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4}C$]-acetate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6초

고지방식이(高脂肪食餌)에 따른 $Acetate-1-^{14}C$이 흰쥐의 체내지질(體內脂質)에의 편입도(編入度) (Incorporation of $Acetate-1-^{14}C$ into Lipid of Rats Fed High Fat Diet)

  • 이순재;박홍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7권2호
    • /
    • pp.126-136
    • /
    • 1984
  • 식물생고지방식이(植物牲高脂肪食餌) (45%-corn oil 식이(食餌) : 45%C군(群))및 동물생고지방식이(動物牲高脂肪食餌)(45%-butter fat 식이(食餌) : 45%B군(群)) 와 저지방식이(低脂肪食餌) ( 3%-fat식이(食餌): 3%F군(群))를 자유섭식(自由攝食)으로, 사육(飼育)하면서 4, 8 및 12주에 각각 쥐를 사용하여 $acetate-1-^{14}C$를 주입(注入)한 후 간장(肝臟), 혈청(血淸) 및 지방조직(脂肪組織)등의 지질(脂質)에의 편입도(編入度)와 주입(注入)된 $acetate-1-^{14}C$이 호기(呼氣) 중(中)$^{14}CO_{2}$로의 배출(排出)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고환지방조직중량(副睾丸脂肪組織重量)은 실험 4,8주에 45%C군(群) 및 45%B군(群)이 대조군에 비해 컸으나 12주에 와서는 차이가 없었다. 복부지방조직(腹部脂肪組織) 중량(重量)도 역시 부고환지방조직(副睾丸脂肪組織)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Acetate-1-^{14}C$의 간지질(肝脂質)에의 편입도(編入度)를 보면 45 % C군(群) 및 45%B군(群)은 실험(實驗) 전기간(全期間) 동안 대조군 및 3%F군(群)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으며, 그중에서도 45%C군(群)이 더 현저하였다. 그러나 3%F군(群)은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부고환지방조직(副睾丸脂肪組織)에서의 $acetate-1-^{14}C$의 편입도(編入度)는 실험 8주에 모든 군(群)이 4, 12주 때보다 현저히 높았고, 또 3군(群) 모두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복부지방조직(腹部脂肪組織) 역시 부고환지방조직(副睾丸脂肪組織)에서의 편입도(編入度)와 비슷한 경향이었다.$Acetate-1-^{14}C$의 혈청지질(血淸脂質)에 의 편입도(編入度)는 실험 4, 8주에는 대조군에 비해 45%C군(群) 및 45%B군(群)이 현저히 낮았다. $Acetate-1-^{14}C$의 호기중(呼氣中)의 $^{14}CO_{2}$로의 배출(排出)을 $acetate-1-^{14}C$ 주입(注入)후 180분 동안 관찰한 결과 각군(各群) 공(共)히 5내지 10분 동안 최고치(最高値)에 달하였으며, 30분 이후부터는 급속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처음 5분간(分間)은 45% C군(群) 및 45%B군(群)이 대조군과 3%F군(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 PDF

동위원소희석법에 의한 염소위의 Acetate 함량 및 흡수율의 측정 (The Determination of Turnover Rate and Pool Size of Acetate in the Goat Rumen by The Isotope Dilution Method)

  • 하두봉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4-30
    • /
    • 1960
  • 본실험의 목적은 탄산기에 방사성동위원소 C14를 표식한 sodium acetate ($CH_3$C14 OONA)를 사용하여 염소의 위내에 존재하는 acetate 의 위벽으로부터의 흡수율과 위의 acetate의 평균함량을 측정하는데 있다. C14 로 표식된 sodium acetate(specific activity 1.35$\times$108 cpm./g.)를 급사 3 시간후의 염소의 위내에 주입하고 주입 2분후부터 약 2분간격으로 위 내용물을 추울하여 column chromatograpy를 이용하여 acetate를 분리정량한 후 그의 specific activity를 측정하였다. 주입후 3 분경까지는 위내에 존재하는 acetate에 의한 표식 acetate의 희석으로 말미암아 specific activity 는 급격히 감소되어 갔고 3 분후부터는 감소도가 비교적 완만하였으나 역시 계속적으로 감소되어갔다. 희석완료후의 이 specific activity 감소는 위벽을 통한 acetate를 흡수와 위 내용물로부터의 acetate 생성으로 인한 것으로서, 이 감소율로부터 acetate의 위벽흡수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specific activity의 감소 graph 로부터 추정된 위내 acetate의 량은 본실험의 제조건하에서 약 30 g이었으며 위내 acetate 의 specific activity가 1/2 로 감소되는데 요하는 평균 시간은 약 4 분이었다. 이는 위내에 존재하는 acetate량의 약 절반은 4 분동안에 위벽을 통과함을 의미한다.

  • PDF

PLANT BIOCHEMISTRY OF GINSENG SAPONINS(III) Radioactive Studies (2). Sodium Acetate-U-$C^{14}$ Experiment

  • 고려인삼학회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7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01-113
    • /
    • 1974
  • The radioactive compound sodium $acetate-U-C^{14}$ (C-14 acetate) was administered to two- and four-year-old July and September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m L.) plants and cuttings. The C-14 acetate uptake was approximately $99\%.$ The autoradiochromatograms suggest that the saponins(panaquilins) isolated by preparative thin-layer chromatography contained impurities, especially those isolated from the leaf and stem extracts. The root and fruit methanol extracts yielded relatively pure saponins. The large amounts of panaquilin B and its proximity to panaquilin C on preparative thin-layer plates resulted in some admixing. The average concentration $(\%$ plant dry weight) of semipurified saponins were high in the leaves $(13.8\%),$ compared to fruits $(9.8\%),\;stems\;(7.9\%)\;and\;roots\;(6.3\%).$ The average percentage of C-14 acetate incorporation into panaquilins was $4.8\%.$ The average percentage of C-14 acetate incorporation into panaquilins B and C was higher $(1.40\%\;and\;1.13\%,$ respectively) than that into panaquilin C, (d), G-1 and G-2 $(0.75\%,\;0.65\%,\;0.13\%\;and\;0.53\%,$ respectively). Panaquilin synthesis may be depending upon the part collection period and age of the plant. The average percentage of C-14 acetate incorporation into panaquilin B is high in roots $(0.58\%)\;and\;stems\;(0.48\%);$ that into panaquilins C and (d) high in leaves $(0.40\%\;and\;0.45\%,$ respectively); and that into panaquilin E high in roots and leaves $(0.55\%\and\;0.50\%,$ respectively). Panaquilin G-2 was synthesized in all parts of plants. The panaquilins appear to be biosynthesized more actively in July than September (exception-panaquilin G-l). Panaquilins B, C and G-1 may be biosynthesized more actively in four-year-old plants and panaquilins (d) and E more actively in two-year-old plants. The results from expectance with cuttings suggest that the panaquilins are synthesized de novo in the above-ground parts of ginseng plants, and that panaquilin G-l may be synthesized de novo in the leaf. It is known from the tissue culture studies that panaquilins are produced by leaf, stem and root callus tissues and callus-root cultures of American and Korean ginseng plants. Panaquilins may actively be synthesized de novo in most any cell or organ of the ginseng plants. It was verified that C-14 acetate was incorporated into the panaxadiol portions of the panaquilins of two-year-old plants (sp. act., 0.56 $m{\mu}Ci/mg$) and four-year-old plants (sp. act., 0.54 $m{\mu}Ci/mg$).

  • PDF

인삼식물(人參植物)에 관한 연구(III) -동위원소화합물(洞位元素化合物) Sodium $Acetate-U-C^{14}$을 투여한 실험- (Studies on the Ginseng Plants(III) -Radioactive Sodium $Acetate-U-C^{14}$ Feeding Experiments-)

  • 김정연;이. 죤 스태바
    • 생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1-124
    • /
    • 1974
  • 방사성 동위 원소화합물 소디움 아세테이트$-V-C^{14}(C^{14}$-아세데이트)를 2년생과 4년생 7월, 9월 미국인삼(오갈피 나무과, Panax quinquefolium L.) 식물과 캇팅(Cutting) 에 각기 심지법에 의하여 투여하였다. $C^{14}$아세테이트 섭취율은 약 99%였다. 오토래디오크로매토그램은 제조적 박층 크로매토그래피로 분리한 사포닌들이 불순물을 함유하고 있음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잎이나 줄기 엑기스에서 분리한 사포닌들에 불순물이 많이 섞여 있음을 알았다. 뿌리 및 과실 메타놀 엑기스는 상대적으로 순수한 사포닌들을 얻을 수 있다. 패나퀼린 B의 과량으로 인한 패나퀼린 C에 대한 패나퀼린 B의 꼬리는 제조적 박층 크로매토그래피에서 서로 혼교되는 결과를 얻었다. 일차 정제된 사포닌들의 평균 함량(건조 식물에 대한 %)은 과실(9.8%), 줄기(7.9%), 뿌리(6.3%)에 비하여 잎(13.8%)에 높았다. $C^{14}$아세테이트가 패나퀼린으로 인코포레이트되는 평균 %는 48%였다. 패나퀼린 B와 C로 $C^{14}$아세테이트가 인코포레이트되는 평균 %는 패나퀼린 C (0.75%), (d) (0.65%). G-1 (0.13%) G-2 (0.53%)보다 높았다. (패나퀼린 B 1.40%, C 1.13%). 패나퀼린 합성은 식물의 채취 부위, 채취 시기 및 연령에 따라 를린다고 사료된다. 패나퀼린 B 에 $C^{14}$아세테이트가 인코포레이트되는 평균 함량은 뿌리(0.58%)와 줄기(0.48%)에서 높았고, 패나퀼린 C(0.40%)와 (d) (0.45%)는 잎에서 높았고, 패나퀼린 E는 뿌리 (0.55%)와 잎(0.50%)에서 각기 높았다. 패나퀼린 G-2는 식물의 모든 부위에서 생합성되어 졌다. 패나퀼린은 9월에 채집한 식물에서 보다 7월에 채집한 식물에서 보다 활발하게 생합성되는 것처럼 보였다(예외 패나퀼린 G-1). 패나퀼린 B, C, G-1은 4년생 식물에서 활발하게 생합성되고 패나퀼린 (d)와 E는 2년생 식물에서 활발하게 생합성된다고 사료된다. 캇팅에서 기대된 결과들은 패나퀼린들이 인삼 식물의 지상부위에서 새로히 합성되고 괘나퀼린 G-1은 잎에서 새로히 합성된다고 하는 것 들이다. 인삼 조직 배양 연구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패나퀼린들은 미국인삼과 한국인삼의 잎, 줄기, 뿌리 캘러스 조직에 의하여서도 합성될 뿐만 아니라 또한 그들의 캘러스 뿌리에서도 패나퀼린들이 항성된다. 따라서 인삼 사포닌인 패나퀼린은 인삼 식물의 세포나 기관등 모든곳에서 새로히 합성된다고 사료할 수 있다. $C^{14}$아세테이트가 패나퀼린의 비당체 부분에도 인코포레이트되는 것을 입증하였는데, 2년생 식물에서 패낙사다이올은 $(0.56\;m{\mu}Ci/mg)$, 4년생 식물에서 패낙사다이올은 $(0.54\;m{\mu}Ci/mg)$스페시획 액티비티를 갖었다.

  • PDF

간세포 배양에서 Linoleic Acid와 혈청알부민의 첩가가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noleic Acid and Serum Albumin Concentrations on Lipid Metabolism in HepG2 Cells)

  • 차재영;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3호
    • /
    • pp.229-234
    • /
    • 1999
  • 사람 간세포 유래의 배양 세포인 HepG2 세포의 지질 합성과 분비에 미치는 linoleic acid(LA, 18 : 2 n-6) 및 우혈청알부민 (bovine serum albumin: BSA) 첨가 농도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간세포는 DMEM배지(기본 배지)에 0.2 mM LA을 첨가한 배지 및 LA와 BSA(0.2-1.0%)를 첨가한 배지(LA+BSA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각 지질의 동위원소 표적에는 $[^{14}C]acetate$를 이용하여 6시간 배양후의 지질합성과 분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기본 배지중에 LA의 첨가는 콜레스테롤의 $[^{14}C]acetate$ 표적량을 저하 시켰다. 한편, LA배지에 BSA의 첨가에 의해, 총 콜레스테롤의 $[^{14}C]acetate$ 표적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LA+BSA 배지에서 간세포의 총 콜레스테롤 변동은 유리형 콜레스테롤에의 표적량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배지에 BSA를 첨가 하였을때 콜레스테롤 분비가 증가 하였는데, 이는 지질의 분비과정에 BSA가 관여하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간세포내 총 지질에의 $[^{14}C]acetate$ 표적량은 각 군간의 유의치는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LA 배지에의 BSA 첨가는 $[^{14}C]acetate$표식 지방산의 중성지질 획분에의 표적량은 증가하고, 인지질 획분에 표적량은 감소하여, 양지질의 합성에는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14}C]acetate$ 표적 중성지질, 인지질 및 유리지방산의 분비는 LA배지에 비교해 LA+BSA 배지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사람 간배양 세포에서 LA와 BSA는 각각 지질대사에 다른 영향을 미치고, BSA 농도는 리포단백질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시사된다.

  • PDF

고등식물 중의 Polyphenol성분에 관한 연구 (II) (Studies on Polyphenols in Higher Plants (II))

  • 박수선
    • 생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7-70
    • /
    • 1973
  • In Peucedanum japonicum and Aster tataricus L. chlorogenic acid was identified by methods of P.P.C. and T.L.C. $L-Phenylalanine-U-^{14}C\;and\;sodium\;acetate-2-^{14}C$ were administered to Peucedanum japonicum, $L-Tyrosine-U-^{14}C$ to Aster tataricus and $caffeic\;acid-carboxyl-^{14}C\;and\;L-tyrosine-U-^{14}C$ to Fagopyrum esculentum $M_{OENCH}$. The incorporation of each compound into chlorogenic acid was compared. $L-Phenylalanine-U-^{14}C$ showed higher incorporation to chlorogenic acid than sodium $acetate-2-^{14}C$ in Peucedanum japonicum. $Caffeic{\;}acid-carboxyl-^{14}C$ was higher to chlorogenic acid than $L-tyrosine-U-^{14}C$ in Fagopyrum esculentum. $L-Tyrosine-U-^{14}C$ was comparatively low in Aster tataricus.

  • PDF

Dunaliella tertiolecta의 포도당산화와 산화효소계 (I) Whole cells과 cell-free systems에 의한 14C-glucose의 산화 (Glucose Oxidation and It's Oxidative Enzyme Systems in Dunaliella tertiolecta.(I) Oxidation of 14C-glucose in Whole Cells and Cell-free Systems)

  • 권영명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2권2호
    • /
    • pp.7-14
    • /
    • 1969
  • Dunaliella tertiolecta did not show any increase in respiration rate when supplied with glucose, glycerol, sucrose, L-alanine, acetate, pyruvate and succinate. This was in contrast to Chlorella pyrenoidosa, which, under identical condition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when supplied with glucose or acetate but not with the other compounds. Production of 14CO2 from added 14C-glucose in D. tertiolecta was lower than the other 14C-labelled substrates: L-alinine, glycerol, succinate, but higher than 14C-sucrose addition. And it was also lower than C. pyrenoidosa experiments which was added 14C-glucose as a substrate. Light reduced amounts of labelled carbon dioxide from 14C-glucose or 14C-acetate and increased incorporation of 14C from the substrates to cell materials in either D. tertiolecta or C. pyrenoidosa. The contribution of 14C from 14C-glucose to 14CO2 in cell-free system of D. tertiolecta were much higher than in whole cell suspension. It was contrast to C. pyrenoidosa which were showed reduction of 14CO2 production in cell-free systems than whole cell suspensions. When cell-free systems of D. tertiolecta and C. pyrenoidosa were supplied with ATP, NAD, NADP or/and hexokinase, it was remarkably increased production of 14CO2 from the substrates than the control. It was concluded that the low ability of D. tertiolecta to metabolize glucose were caused by the impermeability of the cell membrane to glucose and were not due to deficiencies of enzyme systems concerning glucose metabolism. In the cell-free systems, it seemed to be more active pentose phosphate pathway than glycolytic pathway in D. tertiolecta.

  • PDF

Dunaliella tertiolecta에 의한 acetate의 이용 -TCA cycle과 glyoxylate pathway의 활성 조사- (The utilization of acetate for the growth and the respiration in Dunaliella tertiolecta.―Enzymes of the tricarboxylic acid cycle and glyoxylate pathway)

  • 권영명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6권1_2호
    • /
    • pp.6-11
    • /
    • 1973
  • The utilization of acetate by Dunaliella tertiolecta was examined, and the detections and assays of the enzymes of the tricarboxylic acid cycle and the glyoxylate pathway were described. Acetate could not be utilized as a sole carbon source for the growth. The carboxyl carbon of acetate was incorporated more rapidly into CO2 than the methyl carbon. It was identified that malate, succinate, citrate and etc., were accumulated whne [U-14C] acetate was supplied to the cell free homogenate. The following enzyme activities were measured; acetothiokinase, isocitrate dehydrogenase, fumarase, malate dehydrogenase and aconitase. Though isocitratase, malate synthetase, succinate dehydrogenase and oxoglutarate dehydrogenase could not be detected, 14C from succinate was easily contributed to CO2 and cell component. The evidence suggested that the glyoxylate pathway was not operative and showed that the TCA cycle was the all important pathway in the oxidation of acetate to CO2 in Dunaliella.

  • PDF

알칼리 처리된 제지슬러지의 메탄발효에 미치는 몇몇 첨가제의 효과 (The effects of some additives on Methane Fermentation of Paper Mill Sludge treated with Alkali)

  • 최종우;이규승;박승희
    • 농업과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134-142
    • /
    • 1995
  • 제지슬러지의 메탄발효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온($35^{\circ}C$)과 고온($60^{\circ}C$) 메탄발효를 실시하였으며, 발효 촉진제로 기질(ethyl acetate), $F_{430}$의 구성성분(nickel), 생육인자 및 환원제(sulfur) 등의 화합물을 첨가한 후 메탄 생성 효율을 비교 조사하였다. 1. 제지슬러지를 단순히 $60^{\circ}C$로 가열해 주어도 섬유소가 분해됨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으며, pH를 교정하기 위한 NaOH처리로 그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중온($35^{\circ}C$) 메탄발효 가스중 40%의 메탄함량을 나타낸 처리구는 nickel trioxide(5일), nickel sulfate(10일), nickel acetate(15일) 순 이었다. 3. 중온에서의 메탄생성 효율은 대조구(0.62%), ethyl acetate(0.21%), nickel acetate(2.14%), nickel sulfate(3.02%), nickel trioxide(3.34%)로 대조구에 비하여 최고 5.4배까지 증가하였으며, nickel화합물에서는 acetate< sulfate< trioxide의 순으로 메탄발효를 촉진하였다. 4. 고온 메탄발효 가스중 40%의 메탄함량을 나타낸 처리구는 nickel trioxide(3일), 혼합(5일), sodium sulfide(6일), 대조구(10일)의 순이었다. 5. 고온에서의 메탄생성 효율은 대조구(9.6%), ethyl acetate(4.8%), sodium sulfide(16.5%), nickel trioxide(19.8%), 혼합(31.9%) 처리구순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최고 3.32배의 보다 높은 효율을 보여 주었으며, 중온 보다는 약 10배의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6. 중온과 고온 메탄발효후 pH는 메탄발효가 잘 진행된 발효조는 7.0($60^{\circ}C$, 혼합처리구)이었으나, 진행되지 못한 발효조($35^{\circ}C$, ethyl acetate)에서는 5.4로 나타났다. 7. 메탄발효폐액의 특성은 메탄발효가 잘 진행된 폐액의 COD 값이 컸으며, 전질소 함량은 낮았고, pH는 중성을 유지하였다.

  • PDF

Determination of Alisol B 23-acetate and Alisol C 23-acetate in Alismatis Rhizoma by HPLC-ESI-MS

  • Ahn, Mi-Jeong;Lee, Cheol-Ho;Shin, Yong-Wook;Chun, Man-Seog;Kim, Chul-Young;Kim, Jin-Woo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4권3호
    • /
    • pp.152-155
    • /
    • 2008
  • An HPLC-ESI-MS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identify and quantify two main tetracyclic triterpenes, alisol B 23-acetate and alisol C 23-acetate in the Alismatis Rhizoma (Taeg-Sa). The relative distribution of the two triterpenes in the methanolic extract of commercially available Alismatis Rhizoma was established by selective ion monitoring (SIM) mode via electrospray ionization (ESI) source. Regression equations revealed good linear relationship,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0.999 and 0.998 for alisol B 23-acetate and alisol C 23-acetate, respectively, between the peak areas of the components and their concentration in a range of $0.06-2.0{\mu}g/mL$.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alisol B 23-acetate and alisol C 23-acetate between Korean and Chinese origins. The results showed that this method could be used to identify the two components in Alismatis Rhizoma with high sensitivity and sele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