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검색결과 483건 처리시간 0.024초

재사용성 및 용이성을 위한 계층적 아바타 행위 스크립트 언어의 정의 (Definition and Application of a Layered Avatar Behavior Script Language for Reusability and Simplicity)

  • 김재경;최승혁;손원성;임순범;최윤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3권8호
    • /
    • pp.455-476
    • /
    • 2006
  • 아바타 스크립트 언어는 사이버 공간에서 아바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명령어들로 이루어져있다. 사용자가 아바타 동작 스크립트 언어를 쉽게 작성하기 위해서는 스크립트 언어의 행위표현이 복잡한 하위수준 동작 표현 요소로부터 최대한 추상화되어야 한다. 또한 작성된 시나리오 스크립트 가 다양한 구현환경에 적용 될 수 있는 표준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작업수준 행위, 상위수준 동작 및 기본 동작 스크립트 언어로 구성된 계층적 아바타 행위 표현 언어를 정의하였다. 각 계층의 언어는 사용자의 스크립트 작성을 위한 행위 요소와 아바타 동작 시퀀스 및 구현 환경의 기하 정보를 분리하여 표현한다. 제안 언어를 통하여 사용자는 추상화된 스크립트 작성이 가능하며 작성된 스크립트는 번역 과정을 거쳐 다양한 구현 환경에 적용이 가능하다 구현 결과에서는 제안 기법을 적용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이버 교육 도메인 환경에서 아바타 스크립트 시나리오의 작성 과정 및 스크립트가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에 유연하게 적용되는 것을 보여준다.

대화형 가상 현실에서 아바타의 립싱크 (Avatar's Lip Synchronization in Talking Involved Virtual Reality)

  • 이재현;박경주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9-15
    • /
    • 2020
  • 가상 현실(VR)에서 사용자와 동일한 아바타를 시각화하는 것은 몰입도를 증가시킨다. 가상 현실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여러 사용자들의 가상 소셜 네트워킹과 말하는 아바타를 포함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늘어난다. 보급형 가상현실 기기에서 사용자의 얼굴 전체와 몸 동작 캡처를 위한 디바이스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은 대화하는 얼굴과 몸을 나타내지 않는다. 우리는 오디오와 동기화되어 대화하는 가상 얼굴을 위해, 가상현실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우리의 시스템은 단일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자신과 동기화된 아바타를 실험한다. 단일 사용자 환경에서는 자신의 아바타를 미러링 하고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동기화된 대화 파트너를 시각화 하여 동기화된 대화 아바타의 구현한다. 우리는 사실적으로 대화하는 아바타가 동기화되지 않은 말하는 아바타나 보이지 않는 아바타보다 더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사용자 스터디로 검증한다.

3차원 가상착의 시스템을 활용한 남성용 커버롤 도장 작업복의 작업동작 적합성 평가 (The Evaluation of the Work Motion Suitability of Men's Coverall Type Painting Work Clothes Using 3D Virtual Clothing Simulation)

  • 박진아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4호
    • /
    • pp.63-84
    • /
    • 2020
  •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heavy industrial working environment factors which are regarded as harmful to workers' health and safety and suitable work motion factors for the workers' motion while developing the work clothes for painting workers in the machinery and shipbuilding industries. This study suggests the use of 3D virtual clothing simulations as a solution to protect the human body from hazardous working conditions accompanying the development of painting work clothes and assessing the work motion performance associated with the comfort while workers wear them during the work clothes. The initial aim of the study is to examine a male avatar to run work motions simultaneously within a 3D virtual clothing simulator, secondly, to present the simulation images of coverall type men's painting work clothes with the application of two experimental painting work motions and one control motion to the avatar, and finally, to present the distance analysis images of the painting work clothes and the avatar body and air gap rates through the analysis of cross-sections of the avatar body while wearing the coverall work clothes according to the work mo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stance degree of painting work clothes to the avatar body for each part of the human body when performing painting work motions. Moreover, 3D virtual clothing simulations enabled the creation of a male model avatar to run painting work motions together and the painting work clothes developed were found to be suitable for the painting work motions.

가상 아바타의 각막면에 비친 반사영상의 시각적 실재감에 대한 실감표현 요소 (Realistic Expression Factor to Visual Presence of Virtual Avatar in Eye Reflection)

  • 원명주;이의철;황민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9-15
    • /
    • 2013
  • 최근 가상환경에서는 실재감 있는 인간의 얼굴 모델을 설계하기 위하여 얼굴의 형태나 근육의 움직임과 같이 단순히 일반적인 표현요소를 중심으로 모델링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얼굴 자체의 외형적 요소 이외에도 외적 요소에 의한 얼굴 부분의 변화 인자는 가상 아바타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상 아바타의 각막면에 비친 반사영상(eye reflection)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시각적 실재감에 대한 반응을 평가한다. 실험결과, 각막면의 반사율을 크게 하여 반사영상이 뚜렷하게 나타난 경우 높은 실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새로운 시각적 실감표현요소를 제안하고, 제안된 실감표현요소의 구체적인 표현 범위를 제시함으로써 사실적인 가상 아바타를 설계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비자의 온라인 패션몰 아바타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신뢰가 아바타에 대한 성과기대 및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umers' Trust in Communication with Online Fashion Mall Avatars on Performance Expectancy and Re-use Intentions)

  • 구자성;김찬호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7-113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nsumers' trust in communication with online fashion mall avatars on performance expectancy and re-use intention. For the empirical study, 207 adults were survey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SPSS 21.0. The analysis reveal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factor analysis of trust in communication with the avatar, performance expectancy, and re-use intention revealed cognitive and affective trust as subfactors of the trust in communication with the avatar, while purchase choice expectations and performance expectancy were identified as subfactors of performance expectancy for the avatar. A total of five factors, including re-use intention, were recognized. Second, the trust in communication with online fashion mall avatars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performance expectancy for the avatar. Among the subfactors, cognitive trust was determined to have a greater influence on purchase choice expectations than affective trust. Third, the performance expectancy for the online fashion mall avatar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re-use intention. Notably, the subfactor performance expectancy had a greater influence than purchase choice expectations. Finally, trust in communication with online fashion mall avatars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re-use intention. Accordingly, the sub-factor cognitive trust had a greater influence on re-use intention than affective tru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at they empirically test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communication, performance expectancy, and re-use intention, consider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online fashion mall avatars on consumers using the Meta-UTAUT model in the fashion field.

아바타를 활용한 브랜드 개성의 시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of Brand Personality by Utilizing the Avatar)

  • 송민정;정경원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215-224
    • /
    • 2006
  •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브랜드 신뢰성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고객들은 브랜드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선택을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기업들이 경쟁사와 차별화 되며 신뢰성이 있는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려는 다양한 시도의 결과로 브랜드 개성이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브랜드 개성은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이라는 기업의 목적과 자신이 선택한 브랜드를 통해 자신의 이미지를 표현하려는 소비자의 목적을 동시에 만족시켜주는 수단이 되고 있다. 브랜드 개성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많은 학자들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그것을 명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시도를 전개했다. 그러나 대다수의 연구들은 측정과 데이터의 분식에 많은 노력과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 결과를 명확하게 시각화할 수 없는 언어적, 정량적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바타를 활용하여 새롭고 가시적인 브랜드 개성 측정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바타는 브랜드 개성을 시각화하는 효과적인 매체가 될 수 있다는 가정(假定)이 입증되었다. 아바타는 얼굴과 의복, 자세와 동작 등을 통해 인간의 개성을 나타내 줄 수 있으므로, 목적에 부합되도록 특별하게 디자인된 아바타는 법인(法人)의 특성을 대변하는 브랜드의 개성을 독창적으로 표현해 줄 수 있다. 둘째, 브랜드 개성이 여러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고, 그 분류가 브랜드 개성 아바타를 디자인하는 데 필요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 명확해졌다. 셋째, 특별하게 디자인된 브랜드 개성 아바타의 효용성을 실제로 활용하여 실험을 한 결과, 아바타가 구체적이고 직관적으로 브랜드 개성을 측정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성 검증 실험을 통해서는 아바타들이 브랜드 개성 유형을 적절하게 표현하고 있음을 밝혔으며, 특히 아바타를 이용하여 기존 브랜드들의 개성을 측정해 본 결과, 아바타가 언어보다 브랜드 개성의 판단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 PDF

$CAVE^{TM}$-like 시스템에서 시각 커뮤니케이션 지원을 위한 스테레오 비디오 아바타 (A Stereo Video Avatar for Supporting Visual Communication in a $CAVE^{TM}$-like System)

  • 이선민;박지영;김명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3권6호
    • /
    • pp.354-36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CAVE$^{TM}$-like 시스템에서 시각 커뮤니케이션 지원을 위한 고화질 스테레오 비디오 아바타 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CAVE$^{TM}$-like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를 둘러싸고 있는 스크린으로 투사되는 빛의 잦은 변화 때문에 비디오 아바타 생성에 필수적인 사용자 추출이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가시광선 차단 필터를 부착한 흑백 카메라로 획득된 적외선 반사 영상을 이용함으로써 스크린 상 빛의 변화를 차단하여 강건하게 사용자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사람의 양안차 간격으로 배치한 두 대의 컬러 카메라를 사용하여 삼차원 기하 정보의 재구성 없이 고화질 비디오 아바타를 빠르게 생성하고 입체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양안용 사용자 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영상에서 배경을 제거하기 위하여 적외선 반사 영상으로 정의된 실루엣 마스크와의 피팅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생성된 비디오 아바타 스테레오 영상은 가상공간 내 평면 상에 텍스처 매핑하여 프레임 순차 스테레오 방식를 이용하여 입체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된 방식은 기존의 3D 비디오 아바타보다 고화질의 결과를 빠르게 생성할 수 있으며, 2D 기반 방식에서 제공해주지 못하던 입체감을 제공해준다.

MMORPG 커스터마이징에서 젠더에 대한 플레이어 태도 연구 (Study on Player Attitudes Regarding Gender in the MMORPG Customization Process)

  • 백철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91-101
    • /
    • 2012
  • 아바타의 젠더는 MMORPG 플레이어의 아이덴티티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로서, 게임 특성상 플레이어가 스스로 창조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아바타 젠더에 관해 현실과는 다른 태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가상공간에서 젠더 커스터마이징은 자신을 보다 다양하게 표현하고자 하는 아이덴티티의 확장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다수의 유저들은 젠더스와핑된 아바타를 관리하고 있으며 특히 남성이 여성성의 아바타 페르소나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Q 방법론를 통해 플레이어의 젠더에 관한 태도를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젠더스와핑의 일반화 현상 및 동기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자료는 MMORPG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를 위한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얼굴특징자 정보를 이용한 인터넷 기반 얼굴관상 해석 및 얼굴아바타 자동생성시스템 (Facial Phrenology Analysis and Automatic Face Avatar Drawing System Based on Internet Using Facial Feature Information)

  • 이응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982-99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복합 칼라정보와 얼굴의 기하학적 정보를 이용한 인터넷 기반 얼굴관상해석 및 자동 얼굴 컨텐츠 생성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YCbCr과 YIQ 칼라모델의 Cr과 I 성분의 논리곱 연산처리로 얼굴영역을 검출하였다. 검출한 얼굴영역에서 얼굴의 기하학적 정보로부터 얼굴 특징자를 추출 하였으며 각 특징자들을 세부 분류하여 얼굴 관상을 해석하도록 하였다. 또한 제안한 시스템은 추출과 분류된 특징자로부터 개인의 얼굴에 가장 적합한 얼굴 아바타 컨텐츠를 자동 생성할 수 있게 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얼굴인식 방법에 비해 실시간 얼굴검출과 인식은 물론 정량적인 얼굴관상해석과 자동 얼굴 아바타 생성이 가능하였다.

  • PDF

3D 아바타 커뮤니티 표현을 위한 인터렉티브 가상현실 (A Interactive Virtual Reality for 3D Avatar Community Representation)

  • 원용태;이말례;곽훈성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99-104
    • /
    • 2007
  • 온라인 아바타 커뮤니티서비스를 위해서는 의사소통, 감정표현, 유행하는 춤 등을 자연스럽게 표현해야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야한다. 또한 공간이 동적이며 아바타의 움직임과 공간과의 상호 작용이 필요하며, 3D 아바타의 개발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아바타가 자연스러운 동작과 재미있고 다양한 동작과 가상공간의 인터렉티브가 함께 구현되어야 한다. 3D 아바타는 전자상거래를 위한 3차원쇼핑몰, 사이버 모델하우스, 3차원 시뮬레이션, 3차원 가상현실 게임 등의 폭넓은 영역에서 응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온라인 3D 아바타 커뮤니티서비스를 위해서 3D 아바타 애니메이션과 함께 인터렉티브 가상공간을 제작하고 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