  • Han, Hee-Sung;Kim, Jung-Keun;Chang, Young-IL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89-696
    • /
    • 1995
  • Effects of several cytokines($IL-1{\beta},\;TNF_{\alpha},\;and\;IFN_{\gamma}$) have been examined on fetal rat osteoblast-like cells. To investigate whether cytokines play direct causal roles in production of lysosomal enzyme, fetal rat osteoblast-like cells were treated with $IL-1{\beta},\;TNF_{\alpha},\;and\;IFN_{\gamma}$, respectively or combined. And acid phosphatase was determined by biochemical method. Alkaline phosphatase was assay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L-1{\beta},\;TNF_{\alpha},\;and\;IFN_{\gamma}$ on the expression of this enzyme. And also experiment of calcified nodule formation was performed to assess the effects of cytokines on the bone-forming activity of osteoblast-like cells in vitro. Acid phosphat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IL-1{\beta}\;and\;TNF_{\alpha}$, whereas decreased by $IFN_{\gamma}$.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 i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as observed when the osteoblast-like cells were treated with $IL-1{\beta}\;and\;TNF_{\alpha}$. Interestingly, $IFN_{\gamma}$ showed stimulatory effect o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The number of calcified nodules was decreased by treatment of cultures with 1 ng/ml $IL-1{\beta},\;20\;ng/ml\;TNF_{\alpha}$, and 500 u/ml $IFN_{\gamma}$ continuously for 21 days, while considerable number of calcified nodules were formed in control group of osteoblast-like cell in culture for 21 days. These results seem to suggest that cytokines may play crucial roles in bone remodeling through the direct action on the osteoblast-like cell.

  • PDF

Agonist (P1) Antibody Converts Stem Cells into Migrating Beta-Like Cells in Pancreatic Islets

  • Eun Ji Lee;Seung-Ho Baek;Chi Hun Song;Yong Hwan Choi;Kyung Ho H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12호
    • /
    • pp.1615-1621
    • /
    • 2022
  • Tissue regeneration is the ultimate treatment for many degenerative diseases, however, repair and regeneration of damaged organs or tissues remains a challenge. Previously, we showed that B1 Ab and H3 Ab induce stem cells to differentiate into microglia and brown adipocyte-like cells, while trafficking to the brain and heart, respectively. Here, we present data showing that another selected agonist antibody, P1 antibody, induces the migration of cells to the pancreatic islets and differentiates human stem cells into beta-like cells. Interestingly, our results suggest the purified P1 Ab induces beta-like cells from fresh, human CD34+ hematopoietic stem cells and mouse bone marrow. In addition, stem cells with P1 Ab bound to expressed periostin (POSTN), an extracellular matrix protein that regulates tissue remodeling, selectively migrate to mouse pancreatic islets. Thus, these results confirm that our in vivo selection system can be used to identify antibodies from our library which are capable of inducing stem cell differentiation and cell migration to select tissues for the purpose of regenerating and remodeling damaged organ systems.

쑥갓 스테롤배당체의 아질산염소거작용 및 SOD 유사활성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SOD-like Activity of a Sterol Glucoside form Chrysanthemum coronarium L. var. spatiosum)

  • 조민정;박미정;이흠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7-82
    • /
    • 2007
  • 쑥갓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쑥갓 총 메탄올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가지고 있는 총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클로로포름, n-부탄올 및 물 분획물을 제조하여 각각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pH가 1.5일 때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IC_{50}$값은 39ppm으로 가장 우수한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보였으며,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IC_{50}$값이 15ppm과 36ppm일 때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양성대조군인 chlorogenic acid와 동등한 소거작용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유의성 있게 높은 활성을 나타낸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silica gel 컬럼크로마토그래피와 sephadex LH-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획의 활성성분인 compound I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compound를 $^{1}H-NMR$$^{13}C-NMR$ spectral data를 통하여 구조를 동정한 결과 compound I은 ${\beta}-sitosterol-O-{\beta}-D-glucoside$임을 확인하였다. Compound I과 그 aglycone인 ${\beta}-sitosterol$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IC_{50}$값이 pH 1.5에서 각각 15ppm과 36ppm일때 compound I의 $IC_{50}$값이 335ppm, ${\beta}-sitosterol$$IC_{50}$값이 41ppm으로 가수분해된 aglycone이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훨씬 높았다. SOD 유사활성의 경우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EC_{50}$ 값은 38ppm, 449ppm으로 이와 비교시 ${\beta}-sitosterol$과 배당체의 $EC_{50}$ 값은 1,291ppm과 2,000ppm 이상으로 나타났다.

성격유형과 유발전위 연구 (A Study of Personality type & Evoked Potentials)

  • 장석우
    • 감성과학
    • /
    • 제14권1호
    • /
    • pp.137-146
    • /
    • 2011
  • 최근 뇌 과학의 발달로 심리학의 다양한 이슈들을 뇌과학으로 설명하려는 노력들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격유형을 뇌과학으로 설명될 수 있는지 시도해보고자 하였다. 성격유형검사 중 MBTI를 토대로 하여 10대 청소년 190명에게 성격유형별 레이븐의 유사도형 구분과제를 실시하였다. 이 때 피험자에게 유발전위 뇌파를 검출하고 통계 분석하여 성격유형별간에 집중력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뇌파의 주파수별 분류를 통하여 어느 주파수대가 성격유형별간의 차이가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결론적으로 외향성과 내향성은 유사도형 구분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두 집단 간의 집중력 차이가 나타났으며 M-Beta파와 Gamma파 및 H-Beta파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으며 감각형과 직관형은 쉬운 난이도 과제와 중간 난이도 과제에서 두 집단 간 집중력의 차이가 나타나는 경향성이 보였으며 주파수별 분류에서는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다. 사고형과 감정형은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두 집단 간 집중력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뇌파 주파수별 분류에서는 H-Beta파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판단형과 인식형은 모든 과제와 주파수별 분류에서도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기존 성격유형과 뇌파연구가 외향성과 내향성에 집중되어 있고 다양한 유형별 연구가 미비하였다. 따라서 난이도가 상, 중, 하의 세 가지로 분류된 유사도형 구분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유발전위 뇌파를 통해 뇌파를 분석한 것은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 PDF

소 β-casein 유전자 영역에서 소 Insulin-like Growth Factor 1을 생산하기 위한 Knock-in Vector (Knock-in Vector for Express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1 on the Bovine β-casein Gene Locus)

  • 김상영;박다솜;김세은;구덕본;강만종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41권3호
    • /
    • pp.51-55
    • /
    • 2017
  • The production of therapeutic protein from transgenic domestic animal is the major technology of biotechnology.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is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growth of the anima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construction of knock-in vector that bovine IGF-1 gene is inserted into the exon 7 locus of ${\beta}$-casein gene and expressed using the gene regulatory DNA sequence of bovine ${\beta}$-casein gene. The knock-in vector consists of 5' arm region (1.02 kb), bIGF-1 cDNA, CMV-EGFP, and 3' arm region (1.81 kb). To express bIGF-1 gene as transgene, the F2A sequence was fused to the 5' terminal of bIGF-1 gene and inserted into exon 7 of the ${\beta}$-casein gene. As a result, the knock-in vector is confirmed that the amino acids are synthesized without termination from the ${\beta}$-casein exon 7 region to the bIGF-1 gene by DNA sequence. These knock-in vectors may help to create transgenic dairy cattle expressing bovine bIGF-1 protein in the mammary gland via the expression system of the bovine ${\beta}$-casein gene.

Insulin-like growth factor-I 유전자의 조직 특이적 발현에 대한 조절기전 (Regulatory Mechanism in Tissue-specific Express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 Gene)

  • 안미라
    • KSBB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329-334
    • /
    • 2003
  •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유전자의 발현은 사람 및 쥐에서 두 개의 promoters (P1과 P2)로부터의 전사와 alternative RNA splicing 및 differential RNA polyadenylation과 같은 복잡한 기전들에 의하여 조절되는데 조직에 따라 성장호르몬을 포함한 여러 요소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사람의 IGF-I 유전자 exon 1의 upstream에 존재하는 P1에 hepatocyte nuclear factor l$\alpha$와 CAAT/enhancer-binding protein (C/EBP) isoform 들이 결합하여 조직 및 발달단계 특이한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제안되었지만, exon 1의 downstream sequence가 IGF-I 유전자의 조직 특이적 발현을 조절하는 지에 대하여는 연구되어 있지 않다. 연령이 다른 쥐의 간 및 뇌 조직에서 total RNA를 분리하고 solution hybridization/RNase protection 방법으로 분석하여 IGF-I 유전자의 발현이 태어난 후 간 조직에서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지만 뇌조직에서는 감소하여 발달단계에 따라 조직 특이하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IGF-I exon 1의 주요한 전사 개시점으로부터 아래쪽에 존재하는 C/EBP 결합부위를 포함하고 있는 cis-acting element에 해당하는 oligonucleotide들과 간 및 뇌조직에서 분리한 핵단백질들을 이용하여 DNA-결합 활성을 가진 분자량이 다른 C/EBP$\alpha$나 C/EBP$\beta$ 단백질들을 확인하였으며 southwestern 및 western immnoblotting 분석을 하여 간 조직의 핵 추출물에서는 42$^{C}$EBP$\alpha$/, 와 p38$^{C}$EBP$\alpha$/, p35$^{C}$EBP$\alpha$/, p38$^{C}$EBP$\beta$/, 그리고 p35$^{C}$EBP$\beta$/가 IGF-I exon 1 oligonucleotide와 복합체를 형성하고 뇌 조직에서는 p42$^{C}$EBP$\alpha$과 p38$^{C}$EBP$\beta$가 복합체 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FRE-C/EBP isoform 복합체 형성이 IGF-I 유전자 발현의 조직 특이적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제안한다.할을 할 것으로 제안한다.

Effect of Al Addition on the Precipitation Behavior of a Binary Mg-Zn Alloy

  • Kim, Ye-Lim;Tezuka, Hiroyasu;Kobayashi, Equo;Sato, Tatsuo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11-117
    • /
    • 2012
  • The effect of Al addition on the precipitation behavior of a binary Mg-Zn alloy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changes in the morphology, distribution and element concentration of precipitates formed during aging treatment. The as-cast Mg-6.0 mass%Zn (Mg-6Zn) and Mg-6.0 mass%Zn-3.0 mass%Al (Al-added) were homogenized at 613 K for 48 h and at 673 K for 12 h; they were then solid solution treated at 673 K for 0.5 h and 1 h, respectively. The Mg-6Zn and Al-added alloys were aged at 403 K and 433 K. The peak hardness of the Al-added allo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g-6Zn alloy at each aging temperature. Rod-like, plate-like, blocky, and lath-like precipitates were observed in the Al-added alloy aged at 433 K for 230.4 ks, although the rod-like and plate-like precipitates were observed in the TEM microstructure of the Mg-6Zn alloy aged at 433 K for 360 ks. Moreover, the precipitates in the Al-added alloy were refined and densely distributed compared with those in the Mg-6Zn alloy. The Cliff-Lorimer plots obtained by the EDS analysis of the rod-like ${\beta}_1^'$ and plate-like ${\beta}_2^'$ phases in the Al-added alloy peak aged at 433 K for 230.4 ks were examined. It was confirmed that the ${\beta}_2^'$ phases had higher concentration of solute Al atom than was present in the ${\beta}_1^'$ phases, indicating that the properties of precipitates can be changed by Al addition.

Eliminations from (E)-2,4-Dinitrobenzaldehyde O-Aryloximes Promoted by R3N in MeCN. Effects of β-Aryl Group and Base-Solvent on the Nitrile-Forming Transition-State

  • Cho, Bong-Rae;Ryu, Eun-Mi;Pyun, Sang-Y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9호
    • /
    • pp.2976-2980
    • /
    • 2012
  • Nitrile-forming eliminations from (E)-2,4-$(NO_2)_2C_6H_2CH=NOC_6H_4-2-X-4-NO_2$ (1a-e) promoted by $R_3N$ in MeCN have been studied kinetically. The reactions are second-order and exhibit Br$\ddot{o}$nsted ${\beta}$ = 0.83-1.0 and ${\mid}{\beta}_{lg}{\mid}$ = 0.41-0.46. The results have been interpreted in terms of highly E1cb-like transition state with extensive $C_{\beta}$-H bond cleavage and limited $N_{\alpha}$-OAr bond cleavage. Comparison with existing data reveals that the structure of the transition state changes from E2-central to highly E1cb-like either by the change of the ${\beta}$-aryl group from Ph to 2,4-dinitrophenyl under the same condition or by the base-solvent system variation from $EtO^-$-EtOH to $Et_3N$-MeCN for a given substrate (1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