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 2+/]$_{i}$

검색결과 1,753건 처리시간 0.031초

칼슘 및 탈륨 이온으로 치환된 제올라이트 A, $Ca_xTl_{12-2x}-A$ (x = 1.4 및 5.6)를 탈수한 결정구조 (Two Crystal Structures of Dehydrated $Ca^{2+}-\;and\;Tl^+-$Exchanged Zeolite A, $Ca_xTl_{12-2x}-A$ (x = 1.4 and 5.6))

  • 김덕수;송승환;김양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6-82
    • /
    • 1993
  • Ca(II) 와 Tl(I)으로 교환되고 완전히 진공 탈수된 2개의 제올라이트 A 결정 즉, $Ca_{5.6}Tl_{0.8}-A (a = 12.242(2){\AA})\;와\;Ca_{1.4}Tl_{9.2}-A (a = 12.191(1){\AA})$의 구조를 21(1)$^{\circ}C$에서 입방공간군 Pm3m을 사용하여 X-선 단결정 회절법으로 해석하였다. 이들 두 결정은 총농도를 0.05M로 한 $Ca(NO_3)_2$ 와 $$TINO_3$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흐름법으로 이온교환하여 만들었고 탈수는 360$^{\circ}C$$2{\times}10^{-6}\;torr$에서 2일간 행하였다. $Ca_{5.6}Tl_{0.8}-A$ 구조에서는 I > 3$\sigma$(I)인 회절점 179개를 사용하여 $R_1$ = 0.072 와 $R_2$ = 0.076까지, $Ca_{1.4}Tl_{9.2}-A$구조에서는 I > 3$\sigma$(I)인 회절점 226개를 사용하여 $R_1$ = 0.048 and $R_2$ = 0.043까지 정밀화시켰다. 두 구조에서 Ca(II) 이온은 3개의 6-링 산소와 결합하면서 3회 회전축 상에 위치하였다. 단위세포당 교한된 양이온의 총수가 8개 이상이면 $Ca^{2+}$ 이온은 6-링 자리에, $Tl^+$ 이온은 8-링 자리에 우선적으로 위치한다.

  • PDF

한국인 소아 및 청소년에서 IGF-I 유전자형의 분석과 cytosine-adenine(CA) repeat 유전자 다형성이 혈중 IGF-I 농도에 미치는 영향 (Analysis of cytosine adenine(CA) repeat polymorphism of the IGF-I gene and influence on serum IGF-I levels in healthy children and adolescents)

  • 고명진;황태규;이정녀;정우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2호
    • /
    • pp.1340-1347
    • /
    • 2006
  • 목 적 : IGF-I 프로모터 CA repeat 유전자 다형성이 혈청 IGF-I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일치되지 않은 결과들이 보고되어 있다. 저자들은 한국인 소아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IGF-I 유전자형의 분석을 실시하였고, CA repeat 유전자 다형성이 혈청 IGF-I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 법 : 신장 계측에 의해 1998년에 제작된 한국소아 표준 신장표에 의거하여 나이에 따른 평균 신장 2표준편차 안에 속하는 소아 및 청소년 2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전자형의 분석은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을 실시하였다. CA repeat 회수에 따른 대립유전자의 분포를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유전자형을 분류하였다. 결 과 : 한국인 소아 및 청소년에서는 IGF-I 프로모터 CA repeat 3' end 부위에 2 bp 크기의 결손이 있었다. CA repeat의 분포는 17부터 23까지였으며, 19 repeat가 39.3%의 빈도로 가장 높았다. 유전자형을 살펴보면 한국인 소아의 63.8%가 19 CA repeat를 하나 이상 가지고 있어서, 이 유전자형이 야생형으로 생각된다. 유전자형은 36명(14.8%)은 19 CA repeat(192 bp allele) homozygous, 119명(49.0%)은 heterozygous, 88명은 (36.2%) 19 CA repeat noncarrier 였다. 유전자형에 따른 키, 체중, BMI는 세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전자형에 따른 혈청 IGF-I 농도도 19 CA noncarrier군에서 $526.70{\pm}177.67ng/mL$로, 19 CA homozygous군 $570.06{\pm}207.91ng/mL$에 비해 낮았으나 세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전자형과 나이에 따른 혈청 IGF-I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을때 19 CA homozygote 군(r=0.7181; P<0.0001), heterozygote 군(r=0.5506; P<0.0001) 그리고 19 CA noncarrier군 모두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5155; P<0.0001). 결 론 : 한국인 소아 및 청소년에서 19 CA repeat 3' end 부위에 2 bp 크기의 G, A 뉴클레오타이드의 결손이 관찰되었다. IGF-I 유전자의 CA repeat 분포는 17부터 23까지였으며, 19 repeat의 빈도가 39.3%로 가장 높았다. 키, 체중, BMI 그리고 혈청 IGF-I 농도는 유전자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IGF-I 유전자형과 나이에 따른 혈청 IGF-I 농도 사이에는 유전자형에 관계없이 모든 군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건강한 소아 및 청소년에서는 IGF-I 유전자 다형성이 혈청 IGF-I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Mechanism for the Change of Cytosolic Free Calcium Ion Concentration by Irradiation of Red Light in Oat Cells

  • Han, Bong-Deok;Lee, Sang-Lyul;Park, Moon-Hwan;Chae, Quae
    • BMB Reports
    • /
    • 제28권6호
    • /
    • pp.499-503
    • /
    • 1995
  • In our previous studies (Chae et al., 1990; Chae et a1., 1993), we found that a phytochrome signal was clearly connected with the change in cytosolic free $Ca^{2+}$ concentration ($[Ca^{2+}]_i$) in oat cells. It was determined that the $[Ca^{2+}]_i$ change occured both by mobilization out of the intracellular $Ca^{2+}$ store and by influx from the medium. The specific aim of this work is to elucidate the processes connecting $Ca^{2+}$ mobilization and influx. The cells treated with thapsigargin (increasing $[Ca^{2+}]_i$ by inhibition of the $Ca^{2+}$-ATPase in the calcium pool) in the presence of external $Ca^{2+}$ showed the same increasing pattern (sustained increasing shape) of $[Ca^{2+}]_i$ as that measured in animal cells. Red light irradiation after thapsigargin treatment did not increase $[Ca^{2+}]_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apsigargin also acts specifically in the processes of mobilization and influx of $Ca^{2+}$ in oat cells. When the cells were treated with TEA ($K^+$ channel blocker), changes in $[Ca^{2+}]_i$ were drastically reduced in comparison with that measured in the absence of TEA.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nge in $[Ca^{2+}]_i$ due to red light irradiation is somehow related with $K^+$ channel opening to change membrane potential. The membrane potential change due to $K^+$ influx might be the critical factor in opening a voltage-dependent calcium channel for $Ca^{2+}$ influx.

  • PDF

Effect of Sphingosine-1-Phosphate on Intracellular Free Ca2+ in Cat Esophageal Smooth Muscle Cells

  • Lee, Dong Kyu;Min, Young Sil;Yoo, Seong Su;Shim, Hyun Sub;Park, Sun Young;Sohn, Uy Do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6권6호
    • /
    • pp.546-552
    • /
    • 2018
  •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proteins senses local changes in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s ($[Ca^{2+}]_i$) and transduces these signals into responses to agonists.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sphingosine-1-phosphate (S1P) on modulation of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s in cat esophageal smooth muscle cells. To measure $[Ca^{2+}]_i$ levels in cat esophageal smooth muscle cells, we used a fluorescence microscopy with the Fura-2 loading method. S1P produced a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 in $[Ca^{2+}]_i$ in the cells. Pretreatment with EGTA, an extracellular $Ca^{2+}$ chelator, decreased the S1P-induced increase in $[Ca^{2+}]_i$, and an L-type $Ca^{2+}$-channel blocker, nimodipine, decreased the effect of S1P. This indicates that $Ca^{2+}$ influx may be required for muscle contraction by S1P. When stimulated with thapsigargin, an intracellular calcium chelator, or 2-Aminoethoxydiphenyl borate (2-APB), an $InsP_3$ receptor blocker, the S1P-evoked increase in $[Ca^{2+}]_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reatment with pertussis toxin (PTX), an inhibitor of $G_i$-protein, suppressed the increase in $[Ca^{2+}]_i$ evoked by S1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1P-induced increase in $[Ca^{2+}]_i$ in cat esophageal smooth muscle cells occurs upon the activation of phospholipase C and subsequent release of $Ca^{2+}$ from the $InsP_3$-sensitive $Ca^{2+}$ pool in the sarcoplasmic reticul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S1P utilized extracellular $Ca^{2+}$ via the L type $Ca^{2+}$ channel, which was dependent on activation of the $S1P_4$ receptor coupled to PTX-sensitive $G_i$ protein, via phospholipase C-mediated $Ca^{2+}$ release from the $InsP_3$-sensitive $Ca^{2+}$ pool in cat esophageal smooth muscle cells.

The Effect of Ghrelin on $Ca^{2+}$ Concentration in Thyroid FRTL-5 Cells

  • Kim, Byung-Joo;Park, Young-Joo;Park, Do-Joon;So, In-Suk;Kim, Ki-Wh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8권4호
    • /
    • pp.195-200
    • /
    • 2004
  • Ghrelin is a newly discovered peptide, which is released from the stomach and neurons in the hypothalamic arcuate nucleus (ARC), and potently stimulates growth hormone release and food intake.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ghrelin on $[Ca^{2+}]_i$ in thyroid FRTL-5 cells. Ghrelin (5 nM) increased $[Ca^{2+}]_i$ and TSH (1 unit/l) had an additive effect on $[Ca^{2+}]_i$ when extracellular normal solution was 1.1mM $Ca^{2+}$ containing Coon's modified Ham's F12 medium. When $Ca^{2+}-free$ medium containing 2 mM EGTA replaced the above normal solution, ghrelin also induced a similar rise in $[Ca^{2+}]_i$. In the middle of $[Ca^{2+}]_i$ increment by ghrelin, nifedipine $(1\;{\mu}M)$, nickel $(100\;{\mu}M)$ and $La^{3+}\;(100\;{\mu}M)$ had no effect on $[Ca^{2+}]_i$. After endoplasmic reticulum was depleted by cyclopiazonic acid $(CPA;10\;{\mu}M)$, ghrelin caused no visible change on $[Ca^{2+}]_i$ in $Ca^{2+}-free$/2 mM EGTA solu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ghrelin can increase $[Ca^{2+}]_i$ through endoplasmic reticulum in thyroid FRTL-5 cells.

전염성 췌장 괴저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CHSE 세포의 칼슘 반응 (Calcium Response of CHSE Cells Following Infection with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 (IPNV))

  • Kang, Kyung-Hee;Park, Kee-Soon;Lee, Chan-Hee;Lee, Chan-Hee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9-84
    • /
    • 1993
  • Infection of Chinook Salmon Embryo (CHSE) cells with IPNV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intracellular free calcium concentration ([$Ca^{2+}$]i) compared to mock-infected cells. The degree of the decrease in [Ca$^{2+}$]i was dependent on the amount of input virus, and treatment of IPNV-infected CHSE cells with metabolic inhibitors such as cyloheximide cordycepin partially reversed the decrease in [$Ca^{2+}$]i in IPNV-infected cells. Inactiation of PINV with UV also abolished IPNV-induced decrease in [$Ca^{2+}$]i. These data suggest an active role of IPNV in the decrease of [Ca$^{2+}$]i in the infected CHSE cells. The importance of the decrease in [$Ca^{2}$i] could be supported by the finding that the production of IPNV plaques increased in the cells treated with verapamil, a calcium influex blocker, and by lowering the concentration of extracellular calcium. Decreased production of IPNV plaques was observed by elevating the extracellular calcium. Thus, it is suggested that IPNV induced a decreased in [$Ca^{2+}$]i and the decrease in [$Ca^{2+}$]i may plan an importat role in efficient replication of IPNV.ation of IPNV.

  • PDF

Chronic Ca2+ influx through voltage-dependent Ca2+ channels enhance delayed rectifier K+ currents via activating Src family tyrosine kinase in rat hippocampal neurons

  • Yang, Yoon-Sil;Jeon, Sang-Chan;Kim, Dong-Kwan;Eun, Su-Yong;Jung, Sung-Cherl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1권2호
    • /
    • pp.259-265
    • /
    • 2017
  • Excessive influx and the subsequent rapid cytosolic elevation of $Ca^{2+}$ in neurons is the major cause to induce hyperexcitability and irreversible cell damage although it is an essential ion for cellular signalings. Therefore, most neurons exhibit several cellular mechanisms to homeostatically regulate cytosolic $Ca^{2+}$ level in normal as well as pathological conditions. Delayed rectifier $K^+$ channels ($I_{DR}$ channels) play a role to suppress membrane excitability by inducing $K^+$ outflow in various conditions, indicating their potential role in preventing pathogenic conditions and cell damage under $Ca^{2+}$-mediated excitotoxic conditions. In the present study, we electrophysiologically evaluated the response of $I_{DR}$ channels to hyperexcitable conditions induced by high $Ca^{2+}$ pretreatment (3.6 mM, for 24 hours) in cultured hippocampal neurons. In results, high $Ca^{2+}$-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mplitude of $I_{DR}$ without changes of gating kinetics. Nimodipine but not APV blocked $Ca^{2+}$-induced $I_{DR}$ enhancement, confirming that the change of $I_{DR}$ might be targeted by $Ca^{2+}$ influx through voltage-dependent $Ca^{2+}$ channels (VDCCs) rather than NMDA receptors (NMDARs). The VDCC-mediated $I_{DR}$ enhancement was not affected by either $Ca^{2+}$-induced $Ca^{2+}$ release (CICR) or small conductance $Ca^{2+}$-activated $K^+$ channels (SK channels). Furthermore, PP2 but not H89 completely abolished $I_{DR}$ enhancement under high $Ca^{2+}$ condition, indicating that the activation of Src family tyrosine kinases (SFKs) is required for $Ca^{2+}$-mediated $I_{DR}$ enhancement. Thus, SFKs may be sensitive to excessive $Ca^{2+}$ influx through VDCCs and enhance $I_{DR}$ to activate a neuroprotective mechanism against $Ca^{2+}$-mediated hyperexcitability in neurons.

$CaO-Al_2O_3$계 유리에 함유된 $Er^{3+}$ 이온의 $^4I_{13/2}longrightarrow^4I_{15/2}$ 복사 천이 특성 ($^4I_{13/2}longrightarrow^4I_{15/2}$ Radiative Transitions of $Er^{3+}$ in $CaO-Al_2O_3$ Glasses)

  • 원종원;박용완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861-868
    • /
    • 1994
  • CaO-Al2O3 glass is a good candidate as optical fiber amplifier and laser. In this study, optical properties for 4I13/2longrightarrow4I15/2 transition of Er3+ ions doped in CaO-Al2O3 glasses were investigated. Optical absorptions, radiative transition probabilities and lifetimes for 4I13/2 level were evaluated by using Judd-Ofelt theory. Also, induced- emmision cross-sections of 4I13/2longrightarrow4I15/2 transition were calculated. Radiative transition probability and lifetime of 4I13/2 level were 144.6s-1, 690$mutextrm{s}$ respectively for 60CaO.40Al2O3 glass(FS0) and 152.6s-1, 660 $mutextrm{s}$ for 54 CaO.36Al2O3.10SiO2 glass (FS10). Each induced-emission cross sections for FS0 and FS10 was 0.749$\times$10-20 $\textrm{cm}^2$, 0.892$\times$10-20 $\textrm{cm}^2$. Obtained values were comparable with those of ZBLA glass studied as optical fiber amplifier and laser material.

  • PDF

$Ca^{2+}$ 이온과 $Cs^+$ 이온으로 치환되고 탈수된 두개의 제올라이트 X $Ca_{35}Cs_{22}Si_{100}Al_{92}O_{384}$$Ca_{29}Cs_{34}Si_{100}Al_{92}O_{384}$의 결정구조 (Crystal Structures of Full Dehydrated $Ca_{35}Cs_{22}Si_{100}Al_{92}O_{384}$and $Ca_{29}Cs_{34}Si_{100}Al_{92}O_{384}$)

  • 장세복;송승환;김양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27-435
    • /
    • 1996
  • $Ca^{2+}$ 이온과 $Cs^+$ 이온으로 치환되고 완전히 탈수된 제올라이트 X, $Ca_{35}Cs_{22}Si_{100}Al_{92}O_{384}$($Ca_{35}Cs_{22}$-X; a=25.071(1) $\AA)와Ca_{29}Cs_{34}Si_{100}Al_{92}O_{384}$($Ca_{29}Cs_{34}$-X; a=24.949(1) $\AA)$의 두 개의 결정 구조를 $21^{\circ}C$에서 입방공간군 Fd3을 사용하여 단결정 X-선 회절법으로 해석하고 구조를 정밀화하였다. 탈수한 $Ca_{35}Cs_{22}$-X의 구조를 Full-matrix 최소자승법 정밀화 계산에서 $I>3\sigma(I)$인 322개의 독립 반사를 사용하여 최종 오차 인자를 $R_1$=0.051, $R_2$=0.044까지 정밀화 계산하였고, 탈수한 $Ca_{35}Cs_{22}$-X의 구조는 260개의 독립 반사를 사용하여 $R_1$=0.058, $R_2$=0.055까지 정밀화시켰다. 이들 구조에서 $Ca^{2+}$ 이온과 $Cs^+$ 이온은 서로 다른 5개의 결정학적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탈수한 $Ca_{35}Cs_{22}$-X 구조에서는 16개의 $Ca^{2+}$ 이온은 D6R의 중심, 자리 I에 모두 채워져 있다(Ca-O=2.41(1) $\AA$, $O-Ca-O=93.4(3)^{\circ}).$ 다른 19개의 $Ca^{2+}$ 이온은 자리 II에 (Ca-O=2.29(1) $\AA$, $O-Ca-O=118.7(4)^{\circ})$, 10개의 $Cs^+$ 이온은 큰 공동에서 6-링 맞은편 II에 채워져 있고, 각각 3개의 산소로 만들어지는 산소 평면으로부터 $1.95\AA$ 들어가 위치하고 $있다(Cs-O=2.99(1)\AA$, $O-Cs-O=82.3(3)^{\circ}).$ 3개의 $Cs^+$ 이온은 산소 평면에서 소다라이트 공동쪽으로 $2.27\AA$ 들어간 자리 II'에서 위치하고 $있다(Cs-O=3.23\AA$, $O-Cs-O=75.2(3)^{\circ}).$ 나머지 9개의 $Cs^+$ 이온은 각각 큰 공동내 2회 회전축을 가지고 있는 48(f) 위치인 자리 III에 통계학적으로 분포하고 $있다(Cs-O=3.25(1)\AA$, Cs-O=3.49(1) $\AA).$ 탈수한 $Ca_{29}Cs_{34}$-X에서 16개의 $Ca^{2+}$ 이온은 자리 I에 채워지고 (Ca-O=2.38(1) $\AA$, $O-Ca-O=94.1(4)^{\circ})$ 13개의 $Ca^{2+}$ 이온은 자리 II에 채워져 있다(Ca-O=2.32(2) $\AA$, $O-Ca-O=119.7(6)^{\circ}).$ 다른 12개의 $Cs^+$ 이온은 자리 II에 채워져 있고, 이들은 산소 평면으로부터 각각 $1.93\AA$ 들어가 위치하고 $있다(Cs-O=3.02(1)\AA$, $O-Cs-O=83.1(4)^{\circ}).$ 7개의 $Cs^+$ 이온은 각각 자리 II'에 위치하고 있고, 산소 평면으로부터 소다라이트 공동으로 $2.22\AA$ 들어가 위치하고 있다(Cs-O=3.21(2) $\AA$, $O-Cs-O=77.2(4)^{\circ}).$ 나머지 16개의 $Cs^+$ 이온은 큰 공동내의 자리 III에 있다(Cs-O=3.11(1) $\AA$, Cs-O=3.46(2) $\AA).Ca^{2+}$ 이온은 자리 I과 자리 II에 우선적으로 위치하고 $Cs^+$ 이온은 너무 커서 자리 I에 채워질 수 없으며 나머지 자리에 채워진다.

  • PDF

미숙아에서 이온화 마그네슘, 총 마그네슘과 재태 연령과의 관계 및 뇌실 내 출혈과의 관계 (Association of ionized magnesium, total magnesium, gestational age, and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n preterm babies)

  • 김태연;이현희;성태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0호
    • /
    • pp.1140-1146
    • /
    • 2009
  • 목 적:마그네슘은 인체 혈중에서 두 번째로 높은 농도로 존재하지만, 인체 내에서의 역할, 특히 미숙아에서 이에 대한 병태생리가 현재까지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다. 한편 진통용해제나 임신중독증 치료를 위해 산전에 황산 마그네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고마그네슘혈증에 따른 신생아시기에 영향에 대해 많은 연구가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마그네슘보다 이온화 마그네슘이 생리적으로 활성화되어 더욱 정확히 마그네슘의 역할을 볼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되고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첫 번째 연구로 미숙아에서 총마그네슘(tMg), 이온화 마그네슘(iMg) 과 재태 연령, 총칼슘(tCa), 이온화 칼슘(iCa)과의 상관성을 살펴보고, 두 번째로 혈청 마그네슘 농도와 미숙아 질환 중 뇌실 내 출혈과의 관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2006년 6월부터 2008년 2월까지 한림대학교의료원 강남성심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산모에게 산전 어느 기간에라도 황산 마그네슘을 투여 받은 경우, 선천성 기형이 있는 경우, 5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로 지속되는 경우, 보호자가 검사에 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한 119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출생직후 혹은 늦어도 출생 3시간 안에 태아의 혈액 검체로부터 tMg, iMg, tCa, iCa을 측정하였다. 1차 연구로 tMg 및 iMg와 재태 연령, tCa, iCa, pH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였고, 2차 연구로 뇌실 내 출혈군(IVH, n= 19)과 없는 군(대조군, n=100)으로 나누어 tMg, iMg, tCa, iCa, 재태 연령, 출생체중, 1분 및 5분 Apgar 점수, 산모의 고혈압의 유병율, 산전 진통 유병율 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혈청 tMg 농도는 재태 연령, tCa, iCa, pH 등과 모두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왔으나, iMg은 tMg가 증가할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r=0.288, P=0.002), iCa과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보였다(r=0.212, P=0.021). 하지만, 재태 연령과 pH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총 119명 중 IVH 군은 19명, 대조군은 100명이었다. tMg은 IVH에서 $2.5{\pm}0.9mg/dL$, 대조군에서 $2.1{\pm}0.6mg/dL$로 뇌실 내 출혈이 있는 군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더 높은 마그네슘 농도를 보였다(P=0.021). 반면, iMg, tCa, iCa, pH 는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평균 재태 연령과 출생체중은 각각 연구군이 $33.3{\pm}2.6$주 vs. 대조군 $35.0{\pm}2.1$주, 연구군 $2,093.2{\pm}628.1g$ vs. $2,385.7{\pm}514.3g$으로 연구군이 통계학적으로 더 의미 있게 더 작고 더 어렸다(P=0.002, P=0.030). 재태 연령과 출생체중, Apgar 점수를 고려하여 다시 한번 다변수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총 마그네슘의 농도(OR 2.798, 95% C.I. 1.265-6.192, P=0.011)는 역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위험인자로 나왔다. 결 론:재태 연령 37주 미만의 미숙아에서 tMg의 농도는 재태 연령과는 관계가 없었으며, iMg의 혈중농도 역시 재태 연령과는 관계없이 비슷했고, tMg, iCa과 관계가 있었다. 또한, 뇌실 내 출혈이 있던 미숙아에서 고마그네슘혈증을 보였으므로, 이전에 마그네슘에 노출된 적이 없더라도 출생 직후의 혈청 마그네슘 농도가 높은 미숙아들의 경우 IVH를 고려해봐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