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 Paeku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백운산 지역에서 계류수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양어장의 영향(II) (Influences of Fish Farm on the Physicochemistry of Stream Water Quality in (Mt.) Paekun Area(II))

  • 박재현;우보명;김우룡;안현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2-40
    • /
    • 2001
  • Quantifications of fish farm influences on stream water quality may provide basic informations on watershed management to reduce environmental impact due to fish farm development and to conserve stream water quality in forested watershed area. In this research stream water qualities around Mt. Paekun area were monitored seasonally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Due to the increase of pH in effluent water from the fish farm it was believed that alkalization of stream water can be accelerated by large scale development of fish farms in the forested watershed area. Negative effects on stream water quality were observed by indications of increase i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emperature of effluent water from the fish farm. Decreases in physicochemical indices such as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percentage of dissolved oxygen, total amount of cation, total amount of anion and total amount of ion in effluent water from the fish farm were also negative aspects in downstream ecology. It is recommended that water purification system as well as eco-friendly fish farm design should be incorporated to large scale fish farm development plan in forested watershed area.

  • PDF

백운산 지역에서 계류수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양어장 개발의 영향 (Influences of Fish Farm Development on the Physicochemistry of Stream Water Quality in (Mt.) Paekun Area)

  • 박재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54-63
    • /
    • 1999
  • Quantifications of fish farm influences on stream water quality may provide basic informations on watershed management to reduce environmental impact due to fish farm development and to conserve stream water quality in forested watershed area. In this research stream water qualities around (Mt.) Paekun area were monitored by season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Due to the increase of pH in effluent water from the fish farm it was believed that alkalization of stream water can be accelerated by large scale development of fish farms in the forested watershed area. Negative effects on stream water quality was also observed by indications of increase i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emperature of effluent water from the fish farm. Decreases of physicochemical indexes such as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percentage of dissolved oxygen and total amount of ion in effluent water from the fish farm were also negative aspects in downstream ecology. It is recommended that water purification system as well as eco-friendly fish farm design be incorporated to large scale fish farm development plan in forested watershed area.

  • PDF

백운산의 삼림식생과 토양환경 (Forest Vegetation and Soil Environment on Mt. Paekun)

  • 이호준;배병호;정흥락;전영문;홍문표
    • 환경생물
    • /
    • 제17권1호
    • /
    • pp.35-50
    • /
    • 1999
  • 백운산의 삼림식생과 토양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식물사회학적 조사방법에 의하여 삼림식생을 분류하고, 각 군락의 구조적 특성을 밝혔으며, 토양환경을 조사하였다. 삼림식생은 신갈나무군락(전형 하위군락, 철쭉꽃하위군락), 굴참나무군락, 물푸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등 4개의 자연군락과 일본잎갈나무식재림, 잣나무식재림 등 2개의 식재림으로 분류되었다. 식생의 계층구조는 매우 발달한 편으로 신갈 나무군락은 백운산의 거의 전역에 걸쳐 표고 500m이상부터 분포하고, 굴참나무군락은 주로 남동-남서 사면의 고도 325~700 m, 소나무군락은 표고 290~700 m, 물푸레나무군락은 표고 600 m 이상의 계곡 주연부에 주로 분포하였다. DBH분포는 신갈나무가 6~10cm급, 굴참나무가 11~15cm급, 소나무가 26~30 cm급, 물푸레나무가 2~5 cm급, 일본잎갈나무가 11~15 cm급, 잣나무가 11~15 cm급에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토양환경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으며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의 토양함수량은 17.81~51.20%, 16.24~25.41%, 16.17%, 19.16~39.26%로 각각 나타나 신갈나무군락의 토양함수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신갈나무군락의 유기물함량은 5.51~14.90%로 다른 군락보다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N, P, K에서도 유사하였으나 Ca, Mg, CEC는 다른 군락보다 낮게 측정되었으며, 양이온치환능과 pH는 $Y_{CEC}$=15.855X$_{ph}$ -56.037의 상관으로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백운산의 대부분의 면적을 점유하고 있는 신갈나무림은 2차림으로써 인위적인 방해로부터 점차 식생이 회복되고 있으며 소나무림-굴참나무림-신갈나무림으로의 천이경로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성숙임목수확벌채가 토양의 화학성분과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imber Harvesting on Soil Chemical Ingredients and Stream Water Quality)

  • 박재현;우보명;김우룡;안현철;김재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1호
    • /
    • pp.9-15
    • /
    • 2000
  • 이 연구는 성숙활엽수림 개벌수확지에서 벌채로 인한 토양의 화학성분 및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할 목적으로 1993년부터 1998년까지 전남 광양 백운산 지역 천연활엽수림 벌채지(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남부연습림내 제 26 임반)에서 수행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1993년에 벌채한 13ha의 벌채지와 이와 연접한 비벌채지를 조사?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이 조사지 에서 1993년부터 1998 년까지 토양의 화학성분과 계류수질을 측정?분석한 결과, 벌채후 1년, 2년이 경과되는 동안 전질소, 치환성 이온인 K/sup +/, Na/sup +/, Ca/sup 2+/, Mg/sup 2+/은 벌채전 보다 양적으로는 감소하였으며, 벌채후 5년이 경과된 뒤에는 벌채 2년 경과후 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토양의 화학성분은 변화하지 않았다. 또한, 벌채 당해년도와 그 다음 해,그리고 벌채후 5년이 경과되었을 때 벌채지 계류수의 BOD, pH등은 하천수질환경기준에 의한 상수원수 1급 기준에 도달하였으며, Cd, Pb, Cu 둥 중금속과 유기인은 검출되지 않았다 계류수의 색도, 탁도, 냄새, 맛, NH/sub 4//sup +/-N, NO/sub 3//sup -/-N, 일반세균수, 대장균군 둥 8개 항목은 먹는 물 수질기준에 적합하여 벌채지 인근지역 주민들이 음용수로 이용하는 데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계류수질평가항목 중 BOD는 벌채후 1년, 2년이 경과되는 동안 하천수질환경기준에 의한 상수원수 1급 기준의 최고치인 1 ppm에 도달하는 둥 수질이 악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대규모 산림 벌채계획은 계류수질보전 을 고려하여 시행하여 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