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tic Acid + Butyric Acid)/Propionic Acid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6초

형상이 다른 메주로 제조한 재래식 간장 중의 유기산과 지방산 조성 (The Contents of Organic Acid and Fatty Acid in Traditional Soy Sauce Prepared from Meju under Different Formations)

  • 서정숙;이택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06-211
    • /
    • 1995
  • Three kinds of soy sauce were prepared using the brick type of conventional menu(A), the brick type of meju of Aspergillus oryzae (B) and the grain type of menu Aspergillus oryzae (C). Organic acid and fatty acid were analyzed In accordance to aging time of those products Citric acid, lactic acid, acetic acid, malonic acid, butyric acid, oxalic acid, and propionic acid were dejected in all kinds of soy sauce. The content of lactic acid was shown higher than those of any other organic acids. The content of lactic acid was much higher at beginning of preparation and at 180 days in soy sauce B than any other conditions. The content of acetic acid was much higher at beginning of preparation, at 120 days in soy sauce C and at 180 days in soy sauce B than any other conditions. The content of citric acid was highest at beginning preparation in soy sauce C, and that was highest in soy sauce B except beginning preparation to 120 days. Myristic, palmitic, stearic, oleic, linoliic, linolenic, arachidonic acid were detected in all kinds of soy sauce after 180 days. The content of oleic acid were shown 32.59∼53.79% in soy sauce B and in soy sauce C. The content of stearic acid was shown 49.7oA In soy sauce A. Linolinec acid and arachidonic acid were detected in only soy sauce C.

  • PDF

제지(製紙)슬러지의 시용(施用)이 논 토양(土壤)의 화학성(化學性)과 수도생육(水稻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IV. 슬러지시용(施用)이 토양중(土壤中) 휘발성저급지방산변화(揮發性低級脂肪酸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aper Sludge Application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Paddy Soil and Growth of Paddy Rice;IV. Effects of Paper Sludge Application on the Seasonal Variations of Volatie Lower Fatty Acids in Paddy Soil)

  • 허종수;김광식;하호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4-42
    • /
    • 1988
  • 제지(製紙)슬러지의 시용량(施用量)을 300, 600, 900 및 1,200kg/10a으로 달리하고 각(各) 시용수준별(施用水準別) C/N율(率)을 30 : 1로 조절(調節)하여 Pot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함으로써 토양중(土壤中) 휘발성저급지방산조성(揮發性低級脂肪酸組成)을 시기별(時期別)로 조사(調査)하였다. 그리고 제지(製紙)슬러지의 분해양상(分解樣相) 및 토양중(土壤中) $CO_2$발생량(發生量)을 경시적(經時的)으로 조사(調査)하였으며, 토양중(土壤中) 휘발성지방산함량(揮發性脂肪酸含量)과 수도(水稻)의 무기성분흡수(無機成分吸收)와의 관계(關係)등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제지(製紙)슬러지 시용후(施用後) 120일간(日間)의 분해율(分解率)은 $35{\sim}44%$, C/N율(率)은 $55{\sim}82$였다. 2. 토양중(土壤中) $CO_2$발생량(發生量)은 슬러지의 시용량(施用量)이 많을수록 증가(增加)하였으며 $CO_2$발생량(發生量)과 슬러지의 분해율(分解率) 및 토양중(土壤中) 휘발성방린산함량(揮發性肪燐酸含量)과 고도(高度)의 유의적(有意的)인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3. 토양중(土壤中) 휘발성지방산(揮發性脂肪酸) acetic, propionic, i-butyric, butyric, i-valeric 및 valeric acid의 6종(種)이 동정(同定)되었으며, 그 함량(含量)은 슬러지의 시용량(施用量)이 많을수록 증가(增加)하였고, 슬러지시용후(施用後) 25일경(日頃)이 가장 높았으며 그후 시일(時日)이 경과할수록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4. 토양중(土壤中) 휘발성지방산(揮發性脂肪酸)은 수도(水稻)의 초기생육(初期生育)을 억제(抑制)하였으며 벼이앙후(移秧後) 25일(日)의 토양중(土壤中) acetic, propionic, i-valeric acid 함량(含量)과 수도(水稻)의 질소(窒素), 린산(燐酸), 칼리, 석탄고토(石炭苦土) 및 규산흡수량간(珪酸吸收量間)에는 유의적(有意的)인 역상관(逆相關)이 있었고, butyric acid 함량(含量)과 린산(燐酸) 및 석탄흡수량간(石炭吸收量間)에도 같은 경향(傾向)이었다. 5. 이앙후(移秧後) 25일(日)의 토양중(土壤中) 총휘발성지방산함량(總揮發性脂肪酸含量)은 토양중(土壤中) $Fe^{++}$$Mn^{++}$ 함량(含量)과 유의적(有意的)인 정의(正) 상관(相關)이 있었으며 $Fe^{++}$ 함량(含量)은 특히 acetic acid 함량(含量)과 고도(高度)의 유의적(有意的)인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 PDF

Milk Yield and Its Fat Content as Affected by Dietary Factors: A-Rewiew

  • Sawal, R.K.;Kurar, C.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3호
    • /
    • pp.217-233
    • /
    • 1998
  • Milk yield and its composition is governed by level of nutrition and the composition of diet. Higher concentrate input improves milk yield, whereas its input at moderate levels improves yield of milk fat. High level of dietary protein improves dry matter intake and milk production, however, CP content above 14% has less advantage. Milk yield is enhanced by the feeding of cottonseed and soyabean meal, whereas milk fat increases by the supplementation of cottonseed. Dietary fat increases energy intake, production of milk and milk fat. Quality and quantity of feeds consumed affect fermentation patterns in rumen. Among the rumen metabolites, volatile fatty acids (VFA) content and propionate proportion have been related positively with milk yield, whereas proportion of acetate and butyrate have been related positively with milk fat content. Dietary carbohydrates through the source of sugar, starch, roughage and fibre affect VFA concentration in rumen. Therefore, concentration of volatile fatty acids could be altered to the advantage of consumer through judicious manipulation of diet.

농축산(農畜産) 폐기물(廢棄物) 처리(處理)를 위(爲)한 저온내성(低溫耐性) 메탄 생성균(生成菌)의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저온내성(低溫耐性) Clostridia 의 분리(分離) (Study on Low Temperature Tolerant Methane-Producing Bacteria for the Treatment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Wastes)

  • 정광용;김재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11-320
    • /
    • 1994
  • 농축산(農畜産) 폐기물(廢棄物)의 혐기적(嫌氣的) 처리공정(處理工程)에 적용하기 위하여 아한대(亞寒帶) 지역(地域)으로 부터 분리(分離)한 clostridia의 생화학적(生化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Cellulose 배지로 저온(低溫)에 집적배양(培養)한 결과 $CH_4$ 생성이 왕성(旺盛) 하였던 늪지 퇴적물(堆積物)(Canada, $56.9^{\circ}N$), 호수퇴적물(堆積物) Ⅳ(Canada, $55.0^{\circ}N$) 그리고 갯벌흙 Ⅱ(Korea, $37.0^{\circ}N$)에서 산생성능(酸生成能)이 우수하고 동시에 메탄을 생성하는 Clostridia, 즉 Clostridium botulinum SRC-64, Clostridium scatologens SRC-91 및 Clostridium tyrobutyricum SRC-100 을 각각 분리(分離)하였다. 분리(分離)된 clostridia 3균주(菌株)의 최적(最適) 생육온도(生育溫度)는 $37^{\circ}C$이었고 최저(最低) 생육온도(生育溫度)는 $10^{\circ}C$ 정도 이었으며, 그리고 이들 균주(菌株)는 특이적 메탄 생성균(生成菌)의 조효소(組酵素)인 $F_{420}$을 함유 하였다. 2. 포도당의 혐기분해(嫌氣分解) 생성물(生成物)로서 SRC-64 는 $H_2$, acetic, isovaleric, caproic acid 를 생성(生成)하였으며, SRC-91 은 $H_2$, propionic, butyric, valeric, caproic acid 를, SRC-100 은 acetic 과 propionic acid 를 주로 생성(生成) 하였다. 또한 3 균주(菌株) 모두 $13^{\circ}C$, 2 일(日) 배양조건(培養條件)에서 2.6-8.68 n moles/ml 범위(範圍)의 $CH_4$ 생성능력(生成能力)을 나타냈다.

  • PDF

알코올 및 휘발성 유기산류가 뽕나무버섯의 균사속 생산에 미치는 영향 (Alcohols and Volatile Organic Acids as Stimulants of Rhizomorph Production by Armillaria mellea)

  • 홍재식;김명곤;이재홍;김형무
    • 한국균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58-163
    • /
    • 1990
  • 천마와 뽕나무버섯의 공생관계를 검토해 보고자 천마 중에 존재할 것으로 추측되는 저분자의 휘발성 성분들로 알코올류와 휘발성 유기산들이 뽕나무버섯의 균사속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고 또한 천마 중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산의 존재를 GC로 확인하였다. 각종 알코올류와 휘발성 유기산류 중 acetic acid와 methanol을 제외한 성분들은 뽕나무버섯의 균사속 생육을 촉진하였는데 이 중, 가장 큰 효과를 보인 것은 valeric acid와 ethanol이었으며 valeric acid는 0.1%(v/v)에서 ethanol은 1%(v/v) 수준의 농도에서 효과가 있었다. 이들 화합물들은 3일 간격으로 보충할 경우는 이 농도보다 훨씬 낮은 0.01%(v/v)에서 양호한 촉진효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천마 중에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산류를 GC로 분석한 결과 propionic, iso-butyric, butyric, iso-valeric, valeric, iso-caproic, caproic 및 heptano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중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는 것은 valeric acid 이었다.

  • PDF

재래식과 공장산 고추장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Commerci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 김영수;권동진;오훈일;강통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17
    • /
    • 1994
  • 6개월 숙성된 재래식 고추장과 시판 중인 공장산 고추장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공시된 고추장은 순창지역의 찹쌀고추장 18종, 보은지역의 10종의 보리고추장, 사천 지역의 밀 고추장 17종 및 공장산 고추장 10종이었다. 재래식 고추장의 유리당 함량은 대체로 공장산 고추장의 1/4 수준이었으며 주요 유리당은 glucose로 나타났고 이밖에 fructose, maltose sucrose가 검출되었다.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을 비교해 보면 공장산이 1,089mg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사천, 순창, 보은 고추장 순으로 각각 554, 498, 266mg이었다. 각 고추장에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유리아미노산은 순창 고추장에서는 serine, 보은 및 사천고추장에서는 aspartic acid, 공장산 고추장에서는 glutamic acid로 나타났다. 재래식 고추장에서 발견되는 휘발성 유기산으로는 acetic aicd, propionic acid, butyric acid 및 3-methyl butanoic acid가 검출되었으나, 공장산 고추장에서는 이 중 3-methyl butanoic acid가 검출되지 않았다. 함량면에서 aceticacid가 가장 많은 유기산으로 나타났으며 재래식 고추장에서 함량상 중요한 비휘발성 유기산은 lartic, oxalic, succinic acid이며 공장산 고추장에서는 이외에 itaconic, malic, malonic, pyroglutamic acid가 미량 검출되었다.

  • PDF

저장(貯藏)간장의 생화학적(生化學的) 연구(硏究) (The Biochemical Studies on Stored Soy-sauce)

  • 장지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9권
    • /
    • pp.9-27
    • /
    • 1968
  • 12년(年) 묵은 개량식(改良式) 간장과, 20년(年) 묵은 재래식(在來式) 간장 및 7년(年)묵은 재래식(在來式) 간장에 대(對)하여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을 분석(分析)하고 microflora를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간장 맛에 영향을 주는 일반성분(一般成分)의 분석결과(分析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a) 오래 묵은 간장일수록 재래식(在來式) 및 개량식(改良式) 간장을 불문(不問)하고 맛을 좌우(左右)하는 성분(成分)인 유기산(有機酸), 유리환원당(遊離還元糖) 및 유리(遊離) 아미노산(酸)의 함량(含量)이 증가(增加)되었다. b) 유기산(有機酸)에 있어서 오래 묵은 간장일수록 비휘발성(非揮發性) 유기산(有機酸)은 증가(增加)하고 휘발성(揮發性) 유기산(有機酸)은 감소(減少)하며, 총산(總酸)은 비휘발성(非揮發性) 유기산(有機酸)에 의(依)하여 지배(支配)되어 있음을 알았다. c) 식염농도(食鹽濃度)는 오래 묵은 간장일수록 감소(減少)되었다. 2. 저장(貯藏)간장중(中)의 microflora를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a) 일반세균(一般細菌)은 묵은 간장중(中)에서 pH의 강하(降下) 및 식염농도(食鹽濃度)의 영향(影響)으로 생존(生存) 불능(不能) 상태(狀態)였다. b) 내염성(耐鹽性) 유산균(乳酸菌)은 저장(貯藏)함에 따라 식염농도(食鹽濃度)는 강하(降下)하기는 하나 pH의 강하(降下)로 거의 생존(生存)이 불능상태(不能(狀態)였다. c) 내염성효모(耐鹽性酵母)는 묵힐수록 어느 시기 이후는 식염농도(食鹽濃度)의 강하(降下) 및 pH 직강하(直降下)로 생존(生存)됨을 알았다. 3. Paper chromatography 및 colorimetry에 의(依)하여 유리(遊離) 아미노산(酸)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a) 재래식(在來式) 간장에 있어서 7년(年)묵은 간장에 대하여 20년(年) 묵은 간장중에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 serine, valine, leucine, lysine, histidine, methionine이 증가(增加)하였고, alanine, tyrosine phenylalanine, cystine이 감소(減少)하였다. b) 개량식(改良式) 간장에 있어서는 colorimetry로 정량(定量)된 산(酸)의 양적(量的)인 변화(變化)는 햇간장에 대하여 12년(年)된 간장중의 methionine, tyrosine, histidine는 감소(減少)하고, phenylalanine는 증가(增加)하며 cystine는 별차(別差) 없었다. 4. Paper chromatography에 의하여 유리당류(遊離糖類)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a) 12년(年)묵은 개량식(改良式) 간장중(中)에서 galactose, glucose, arabinose, xylose, rhamnose, maltose, unknown 1를 검출(檢出)하였고, 정량(定量)한 당류(糖類)의 함량(含量)은 maltose와 미지당(未知糖)을 제외(除外)하고 이상(以上)의 순위(順位)와 같았다. b) 20년(年), 7년(年) 묵은 재래식(在來式) 간장에서 galactose, arabinose, xylose, glucose, rhamnose를 다같이 분리(分離)하였으며 그들의 함량(含量)은 이상(以上)의 순위(順位)와 같았다. c) 7년(年) 및 20년(年) 묵은 재래식(在來式) 간장중(中)에서 햇간장중(中)에 별로 없든 glucose가 생성(生成)되었다. 5. Paper chromatograhpy에 의하여 유기산(有機酸)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a) Volatile acid i) 7년(年) 묵은 재래식(在來式) 간장중(中)에서 acetic acid, propionic acid, butyric acid를 분리(分離)하였으며, acetic acid가 제일 많았다. ii) 20년(年)된 재래식(在來式) 간장과, 12년(年)된 개량식(改良式) 간장중(中)에는 acetic acid가 주로 많았고, propionic acid, butyric acid는 흔적 정도(程度)로 분리(分離)되었다. iii) 간장은 오래 묵힐수록 고린냄새의 한성분(成分)인 propionic acid, butyric acid가 격감(激減)함을 알았다. b) Non-volatile acid i) 재래식(在來式) 간장에 있어서는 묵힘에 따라 생성(生成)된 것은 citric acid이고, 증가(增加)된 것은 lactic, malic, tartaric acid이고 감소(減少)된 것은 succinic, glycolic, fumaric, malonic acid이며 소실(消失)된 것은 glutaric, oxalic acid이다. ii) 개량식(改良式) 간장에 있어서는 묵을수록 생성(生成)된 것은 citric acid이고, 증가(增加)된 것이 latic, tartaric acid이며, succinic, malic, glycolic acid는 감소(減少)하였고 malonic, glutaric acid는 소실(消失)되었다. iii) 묵은 간장중(中)의 citric acid의 생성(生成)은 간장 맛을 좋게하는 인자(因子)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c) ${\alpha}-Keto$ acid i) 모든 묵은 간장중(中)에서 pyruvic, ${\alpha}-ketoglutaric$, acetoacetic(추정(推定)), oxaloacetic(추정(推定)) acid를 분리(分離)하였으며 양적(量的)인 순위(順位)는 pyruvic acid, ${\alpha}-ketoglutaric$ acid이고, 기타는 흔적 정도(程度)였다. ii) 모든 ${\alpha}-Keto$ acid는 간장이 묵을수록 격감(激減)함을 알았다.

  • PDF

기계식 탄화로와 재래식 토요를 이용하여 제조한 죽초액의 이화학적 특성: 식품처리제로서의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amboo Smoke Distillates Processed by Mechanical Steel Kiln and Traditional Earth Kiln)

  • 이범수;은종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1-256
    • /
    • 2002
  • 벌채 직후의 신선한 왕대(Phyllostachys bambuoides sieb. et zucc.)를 기계식 탄화로와 재래식 토요를 이용하여 탄화시키고 여기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10$0^{\circ}C$ 전후에서 냉각시켜 얻은 각각의 조죽초액을 12개월간 정치하여 타르성분을 분리한 다음 중간부위를 취하여 죽초액의 일반특성과 성분조성을 조사하였다. 기계식 죽초액은 비중, 투과도, 굴절을 및 점도가 각각 1.008, 89.05%, 1.357%, 12.48 cp이었고 재래식 죽초액의 경우는 1.012, 98.33%, 1.34%, 9.09 cp이었다. 색깔은 재래식 죽초액이 기계식 죽초액에 비하여 더 맑고 투명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pH와 총유기산, 용해타르 및 작열잔사의 함량은 기계식 죽초액이 각각 3.55, 2.83%, 2.803%, 0.671%이었고 재래식 죽초액이 각각 2.93, 3.47%, 0.051%, 0.004%이었다. 죽초액의 성분조성에 대한 조사에서 두 가지 경우의 죽초액이 모두 페놀성 성분은 주로 phenol, o-cresol, p(m)-cresol, guaiacol(2-methoxy phenol) 등이 검출되었고 유기산 성분은 주로 acetic acid, propionic acid, iso-butyric acid, n-butyric acid등이 검출되었으며 알코올성분으로 methanol, furfuryl alcohol 및 maltol이 검출되었다. 페놀류와 알코올류의 함량은 기계식 죽초액의 편이 더 많고 유기산은 재래식 죽초액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기질에 따른 미생물 전해 전지-혐기성 소화의 미생물 군집 특성 (Effect of Substrates on the Microbial Communities in a Microbial Electrolysis Cell and Anaerobic Digestion Coupled System)

  • 이채영;한선기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269-275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icrobial communities in coupled system of a microbial electrolysis cell and an anaerobic digestion. Glucose, butyric acid, propionic acid and acetic acid were used as substrates. The maximum methane production and methane production rate of propionic acid respectively were $327.9{\pm}6.7mL\;CH_4/g\;COD$ and $28.3{\pm}3.1mL\;CH_4/g\;COD{\cdot}d$, which were higher than others. Microbial communities' analyses indicated that acetoclastic methangens were predominant in all systems. But the proportion of hydrogenotrophic methanogens was higher in the system using propionic acid as a substrate when compared to others. In coupled system of a microbial electrolysis cell and anaerobic digestion, the methane production was higher as the distribution of hydrogen, which was generated by substrate degradation, and proportion of hydrogenotrophic methanogens was higher.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Production of Free Organic Acids during Kimchi Fermentation

  • Park, Young-Sik;Ko, Chang-Young;Ha, Duk-M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권4호
    • /
    • pp.266-269
    • /
    • 1993
  • The production of free non-volatile and volatile organic acids in Kimchi during fermentations at 30, 20 and $5^{\circ}C$, were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The order in the amount of non-volatile organic acid, soon after preparation, was malic, citric, tartaric, pyroglutamic, oxalic, lactic, succinic and ${\alpha}-ketoglutaric$ acids. The major non-volatile acids at the optimum ripening time were malic, tartaric, citric and lactic acids, and as the temperature was lowered, the amount of lactic, succinic, oxalic, pyroglutamic and fumaric acids increased, while that of malic and tartaric acids decreased. The order in the amount of volatile acids at the beginning was acetic, butyric, propionic and formic acids. Among these acids, acetic aci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its amount during fermentation and the Kimchi fermented at low temperature produced more acetic acid than that fermented at high tempera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