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B_1)$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7초

효소면역측정법에 의한 국내산 된장과 고추장 중 Aflatoxin B1의 오염도 조사 (Survey of Aflatoxin B1 in Domestic Doenjang and Kochujang Determined by Enzyme Linked-Immunosorbent Assay)

  • 배수익;곽보연;박윤경;김영호;손동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95-100
    • /
    • 2003
  • 된장과 고추장에 대해 cdELISA에 의한 $AFB_1$의 분석방법을 확립하고 국내에서 생산되는 재래식 및 개량식 된장과 고추자을 수거하여 $AFB_1$의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표준곡선을 작성하였을 때, 이의 검출 한계는 0.2 ng/m(ppb)이었다. 된장의 Spike test 후 회수율은 1~100 ng/g 범위에서 평균 71.5%로 나타나 이 범위에서 cdELISA에 의한 $AFB_1$의 측정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이로부터 된장 및 고추장에서 cdELISA를 통한 $AFB_1$의 분석 방법을 확립하였다. 된장 및 고추장 시료의 $AFB_1$의 오염도는 총 30종의 고추장 시료에서는 $AFB_1$이 검출되지 않았고 총 30종의 된장 시료 중 6종에서 1.0~6.0 ng/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는 우리 나라의 허용 기준인 10 ng/g(ppb) 이하였다.

Vitamin C가 방사선과 Aflatoxin $B_1$을 투여한 흰쥐의 간 기능 효소 활성 및 간 손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Vitamin C on the Activity of Liver Enzymes and Hepatic Damage in Rats Treated with Radiation and Aflatoxin $B_1$)

  • 강진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0-38
    • /
    • 2010
  • Aflatoxin은 Aspergillus 속 곰팡이로부터 생성되며, 사람에게 있어서 간독성 및 간암을 유발하는 잠재력을 가진 곰팡이 독소이며, 지질과산화 반응은 aflatoxin $B_1$에 의한 세포 산화적 손상 시 발생하는 주요 현상 중의 하나이다. 방사선은 수술, 항암약물요법과 더불어 임상 시 중요한 치료 방법이나, 정상세포에 방사선을 조사하였을 때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와 과산화라디칼($OH^*$)을 생성하여 세포막의 불포화 지방산을 지질 과산화물로 변성시켜 세포 산화적 손상을 일으킨다. 본 연구는 곡류를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경우, aflatoxin $B_1$에 노출되기 쉽고 이들 중 일부는 위, 간, 담도 암과 같은 상복부 암으로 진단되어 간을 포함하는 부위에 대해 방사선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경우를 생각하여 흰쥐에게 aflatoxin $B_1$을 투여하거나 방사선과 aflatoxin $B_1$을 병합 처리하여 vitamin C가 간독성 유발요인과 연관된 간 기능 효소들의 변화와 전자현미경 실험에 의한 형태학적 관찰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X-ray 조사는 실험기간 내 단 1회로 실험사육기간 첫 일에 조사하였고, X-ray 조사 후 vitamin C를 투여하였으며 vitamin C 투여 1시간 후 $AFB_1$을 투여하였다. Vitamin C와 AFB은 모두 복강투여로 실험 사육 첫 일부터 1회 시작하여 3일에 한번씩, 5회 반복 투여 하였으며 실험동물 사육기간은 총 15일로 하였다. GOT, ALK phatase, LDH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AFB_1$을 투여한 2군에 비해 2군에 vitamin C를 투여한 3군이, 방사선과 $AFB_1$ 병합 처리한 4군에 비해 4군에 vitamin C를 투여한 5군이 각각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간 기능 효소 중 GPT는 대조군에 비해 $AFB_1$을 투여한 2군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증가하였으며, 특히 2군에 비해 2군에 vitamin C를 투여한 3군은 수치가 p<0.001 수준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TEM을 이용한 간세포의 형태에서는 $AFB_1$ 단독 처리군의 세포(G2)는 세포의 핵과 핵막이 팽창되어 있으며, 소포체가 긴 막대 모양에서 원형으로 변형되어 나타나고, 미토콘드리아는 크리스테(cristae)가 분열되어 속이 빈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나 여기에 vitamin C를 투여한 3군의 세포(G3)에서는 핵은 아직 약간 팽창된 모양을 하고 있으나 핵막의 모양이 거의 정상으로 되었으며,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도 거의 정상 모양을 회복하고 있다. X선 조사와 $AFB_1$ 병합 처리군인 4군의 세포(G4)는 조직의 상당한 파괴가 관찰되었으며, 여기에 vitamin C를 투여한 5군의 세포(G5)는 정상적이지는 않으나 파괴 정도가 덜 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로써 $AFB_1$ 단독 투여군인 2군, 방사선과 $AFB_1$ 병합 처리한 4군에 각각 vitamin C를 혼합 투여한 3군과 5군에서 핵과 핵막 등이 정상에 가깝게 회복된 현상은 vitamin C의 항산화력에 의해 세포막 표면에 형성된 틈이나 팽창 상태가 가역적이고 반복적인 결합이 유도되어 핵과 핵막이 많이 회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ffects of aflatoxin B1 combined with ochratoxin A and/or zearalenone on metabolism, immune function, and antioxidant status in lactating dairy goats

  • Huang, Shuai;Zheng, Nan;Fan, Caiyun;Cheng, Ming;Wang, Shang;Jabar, Adil;Wang, Jiaqi;Cheng, Jianb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4호
    • /
    • pp.505-513
    • /
    • 2018
  • Objective: This experiment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flatoxin B1 (AFB1) alone or mixed with ochratoxin A (OTA) and/or zearalenone (ZEA) on the metabolism, immune function, and antioxidant status of dairy goats. Methods: Fifty lactating Laoshan dairy go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ive treatment groups (n = 10) for 14 days. Goats were fed no additive (control) or administered with $50{\mu}g\;AFB1/kg$ dry matter (DM) (AFB1), $50{\mu}g\;AFB1/kg$ $DM+100{\mu}g\;OTA/kg$ DM (AFB1+OTA), $50{\mu}g\;AFB1/kg$ $DM+500{\mu}g\;ZEA/kg$ DM (AFB1+ZEA), or $50{\mu}g\;AFB1/kg$ $DM+100{\mu}g\;OTA/kg$ $DM+500{\mu}g\;ZEA/kg$ DM (AFB1+OTA+ZEA). Results: Dry matter intake and milk production were lower in goats fed AFB1+OTA+ZEA than in controls. Supplementation with AFB1, OTA, and ZEA significantly decreased red blood cell count, hematocrit, mean corpuscular volume, mean corpuscular hemoglobin, and mean platelet volume, and significantly increased white blood cell count,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mpared with control, the combination of AFB1, OTA, and ZEA significantly increase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ies, total bilirubin (TBIL), interleukin-6, and malondialdehyde (MDA), but significantly reduced immunoglobulin A concentration,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 peroxides (GSH-Px),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y (T-AOC) in serum. Administration of AFB1 combined with OTA led to higher ALP, ALT, TBIL, and MDA, as well as lower milk production, SOD and GSH-Px activities, and T-AOC, than administration of AFB1 combined with ZEA. Conclusion: The mixture of AFB1, OTA, and ZEA exerted the greatest adverse effects on dairy goats, meanwhile the deleterious damage of the other mycotoxin combinations were in varying degre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guidanc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 consequences of contamination of animal feeds with combinations of mycotoxin.

Aflatoxin $B_1$의 검출을 위한 효소면역측정법의 개발 (Development of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the Iletection of Aflatoxin $B_1$)

  • 손동화;박애란;서병철;김진철;이인원;남영중;허우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5-232
    • /
    • 1992
  • 효소면역측정법에 의한 aflatoxin $B_1(AFB_1)$의 정량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항체를 생산.정제하여 분석법을 확립하고 직접법과 간접법(direct/indirect competitive ELISA)의 특성 및 문제점을 비교. 검토하였다. Bovine serum albumin(BSA)을 carrier protein으로 한 $AFB_1$-1-(O-carboxymethyl)oxime -BSA를 토끼에 면역하여 항$AFB_1$항혈청을 생산하였다. 정량 침강반응에 의하여 항혈청으로부터 항BSA항체를 제거하고 황산암모늄 침전법 및 EDAE-Sephadex A-50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순도 높은 IgG항체를 정제하여 항$AFB_1$항체를 사용하였다.

  • PDF

간장 및 모델시스템에서 간장 갈색물질과 숯이 Aflatoxin $B_1$의 파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owning Products and Charcoal on the Degradation of Aflatoxin B, in Korean Soy Sauce (Kanjang) and its Model System)

  • 박건영;이은숙;문숙희;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19-424
    • /
    • 1989
  • 간장에서 분리한 갈색물질과 숯이 간장 및 그의 model system에서 aflatoxin $B_1(AFB_1)$의 파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간장 갈색물질(0.05%)과 $AFB_1$을 pH7의 완충용액에서 2일 동안 $30^{\circ}C$에서 반응시킨 결과 60% 이상의 $AFB_1$ 이 파괴되었으며 이 반응물질을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으로 mutagenicity test를 했을 때 돌연변이성 역시 각각 50%, 70%로 감소되었다.(p<0.05). 숯이 $AFB_1$ 파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재래간장과 증류수 그리고 20% NaCl용액에 각각 숯을 첨가하고 $30^{\circ}C$에서 5일 동안 $AFB_1$ 의 파괴 효과를 보았는데 재래간장에서는 $AFB_1$은 안정하였으나 20% NaCl 용액과 증류수에서는 2일 후 80% 이상의 $AFB_1$ (여액)의 파괴가 일어났다. 비교실험으로, 숯 대신에 활성탄 처리를 한 경우에는 모든 시료에서 100%의 $AFB_1$이 파괴 또는 제거되었다.

  • PDF

Salmonella Assay System에 있어서 Aflatoxin B$_1$의 돌연변이 유발성에 미치는 L-Ascorbic Acid의 영향 (Effect of L-Ascorbic Acid on the Mutagenicity of Aflatoxin B$_1$ in the Salmonella Assay System)

  • 박건영;권미향;최홍식;백현숙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3-21
    • /
    • 1988
  • Mutagenic actions of aflatoxin B$_1$ (AFB$_1$) in the presence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L-ascorbIc acid (AA) in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s TA 100 and TA98 were studied. Spontaneous revertants per plate of the tester strains TA100 and TA98 were 121-125 and 25-30 with or without S9 mix, respectively. The negative controls used in the study did not show any mutagenesis in the tester strains. AFB$_1$ revealed strong mutagenicity at the dose levels of 0.05, 0.1 and 0.25 ${\mu}$g/plate with metabolic activation system in both strains. However, it showed a toxic effect when the levels were more than 0.5 ${\mu}$g/plate. When lower concentrations of AA (5-20 ${\mu}$g/plate) were added to AFB$_1$ in the Ames assay system with S9 mix the mutagenic action of AFB$_1$ decreased in both strains. About 70-90% of mutagenicity of AFB$_1$ disappeared in strain TA100 when 20${\mu}$g of AA was added to 0.05 ${\mu}$g of AFB$_1$. The inhibitory effect was greatly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higher concentrations of AA to AFB$_1$ in TA100 strain. The mutagenicity of AFB$_1$ was completely inhibited when 100 ${\mu}$g and 500 ${\mu}$g of AA were added to 0.05 ${\mu}$g and 0.1 ${\mu}$g of AFB$_1$, respectively, However, this protective effect of AA on AFB$_1$ mediated mutagenesis was less effective in TA98 strain than that in TA100.

  • PDF

랫드의 간에서 다양한 농도의 아플라톡신 투여에 의한 DNA Adduct의 형성과 Ras의 발현양상 (DNA Adduct Formation and Expression of Ras Gene in the Liver of Rats Treated with Aflatoxins at Various Levels)

  • 김태명;허진주;리란;김대중;남상윤;윤영원;이범준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339-345
    • /
    • 2005
  • Aflatoxins are produced by Aspergillus flavus, parasiticus that grows in improperly stored cereals. Aflatoxin $B_1\;(AFB_1)$ is a potent hepatocarcinogen in a variety of experimental animals including human beings. In spite of a high attention to the hepatocarcinogenecity of aflatoxins, the relative toxicity of other types $(AFB_2,\;AFG_1\;and\;AFG_2)$ of the toxins is not fully clarified.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AFB_1,\;AFB_2,\;AFG_1\;and\;AFG_2$ at the dose of 250, 1250, and $2500\;{\mu}g/kg$ body weight. Animals were then killed at 12, 24 or 48 hrs following aflatoxin adminstration. Subsequently the relative weight of liver was measured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n the liver was performed. Level of 8-OxodG and expression of ras gene in the liver was determined. The relative liver weights at high doses of $AFB_1\;and\;AFG_1$ was significantly low. The treatment of $AFB_1$ at the high dose of $2500\;{\mu}g/kg$ showed vacuolar degeneration and centrilobular hepatic necrosis with inflammatory cells. The pathological changes by $AFB_2\;AFG_1,\;and\;AFG_2$ were not clearly found. The formation of 8-OxodG by $AFB_1$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up to 24 hrs after a single treatment of $AFB_1$ thereafter decreased to the level of the control. The treatments of $AFB_2\;AFG_1,\;and\;AFG_2$ showed an inconsistent pattern in the formation of 8-OxodG in the liver of rats with increasing time. The expression of ras oncogene in the liver by $AFB_1$ at the dose of $1250\;{\mu}g/kg$ was increased twice compared to the control. The treatments of $AFB_2\;AFG_1,\;and\;AFG_2$ at all doses decreased the expression of ras in the liver. These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AFB_1$ among aflatoxins with low comparable levels is the most toxic as determined by early biomarkers such as 8-OxodG formation and ras expression. However, the levels of 8-OxodG and ras as biomarkers were not useful to predict the relative hepatocarcinogenicity of aflatoxins to $AFB_1$ in the present model.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look for other biomarkers to predict carcinogenic potency of aflatoxins.

국내생산 사료의 Aflatoxin 오염도 조사 (Survey of the Presence of Aflatoxins in Compound Feeds and Feed Ingredients)

  • 장한섭;조현정;이경은;이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46-352
    • /
    • 2007
  • 2006년에서 2007년까지 국내에서 생산된 사료 중 585점(배합사료 447, 단미사료 138)의 사료에서 아플라톡신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단미사료 중 $AFB_1$$AFB_2$의 오염도는 각각 20%와 3%이었으며, 오염농도는 각각 $0.48{\sim}10.46ppb$와 0.25-0,42 ppb로 나타났다. 배합사료에서는 $AFB_1$ 오염도가 38%로 나타났으며, 평균 0.43-5.52 ppb 수준의 검출농도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조사된 사료 중 2%의 배합사료가 0.26-0.46 ppb의 농도로 $AFB_2$에 오염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의 종류별로 아플라톡신 오염을 비교시 고기소 사료(75%)> 젖소 사료(72%)> 강피류(30%)순으로 $AFB_1$이 많이 오염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FB_1$ 평균오염농도는 강피류(3.1 ppb)에서 가장 높았으며, 박류(2.9 ppb), 개사료(1.9 ppb) 순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한 모든 시료에서 $AFG_1$$AFG_2$는 검출되지 않았다.

Aflatoxin $B_1$과 Vitamin $D_3$ 결여가 Broiler병아리의 중족골 무기물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Aflatoxin $B_1$ and Vitamin $D_3$ on Metatarsus Bone Minerals of Broiler Chicks)

  • 장윤환;여영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6-302
    • /
    • 1990
  • Aflatoxin $B_1$($AFB_1$ 0 또는 1ppm)과 Vitamin $D_3$($VD_3$0, 500, 1,000 또는 1,500IU/kg)의 교호작용을 조사코자, Hubbard계통 broiler 병아리 336수를 이용, 2$\times$4 요인시험이 실시되었으며, 전체8처리가 3반복으로 설계되어 탈지건조 중족골의 회분 및 무기물함량과 중량 등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 중족골의 신선중량에 있어서 $AFB_1$ 급여에 의한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며 $VD_3$의 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P<.01). 2. 탈지건조 중족골의 회분함양을 보면 $AFB_1$의 급여로 인하여 감소되었으며(P<.01), $VD_3$수준이 증가될 때 반대로 증가되었다(P<.01). 교호효과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AFB_1$ 1ppm 급여로 인한 회분감소를 극복하기 위하여 $VD_3$ 1,500IU/kg의 급여가 필요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3. Ca의 함양은 AFB$_1$급여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VD_3$에 의하여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P<0.05). 4. P의 함양은 $AFB_1$급여로 감소되었으나(P<.01) $VD_3$의 영향은 없었다. 5. Cu의 함양은 AFB$_1$$AFB_1$에 의하여 감소되었다(P<.05). 6. Na Mg, K, Zn, Fe 및 Mn의 함량은 $AFB_1$이나 $VD_3$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간장 저장중 암모니아와 pH가 Aflatoxin $B_1$의 파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monia and pH on the Degradation of Aflatoxin $B_1$ during the Storage of Korean Soy Sauce(Kanjang))

  • 박건영;이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5-122
    • /
    • 1989
  • 간장저장중 암모니아와 pH가 Aflatoxin $B_1(AFB_1)$의 파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0.05{\sim}0.5%$의 암모니아 용액에서 $AFB_1$$30^{\circ}C$의 저장 하루만에 완전히 파괴되었으나 이때 이 용액들은 pH가 10-11정도로 증가 되었다. $NH_3$의 농도에 따라 간장의 pH는 증가 하였지만 간장내의 완충능 때문에 다소 완만하였다. 이때 양조간장은 재래간장에서 보다 그 pH증가 정도가 더 크게 일어났다. 간장시료들과 대조군의 증류수와 20% NaCl용액의 pH를 10으로 증가 시켰을 때 $AFB_1$$30^{\circ}C$에서 1일 반응 후 완전히 파괴되었다. pH 5, 7, 9, 10, 11의 완충용액에서 $AFB_1$의 파괴 효과는 pH 5와 7에서는 안정하였지만 pH 9 이상에서는 첨가한 $AFB_1$을 검출할 수 없었다. 여러농도의 $NH_3(0.2-1.0%)$를 함유한 pH 7의 완충용액 에서 $AFB_1$$NH_3$의 농도와는 관계없이 저장기간중 안정하였으나 pH 9에서는 파괴(100%)되었다. pH 5의 간장을 $30^{\circ}C$에서 5일간 반응시켰을 때 $AFB_1$은 상당히 안정하였지만 pH 7의 간장 시료에서는 60-70%의 $AFB_1$의 파괴가 일어났으며 이때 간장의 pH는 전혀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AFB_1$은 pH 7의 완충용액과 0.2% $NH_3$를 함유한 완충용액에서는 5일의 저장기간중 안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