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

검색결과 1,898건 처리시간 0.026초

Alginate의 Na 흡착효과와 다시마 첨가 김치의 개발 (Na-binding Capacity of Alginate and Development of Sea Tangle Added Kimchi)

  • 하정옥;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95-1002
    • /
    • 2000
  • 본 연구는 in vitro에서 여러 식이섬유의 Na흡착효과를 측정하였고 다시마내의 alginate의 Na 흡착능을 측정하고 다시마 첨가김치의 소금(Na) 흡착기능으로 저염 기능성 김치를 개발하려고 하였다. 여러 식이섬유의 표품으로 Na흡착효과를 시험한 결과, alginate와 sodium alginate, 그리고 다시마에서 추출한 alginate가 가장 큰 효과가 있었다. Sodium alginate는 산에서도 용해된 상태로써 위장에서부터 Na를 흡착하여 (29.9%) 소장까지 내려가지만(33.8%) alginate와 다시마에서 추출한 alginate는 소장의 알칼리 상태에서 32.3%와 27.4%의 Na 흡착능을 보였다. 다시마내의 alginate함량은 건다시마의 경우 건조물당 22.2%, 염장다시마는 21.9%, 30분 침지 후3회 세척한 염장다시마는 19.8%였다 관능검사를 통하여 염장 다시마를 세척한 다시마를 0.5$\times$3 cm 형태로 절단하여 김치레시피의 30%첨 가한 김치를 제조하였다. 다시마김치의 이화학적 특성, 젖산균의 변화 그리고 관능검사를 통해 그 특성을 살펴 본 결과 대조김치에 비해 환원당 함량과 젖산균이 많았으며 발효속도는 다소 빨랐고 특히 다시마첨가 김치는 대조김치와 다시마젓갈첨가 김치보다 탄산미가 많고 군덕내가 적은 것이 특징이었다. 다시마첨가김치는 대조김치에 비해 수용성 식이섬유의 양이 건조물당 6.2%에서 9.2%로 증가되었다.

  • PDF

저온발효 배추김치의 품질평가를 위한 김치액의 색상 측정 (Color Measurement of Kimchi Juice for Quality Evaluation of Korean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Low Temperature)

  • 이명희;전혜경;노홍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77-680
    • /
    • 1992
  • 저온발효 배추김치의 숙성도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4^{\circ}C$에서 숙성과정중 자연적으로 유출되는 김치액의 색상변화를 색차계를 이용해서 측정하고, 성분분석에 의해 적숙기를 예측하였다. 김치액의 성분분석결과 숙성 30일째 김치의 숙성 적기 PH인 4.2, 산도 0.63%에 달하였으며 이때 비타민 C 함량도 최고치에 달하였다. 김치액의 양은 숙성 30일까지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이후 변화가 없이 동일하였다. 김치액의 $L^*$, $a^*$, $b^*$ 색상값은 모두 숙성과 더불어 증가하여 적숙기인 숙성 30일째 최고치를 나타내고 이후 감소하였다. 김치액 색의 $a^*$/$b^*$ 비값은 담금 초기 0.82에서 적숙기시 0.98를 나타내고 과숙기로 접어들면서 다소 감소하여 0.94를 나타냈다. 따라서, 적숙기시 김치액의 $L^*$, $a^*$, $b^*$ 값 또는 $a^*$/ $b^*$ 비값을 단독 혹은 김치액의 양과 병용하여 이용함으로써 색차계에 의한 김치, 특히 포장김치의 품질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 PDF

녹두(綠豆)에서 Peroxidase 동위(同位) 효소(酵素)들의 분리(分離)와 효소적(酵素的) 특성(特性)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Isoperoxidases from Mung Bean Seedling)

  • 이상갑;박우철;홍종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3호
    • /
    • pp.279-287
    • /
    • 1986
  • 발아초기(發芽初期) 녹두(綠豆)의 부위별(部位烈) peroxidase 활성(活性)은 뿌리가 타부위(他部位)보다 약 $1.5{\sim}3.5$배 더 높은 효소활성(酵素活性)을 나타내었으며 발아(發芽)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자엽(予葉), 뿌리에서는 효소활성(酵素活性)이 증가(增加)하다가 점차 감소(滅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인 반면에 타부위(他部位)에서는 계속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전기영동상(電氣泳動上) isozyme의 수는 발아(發芽),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모든 부위(部位)에서 계속 증가(增加)하여 활성도(活性度)와는 무관(無關)하게 발아(發芽) 후 6일(日)째에 가장 많이 나타났다. Ammonium sulfate에 의한 단백질(蛋白質)의 분획(分劃), Sephadex G-75 Column, DEAE-cellulose column한 결과(結果) isozyme A는 16배 정제(精製)되었으며, isozyme B는 조금도 순도(純度)가 증가(增加)되지 않았으며 isozyme A와 B의 전기영동상(電氣泳動上) Rm값은 각각(各各) 0.22와 0.62였다. isozyme A와 B 모두 PH5.6에서 최대(最大) 활성(活性)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반응최적온도(反應最適溫度)는 각각(各各) $65^{\circ}C$$70^{\circ}C$였으며, 열(熱)에 대해서도 비교적(比較的) 안정(安定)한 결과(結果)를 얻었다. Lineweaver-Burk Polt를 이용(利用)하며 Km값을 측정(測定)해 본 결과(結果) 0-dianisidine에 대한 isozyme A는 0.071mM, isozyme B는 0.052mM이었으며 $H_2O_2$에 대한 isozyme A는 0.28mM, isozyme B는 0.23mM이었다.

  • PDF

깍뚜기 발효중 순간 가열과 염첨가가 pH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wave heating and salts addition on pH and acidity of Kakdugi during fermentation)

  • 윤정원;김종군;이정근;김우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3호
    • /
    • pp.213-218
    • /
    • 1991
  • 깍뚜기 절임중 절임액의 소금농도에 따른 침투된 무우에 소금농도 변화와 발효과정중 pH와 총산도 변화를 측정하고, 절임액에 $KCI,\;MgCl_2,\;CaCl_2$의 첨가와 발효과정중 $Na_2HPO_4,\;Na_3PO_4,\;Ca\;EDTA,\;NaNO_2,\;Sod.\;citrate$ 등 세 가지 혼합물을 만들어 첨가하였을 때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절임 깍뚜기 무우를 발효전 microwave로 $1{\sim}3$분 가열하여 발효속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깍뚜기의 절임시 절임액의 소금농도에 따른 소금의 침투속도는 절임시간(log t)과 침투된, 소금 양의 직선관계로 표시할 수 있었으며, 절임 소금물에 0.05 M의 KCI의 첨가는 깍뚜기 발효를 약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Microwave 열처리는 1 또는 2분 처리하였을 때 발효가 촉진됨을 보였으나 3분 가열한 것은 발효를 약간 억제시켜 주었다. 또한 발효과정중(약 PH 4.4) 무기 또는 유기산염의 혼합물을 $0.001\;M{\sim}0.01\;M$의 낮은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발효억제효과가 뚜렷하였으며, 세 가지 혼합물중 $Na_2HPO_4,\;Na_3PO_4,\;NaNO_2,\;Ca\;EDTA,\;Sod.\;citrate$를 혼합한 것이 대조구에 비하여 첨가 후 pH4.0에 도달하는 시간이 6배 이상 연장되어 가장 높은 발효억제효과를 보였다.

  • PDF

대두 ${\alpha}-galactosidase$의 정제 및 성질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soybean ${\alpha}-galactosidase$)

  • 금종화;오만진;김성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3호
    • /
    • pp.249-257
    • /
    • 1991
  • 대두 발아 과정 중의 ${\alpha}-galactosidase$를 추출하여 염석,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및 겔 여과 등의 방법으로 정제한 후 정제효소의 효소학적 성질을 검토하였다. 대두 ${\alpha}-galactosidase$의 활성은 $25^{\circ}C$에서 120시간 발아시켰을 때 가장 높았으며, 대두 중의 raffinose는 96시간, stachyose는 120시간 발아시켰을 때 완전히 분해되었다. 대두 ${\alpha}-galactosidase$는 황산암모늄염석, DEAE-Cellulose 및 DEAE-Sephadex A-50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Sephadex G-150 겔 여과 등에 의하여 비활성은 825U/mg protein으로써 6.6배까지 정제되었으며 수율은 2.5%이었고 HPLC와 PAGE에 의하여 순도를 확인하였다. 정제효소의 등전점은 pH 4.8이었고, 분자량은 30,000인 monomer이었으며 정제효소의 최적작용 PH는 6.0, 최적작용온도는 $40^{\circ}C$ 이었고, $60^{\circ}C$에서 10분 처리시 25%의 잔존 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제효소는 stachyose보다 raffinose를 쉽게 분해하였으며 PNPG에 대한 Km값은 5.3 mM, 활성화 에너지는 13.02 cal/mole이었다.

  • PDF

성게로부터 분리한 $\beta$-galactosid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eta$-Galactosidase from Sea Urchin, Hemicentrotus pulcherrimus)

  • 김규형;김용태;김세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37-644
    • /
    • 1998
  • 우리나라 근해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말똥성게 (sea urchin, Hemicentrotus pulcherrimus)의 내장으로부터 Triton X-100을 이용하여 $\beta$-galactosidase를 추출하고, $40\~80\%$ (w/v) $(NH_4)_2SO_4$, DEAE-Sephadex A-25 및 CM-Cellulose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Con A-Sepha-rose 4B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리, 정제하여 그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제된 $\beta$-galactosidase는 단일의 단백질로 이루어진 효소로 판명되었고, 효소의 정제도는 조효소에 비해 384.6배 증가하였고, 수율은 $1.26\%$이었다. 정제효소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3.0 및 $50^{\circ}C$ 이었다. 효소의 활성은 $Ba^{2+}$와 같은 금속이온에 의해 촉진되었고, $Hg^{2+},\;Sn^{2+}$ 및 DFP에 의해 현저하게 저하되었으며, 당인 galactose 와 lactose에 의해 저하되어 기질 저해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효소의 분자량은 SDS-PAG 전기이동과 Sephadex G-150 겔여과를 실시한 결과 97 kDa로 나타났다. 합성기질인 PNPG를 사용하여 효소의 속도론적 상수를 측정한 결과 $K_m$은 15.0mM, $V_{max}$$\mu$mole/min$\cdot$mg$\cdot$protein으로 나타났다.

  • PDF

패류 가공에 관한 연구 1. 개량조개 Mactra Sulcataria REEVE의 토사 배출에 대하여 (STUDIES ON THE SHELLFISH PROCESSING 1. Purification of the Surf Clam Mactra sulcataria REEVE for the Remove of Sand)

  • 이응호;변재형;허종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7-32
    • /
    • 1970
  • 살아 있는 개량조개 속에 들어 있는 토사의 배출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사는 주로 입수관 및 출수관 주변, 아가미 주변, mantle주변 그리고 중장선을 위시한 소화 기관 속에 존재하였다. 그리고 소화기관 속에 들어 있는 모래의 크기는 $180\times10\mu\~550\times200\mu$정도의 극히 작은 것들이었다. 2) 시료를 밑바닥에 깔아 놓은 것과 중간층에 수하시킨 것 그리고 단층으로 깔든지 또는 수하시킨 것과 두껍게 깔든지 또는 수하시킨 것 사이에 토사의 배출에 있어 뚜렷한 차이는 찾아 볼 수 없었다. 3) 개량조개는 처음 1시간 정화시키면 약 $50\%$의 토사를 배출하며, $22\~26$ 시간만에 배출물의 양이 거의 일정한 값에 도달하지만, 배출물 속에 토사가 배출되지 않을 때까지는 약 42시간 소요되었다. 4) 토사의 배출에 미치는 PH의 영향을 보면 개량조개가 살고 있는 환경 해수보다 약 1정도 높은 쪽(pH 8.75)이 빨랐다. 5) 토사의 배출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은 개량조개가 살고 있는 환경 해수의 온도 때가 온도를 더 높였을 때보다 토사의 배출이 빨랐다. 6) 토사의 배출에 미치는 염분 농도의 영향은 개량조개가 살고 있는 환경 해수의 염분 농도($30.61\%_{\circ}$)보다 약 배로 묽은 쪽($15.14\%_{\circ}$)이 배출이 빨랐다.

  • PDF

니켈도금액중의 붕산 신속정량법 (Rapid Analysis of Boric Acid in Nickel Plating Solutions)

  • 염희택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12
    • /
    • 1970
  • Only mannitol or glycerine is generally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boric acid in a nickel plating solution in order to make its acidic property so strong that it can be titrated with NaOH. However, these solutions give very amgiguous color change of indicator due to the precipitation of nickel salts . Therefore, only experienced dchemistsorwell trained workimen can accurately confirm the actual end point of the titratiion. For eliminating such interference of nickel salts and easily confirming the end point by any persons , the author attempted to find out a solution which produces no precipitates during the titration in these experiments, and also he tried to funish the reason for ambiguousness in titra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fter many experiments. (1) In any titrations which produce nickel salts such nI(oh)$_2$, the salt is formed umption very approximate to the end point, which shows some error by the consumption of titrant(NaOH) . Then, the pink color of phenolphthalein is absorbed by Ni(OH)$_2$ and the pH jumping at the end pint is also diminished to as little as less than 15% of the total phenophthalein ph range. (2) Known methods by complex salts of citrate,w hich do not produce precipitates of Ni(OH)$_2$, are also not very satisfactory, because, the pH jumping at the end point is only about 35% and the color change of phenolphthalein is form blue-green to purple-blue. (3) New method by complex salts of oxalate were attempted in these experiments. They also did not produce precipitates of Ni(OH)$_2$ and were very satisfactory in color change at the end of point was about 65% and the color change was from blue-green to purpled. In this methods, analytica cost was minimized by the use of less amounts of cheaper chemicals than the conventional citrates complex methods. The mixture of chemicals used was composed methods. The mixture of chemical used was composed of 37g/ι of sodium oxalate(Na$_2$C$_2$O$_4$$.$5H$_2$O), 2g/ι of phenolphthalein, and 400ml /ι of glycerin. The accuracy of analysis was within the error of 0.5%. (4) The procedure of analysis was as follows. One ml of nickel plating solution was taken out and to it were added 20ml of water and 20 ml of the above mixture for the indicator. The solution was titrated with 0.1N NaOH. The quantity of boric acid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Boric acid (g/ι) = 6.184${\times}$F${\times}$ml .

  • PDF

아스파탐의 열안정성에 미치는 온도와 pH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on Thermal Stability of Aspartame)

  • 김우정;정남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1-315
    • /
    • 1996
  • 아스파탐을 가열할 때 온도 및 pH가 아스파탐의 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아스파탐 용액을 $60-100^{\circ}C$로 가열하였을 때 가열온도가 높아질수록 아스파탐의 분해속도가 빨라졌으며 이 때의 활성화 에너지는 20.77 Kcal/mole이었다 또한 열분해물질인 DKP와 ${\alpha}$-AP는 아스파탐의 열분해와 함깨 생성속도가 증가하였으며, 분해산물 증 DKP량이 ${\alpha}$-AP보다 현저하게 많이 생성되었다. 가열 중 pH의 변화는 $60{\sim}80^{\circ}C$에서는 10시간 가열동안 비교적 완만하게 감소하였고 $100^{\circ}C$에서는 초기 pH 4.52에서 3.92로 감소하였다가 그 후 다시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1%아스파탐 용액을 pH $3{\sim}7$의 범위로 조절하여 $100^{\circ}C$에서 가열하였을 때 pH $3.0^{\circ}C4.5$의 산성범위에서 안정하였고 PH7에서 불안정하였으며, 초기 1시간 가열 후 pH 7에서의 열분해 속도상수는 0.83으로 다른 pH의 열분해 속도상수의 값인 $0.045{\sim}0.286$에 비해 큰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아스파탐은 pH 7과 고온에서 매우 불안정함을 보여 주었다.

  • PDF

페놀성 화합물의 아질산염 소거 및 전자공여 작용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 강윤한;박용곤;이기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2-239
    • /
    • 1996
  • 천연에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는 각종 폐놀성 화합물은 니트로화 반응의 저해제로 관여하거나 항산화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이들 각종 페놀성 화합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전자공여 작용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화합들의 농도를 $0.1mM{\sim}6mM$용액을 조제한 후, 이 액 일정량을 이용해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전자공여 작용을 비교하였다. 아질산염 소거율에서 phenolic acid류는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일부는 pH 1.2, 3.0에서 flavonoids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에서 phenolic acid류 가운데 hydroxybenzoic acids는 gallic acid> gentisic acid> syringic acid> protocatechuic acid> salicylic acid> vanillic acid> benBoic acid>p-hydroxy benzoic acid 순으로 나타났으며, hydroxycinnarnic acids가운데 전자공여능의 크기는 hydrocaffeic acid> caffeic acid> ferulic acid> p-coumaric acid>trans-cinnamic acid 순으로 나타났고, flavonoids 가운데에서는 (+)catechin> rutin> quercetin>naringin=hesperidin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tannic acid를 포함한 기타 phenol성 화합물에 없어서도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