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w) Emulsion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35초

복합비타민 유제의 제조와 평가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Mutivitamin Emulsion)

  • 이문석;조혜영;이용복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2권1호
    • /
    • pp.13-19
    • /
    • 2002
  • Water-lipid soluble multivitamin formulations were widely used to reduce the disease and stress of animals as husbandry has made a remarkable progress in recent. But the efficiency of these formulations is far from satisfactory. So, this study was attempted to develop the physically and chemically stable and useful multivitamin o/w emulsion. Multivitamin o/w emulsion composed of water, soybean oil (10%, v/v), vitamin A, D, E, K, $B_2,\;B_6,\;B_{12}$ and panthenol. To make a stable o/w emulsion, the egg lecithin (2%, w/v) and glycerin (2.5%, w/v) were used for emulsifier and thickening agent, respectively. The oil in water emulsion system was manufactured by microfluidizer and the physicochemical stability of this emulsion was evaluated. The average particle size and interfacial tension were measured. From the result of interfacial tension tested,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of the egg lecithin was 0.5% (w/v) and optimal concentration for the preparation of emulsion was 2% (w/v). The mean particle size was about $0.6\;{\mu}m$ which was suitable for injections. Short-term accelerated stability as physical stability study was tested by centrifuging and freeze-thawing the emulsion samples. The additions of vitamins resulted in the increment of particle size and reduction of physical stability of emulsion. But it is not an enormous problem for the stability of emulsion. Also, we have performed the long-period preservation stability test for the vitamins. All vitamins were analysed by HPLC. The result of storage under $4^{\circ}C$ and dark conditions demonstrated that all vitamins were maintained stable at least 16 weeks, except for vitamin $B_{12}$.

유화제의 구조에 따른 W/O 에멀젼의 특성 및 안정도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y and Stability of W/O Emulsion by Various Structures of Emulsifier)

  • 김운하;이광식;이건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9-131
    • /
    • 2012
  • w/o 에멀젼은 내수성이 뛰어나고 보습 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으므로 화장품에 많이 사용하지만 안정도가 좋지 않기 때문에 안정한 w/o 에멀젼을 만들기 위해서는 전해질의 농도, 오일의 극성 정도, 수상의 비율, 유화제의 농도 등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안정도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소 중에서 유화제의 구조에 따라 유화가능여부와 안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유화제를 구조적으로 polyglyceryl ester 계열, silicone 계열, sugar 계열 유화제 등으로 나누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유상에 사용되는 오일의 실리콘 함량을 다르게 하여 유화제의 유화 능력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를 참고하여 유화제에 따른 에멀젼의 입자, 점도의 경시 변화 등의 w/o 에멀젼의 특성을 찾아내고, 여러 조건에서 에멀젼의 안정도를 관찰하였다.

화장품 에멀젼: 입자에 의한 안정화 (Cosmetic Emulsions: Stabilization by Particles)

  • 조완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6
    • /
    • 2010
  • 본 총설에서는 나노미터 크기의 고체 입자가 오일-물 계면에 흡착됨으로써 안정화된 에멀젼의 제조와 성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에멀젼을 Pickering 에멀젼이라 하며 이 에멀젼을 계면활성제로 안정화된 일반적인 에멀젼과 비교하였다. Pickering 에멀젼의 독특한 성질은 입자의 계면 흡착 에너지가 큰 점에 기인하며 일반 에멀젼과 주요한 차이점은 고체 입자가 비가역적으로 계면에 흡착한다는 사실이다. Pickering 에멀젼의 전상은 w/o (water-in-oil) 타입에서 o/w (oil-in-water)로 수상의 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한다. 친수성의 입자는 o/w 에멀젼을 형성하는 경향을 보이고 친유성 입자는 w/o 에멀젼을 형성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고체 입자의 오일-물 계면에서의 접촉각에 따른다. Pickering 에멀젼의 안정성은 많은 부분에서 일반적인 에멀젼과는 다른 거동을 보였다. 저자는 또한 Pickering 에멀젼의 화장품 응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비이온 계면활성제, 유화안정제 종류에 따른 O/W 유화 제형의 유변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Rheological Properties of O/W Emuls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Nonionic Surfactant and Emulsion Stabilizer)

  • 최중석;진병석
    • 공업화학
    • /
    • 제30권4호
    • /
    • pp.415-420
    • /
    • 2019
  •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유화안정제가 O/W 유화 제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유화안정제 종류를 달리한 여러 제형을 만들어 이들의 유변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polysorbate 60 (Tween 60),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HCO 60), octyldodeceth-16 (OD 16), ceteareth-6 olivate (Olivem 800) 등을 사용하였고, 유화안정제로는 cetyl alcohol, glyceryl monostearate, stearic acid 등을 각각 사용하였다. Octyldodeceth-16을 사용한 유화 제형에서만 상분리가 일어나고 나머지 제형은 모두 안정한 상을 유지하였다. 계면활성제 ceteareth-6 olivate와 유화안정제 cetyl alcohol을 혼합 사용한 제형의 점도, 경도, 크림성 등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유화된 입자 사이즈도 가장 큰 값으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화 제형에 액정이 많이 생성되면서 네트워크 구조의 텍스처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이 제형에서는 탄성적 특성이 크게 나타나고 힘이 가해지는 이력에 따라 점도 값이 달라지는 씩소트로픽 현상이 나타났다.

글리시리직애씨드의 경피 전달을 위한 액정 에멀젼의 제조와 물리적 특성 및 In Vitro 피부투과 연구 (Preparation of Liquid Crystal Emulsion for Transdermal Delivery of Glycyrrhizic Acid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n Vitro Skin Permeation Studies)

  • 정진우;유차영;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15-32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양친매성물질인 $C_{12-20}$ 알킬글루코사이드, $C_{14-22}$ 알코올 및 베헤닐알코올로 구성된 액정 에멀젼을 제조하고 그 특성 및 in vitro 피부 투과 연구를 수행하였다. 액정 에멀젼의 배합비 실험 결과, $C_{12-20}$ 알킬글루코사이드 0.8%, $C_{14-22}$ 알코올 3.2% 및 베헤닐알코올 4%에서 선명한 액정 구조가 관찰되었다. 액정 에멀젼과 비교군으로 O/W 에멀젼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액정 에멀젼과 O/W 에멀젼의 점성은 각각 $1871.26{\sim}1.15Pa{\cdot}s$$1768.69{\sim}1.14Pa{\cdot}s$이었으며, 전단응력은 액정 에멀젼은 190.45 ~ 919.38 Pa, O/W 에멀젼은 178.68 ~ 909.18 Pa로 측정되었다. 저장 탄성률은 액정 에멀젼은 4487.82 ~ 8195.59 Pa, O/W 에멀젼은 3428.53 ~ 9157.45 Pa, 탄성에 대한 점성의 비인 tan (delta) 값은, 액정 에멀젼은 0.23 ~ 0.25, O/W 에멀젼은 0.43 ~ 0.19로 나타났다. 경피 수분 함량 측정 결과, 액정 에멀젼은 O/W 에멀젼에 비하여 사용 후 1 h부터 6 h까지 유의적으로 더 높은 피부 수분 함량을 나타냈으며, 경피 수분 손실에서는 30 min부터 4 h까지 유의적으로 수분 손실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글리시리직애씨드를 이용한 피부 투과 실험 결과, 24 h 동안 피부 투과량은 액정 에멀젼($64.58{\mu}g/cm^2$), O/W 에멀젼($37.07{\mu}g/cm^2$), 부틸렌글라이콜 용액($41.05{\mu}g/cm^2$) 순으로 나타났고, 시간별 투과능 관찰 결과는 8 h 이후부터 액정 제형에서 피부 투과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액정 에멀젼은 피부의 보습 효과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기능성 소재의 효율적인 피부 전달체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Antioxidant Activity of γ-Oryzanol and Synthetic Phenolic Compounds in an Oil/Water (O/W) Emulsion System

  • Kim, Joo-Sh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2권3호
    • /
    • pp.173-176
    • /
    • 2007
  • ${\gamma}-Oryzanol$ is one of the chain breaking antioxidants. Both sterol (triterpene) and phenolic hydroxyl groups in the structure of ${\gamma}-oryzanol$ may be responsible for its antioxidative function. We hypothesize that ${\gamma}-oryzanol$ is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the autoxida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than the synthetic phenolic compounds in an oil/water (O/W) emulsion system. The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gamma}-oryzanol$ and synthetic antioxidants was evaluated at different incubation times (0, 4, 8, 16, and 32 h) by measuring both the formation of hydroperoxides and the decomposition product of hydroperoxides (hexanal) in each emulsion system. Overall, the order of effectiveness of various antioxidants for inhibiting the formation of hydroperoxide in the O/W emulsion was: ${\gamma}-oryzanol$> tert-butylhydroquinone (TBHQ)>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O/W emulsion with selective lower concentrations of ${\gamma}-oryzanol$ showed better effectiveness than that with higher concentration of synthetic antioxidants. However, the ability of both ${\gamma}-oryzanol$ and synthetic antioxidants to decompose hydroperoxide was similar. ${\gamma}-Oryzanol$ was more effective antioxidant than the synthetic phenolic compounds in preventing the formation of hydroperoxide in the O/W emulsion system.

Poly(oxypropylene-oxyethylene glycol) Block Copolymer계 유분산제의 제조와 Weathering Crude Oil에 대한 W/O 에멀젼 특성 (Preparation of Poly(oxypropylene-oxyethylene glycol) Block Copolymers Oil Dispersant and Characteristics of W/O Emulsion to Weathering Crude Oils)

  • 강두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04-211
    • /
    • 2003
  • Poly(oxypropylene-oxyethylene glycol) block copolymer(PBC) oil dispersant, which has low toxicity, high biodegradability, and an excellent dispersion efficiency to crude oils and weathered W/O emulsion was prepared by blending PBC, poly(oxyethylene) oleate, and sorbitan monooleate. The dispersing efficiency was measured by swirling flask method. The PBC oil dispersant had an excellent dispersing efficiency to weathered oil products formed as stable W/O emulsion, and the low toxicity, such as 4000 ppm to Oryzias Latipes(24 hr, TLM), Brine Shrimp Artemia(24 hr, TLM).

화장품 제형에서 폴리옥시에틸렌 토코페릴에테르의 기능 (The Functions of Polyoxyethylene Tocopherylethers in the Formulations of Cosmetics)

  • 김영대;김창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8-126
    • /
    • 1993
  • 유화, 가용화, 겔화 등의 화장품 제형에서 폴리옥시에칠렌 토코페릴에테르의 기능에 대해 연구하였다. Liquid paraffin의 유화에 있어서 POE(10)TE는 O/W 유화에서 우수한 유화능을 나타내었다. W/o 및 O/W 유화에서 oil 과 polyol 류의 함량 증가가 점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O/W 유화에서 점도는 liquid paraffin 약 70% 함량에서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propylene glycol 첨가시는 약간의 증가만 나타내었다. 그러나 W/O 유화에서 점도는 liquid paraffin의 함량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고, propylene glycol함량 증가에 대해서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erfume oil의 가용화에 있어서 POE(18)TE는 우수한 가용화능을 나타내었다. Poe(n)TE의 gelling effect는 폴리옥시에칠렌의 사슬의 증가에 따라 50 mol 까지는 상승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 PDF

D상 유화물을 이용한 W/O 유화물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W/O Emulsion by D Phase Emulsification)

  • 김형진;정노희;윤영균;박관선;남기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5-32
    • /
    • 1998
  • The emulsion stability of W/O emulsion prepared by D phase emulsification during storage and handling is studied by using phase diagrams. The process of D phase emulsification begins with the formation of isotropic surfactant solution, followed by formation of oil-in-surfactant (O/D) gel emulsion by dispersion of octamethylcyclotetrasiloxane(OMCS) in the surfactant solution. Polyols were essential components for this purpose.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polyols, the solution behavior of nonionic surfactant/oil/water/polyol systems were investigated by the ternary phase diagrams of polyoxyethylene oleyl ether/OMCS/propylene glycol(PG) aqueous solutions. The addition of PG increased the solubility of oil in the isotropic surfactant phase. D phase emulsification method has been applied to a new type of cosmetics. By using this emulsification technique, O/W emulsion were formed without a need for adjust of HLB. Fine and stable W/O emulsions were prepared by D phase emulsion.

감성공학을 적용한 다중에멀젼 선블록크림의 자외선차단(UVA/B) 효과와 내수성 평가 연구 (A Study of Waterproofing Evaluation and Effect of UV Protection (UVB/UVA) of Multiple Emulsion Sunblock Cream using Sensory Engeeneering Science)

  • 김인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517-1527
    • /
    • 2020
  • 이 연구는 감성공학을 적용한 다중에멀젼(W/O/W) 선블록크림의 자외선차단효과와 내수성에 관한 것으로 실제 공업화된 사례를 보고한다. 다중에멀젼 시스템의 선블록크림을 개발하여 바를 때는 부드럽고 촉촉한 사용감을 가지면서, 흡수 후에는 내수성이 우수한 W/O 타입으로 변화하는 특징이 있다. 다중에멀젼 크림은 촉촉함과 내수성을 동시에 가진 고기능성 선블록크림으로 안정한 유백색의 크림, 점도는 36,000cps이었다. 자외선차단크림에 사용된 유기계 선스크린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이다. UVB와 UVA를 모두 차단하는 헥사고날 징크옥사이드와 티타늄다이옥사이드의 무기계 선스크린으로 처방하였다. In-vitro법으로 자외선차단효과를 측정한 결과 자외선차단효과(SPF)는 다중에멀젼 크림은 78.9, W/O크림은 76.7, O/W크림은 71.3으로 동일종류와 함량을 포함해도 제형에 따라 자외선 차단효과는 다르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다중에멀젼에서 가장 높은 효과의 수치를 얻었다. 자외선차단효과의 임상 (in-vivo)결과로써 다중에멀젼 시스템으로 개발한 선블록크림의 자외선차단효과를 나타내는 SPF 값은 85.7이었으며, UVA영역을 차단해 주는 PA값은 26.5로, ++++에 해당하는 높은 차단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내수성시험결과로써, W/O/W 제형은 4시간경과 후에도 93.8%의 높은 내수성을 가지고 있었고, W/O는 75.4%, O/W는 25.3%의 낮은 내수성을 가지고 있었다. 사용감 HUT테스트 결과에서도 다중에멀젼 선블록크림>친수성크림>친유성 크림 순으로 나타났다. 이 다중에멀젼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용감, 자외선 차단지수, 내수성을 모두 높여 레포츠야외활동 전용의 선블록 크림으로 활동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