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490) algorithm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남해 동부 연안 지역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적 연구: 해수침투에 대한 고찰

  • 신광섭;윤성택;허철호;이상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438-441
    • /
    • 2003
  • 남해 동부 연안 지역 지하수의 해수 침투 영향을 광역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202개소의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고 수리지구화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체 시료 중 14.4%가 500 $\mu\textrm{m}$/cm을 초과하는 높은 EC값을 나타내어 해수 영향을 시사해 주었다. 해수 영향 판단의 또 다른 파라메터로 사용되는 CI/HCO$_3$ 몰비는 전체 시료의 23.3%가 1.3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대표적으로 해수침투 영향 및 인위적 오염의 영향을 각각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Cl과 NO$_3$의 농도에 관한 누적도수분포도를 작성하여 배경수질군과 오염영향군을 구분짓는 배경치(background concentration)를 구한 결과, 각각 Cl = 22.3 mg/1 및 NO$_3$= 23.1 mg/l로 나타났다. 이 두 파라메터의 농도 분포를 기준으로 하여 채취된 지하수 시료를 크게 4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그 결과, 자연적 또는 인위적 기원의 오염이 배제된 그룹 1은 전체 시료의 31%, 자연적 오염(해수 영향)을 반영하는 그룹 2는 전체의 24%, 인위적 오염의 영향을 반영하는 그룹 3은 전체의 9%, 해수 영향 및 인위적 오염을 동시에 반영하는 그룹4는 전체의 36%로 나타났다. 또한 그룹2와 그룹4는 대부분 Na-Cl유형으로 진화하는 Ca-Cl유형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여러 지구화학 방법에 의한 해수 영향 판단 결과는 서로 잘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지구화학적 파라메터를 종합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연안 지역 해수침투의 효과적인 파악은 물론 예측 및 방지, 복구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으로 토양에서 유동 가능성이 있는 중금속만을 추출하였다. 분석실험은 토양의 Cd2+ 와 Pb2+를 대상으로 행하여졌으며, 여러 토양에서 추출 분석한 결과를 EDTA분석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중금속은 매우 신속하게 고분자 자성체와 결합하였고, 그 후 자성체를 외부 자장으로 모은 후 산으로 용해시키고, 결합된 중금속은 Graphite furnace AAS로 분석함으로써 빠르고 효율적으로 분석실험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실험에서 나타난 수치들을 비교 검토한 결과 토양 분석시 sandy soil에서는 자성체를 이용한 분석이 EDTA에 의한 방법보다 더 높은 추출도를 보인 반면, silt 함량이 많은 토양의 경우에서 EDTA분석에서 더 높은 중금속 추출도를 보였다.s 중에서 490nm와 555nm의 복합밴드를 포함하는 OC2 알고리즘(ocean color chlorophyll 2 algorithm)을 사용하는 것이 OC2 series 및 OC4 알고리즘보다 좋은 추정 값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환경에서는 5일에서 7월에 주로 이 충체의 유충이 발육되고 전파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러 가지 방법들을 적극 적용하여 금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종간 교잡종을 자방친으로 하고 그 자방친의 화분친을 사용할 때만 교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여교잡을 통한 종간잡종 품종육성 활용방안을 금후 적극 확대 검토해야 할 것이다하였다.함을 보이고 있다.X> , ZnCl$_{3}$$^{-}$같은 이온과 MgCl$^{+}$, MgCl$_{2}$같은 이온종을 형성하기 때문인것 같다. 한편 어

  • PDF

A Development of Simple Fuel Consumption Estimation and Optimized Rout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Voyage Data of Vessel (항차 데이터 기반 간이 연료 소모량 추정 및 최적 경유 항구 추천 시스템 개발)

  • Woo, Snag-Min;Hwang, Hun-Gyu;Kim, Bae-Sung;Woo, Yun-Tae;Lee, Jang-S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2 no.3
    • /
    • pp.480-490
    • /
    • 2018
  • Recently, The MRV (monitoring, reporting and verification) regulation, which measures, reports and verifies the emission gas of vessel to head for member countries of Europe Union (EU), is being implemented. As part this reason, we develop a system that estimates simple fuel consumption and recommends optimized stop-over ports of vessel, to calculate amount of carbon emission. To do this, we analyze fuel, distance and time consumption between port and the other port based on stored voyage data for over 10 years of real-ship, and implement a simple fuel consumption estimation module using analyzed result. Also, we design and implement the optimized route recommendation algorithm, existing navigation route display function including comparison with the optimized routes and user custom route plan function. Therefore, we expect the developed system is helpful when makes a navigation route and so on by reference indexes and we anticipate the system to have a sense for future research which learns and predicts for accuracy result.

상이한 삼림생태계에서의 토층분화 특성과 변화에 따른 수분 이동 특성

  • 정덕영;오종민;진연호;손요한;주영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06a
    • /
    • pp.69-73
    • /
    • 1998
  • 경기도 퇴촌에 위치한 경희대학교 연습림내의 경사도와 수종을 달리하는 3개의 서로 다른 임반에서 등고선을 따라 지표면의 토층분화를 조사하였고 이에 따른 수분침투특성을 조사하였다. 3개의 임반은 낙엽송, 잣나무 및 굴참나무의 천연활엽수로 구성되었고 이에 구성 수종에 따라 지표면에 퇴적되는 O, A, B층의 깊이를 달리한다. 토층분화 길이는 3개 임반 모두 경사도가 낮은 하부사면에서 양호하게 발달하였으며 경사도가 높은 산사면이나 수간우가 많은 일부 지역에서는 유거수에 의해 유기물이나 표층토가 유실되어 바로 암반층 또는 풍화층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잣나무 임반의 경우 밀식 수간에 의해 유기물퇴적층과 A층의 발달이 다른 낙엽송이나 굴참나무 임반보다 토층 발달 깊이가 약 2배 이상으로 깊게 발달되었다. 그리고 조사된 임반의 하부사면의 경우 A층의 발달이 약 35cm부터 약 60cm에 이르고 있으나 토성을 구성하는 요소 중 직경 2mm 이상의 자갈에 토양입자들이 전체 토양의 4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토층분화 특성을 달리하는 임반에서의 수분 이동특성은 퇴적된 유기물의 두께가 깊으면 깊을수록 수분침투율은 낮아지는 반면 포면 유거수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지표면, 유기물 퇴적층 아래, 지표면으로부터 30cm 아래에 설치된 Lysimeter를 이용하여 조사된 침출수의 분포는 전체를 100으로 환산시 지표면은 약 55%, 유기물퇴적층 아래는 30%, 그라고 30cm의 위치에서는 나머지 15%정도의 침출수가 포집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지표 층에 존재하는 유기물이 전체 수분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양 실험 결과, 서식지에서 조사된 결과인 잎과 줄기에서 Pb$\alpha$ 추정시에는 SeaWiFS 위성과 관련된 global algorithms 중에서 490nm와 555nm의 복합밴드를 포함하는 OC2 알고리즘(ocean color chlorophyll 2 algorithm)을 사용하는 것이 OC2 series 및 OC4 알고리즘보다 좋은 추정 값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환경에서는 5일에서 7월에 주로 이 충체의 유충이 발육되고 전파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러 가지 방법들을 적극 적용하여 금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종간 교잡종을 자방친으로 하고 그 자방친의 화분친을 사용할 때만 교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여교잡을 통한 종간잡종 품종육성 활용방안을 금후 적극 확대 검토해야 할 것이다하였다.함을 보이고 있다.X> , ZnCl$_{3}$$^{-}$같은

  • PDF

A study on evaluation of the image with washed-out artifact after applying scatter limitation correction algorithm in PET/CT exam (PET/CT 검사에서 냉소 인공물 발생 시 산란 제한 보정 알고리즘 적용에 따른 영상 평가)

  • Ko, Hyun-Soo;Ryu, Jae-kwang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Technology
    • /
    • v.22 no.1
    • /
    • pp.55-66
    • /
    • 2018
  • Purpose In PET/CT exam, washed-out artifact could occur due to severe motion of the patient and high specific activity, it results in lowering not only qualitative reading but also quantitative analysis. Scatter limitation correction by GE is an algorism to correct washed-out artifact and recover the images in PET sc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threshold of specific activity which can recovers to original uptake values on the image shown with washed-out artifact from phantom experiment and to compare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linical patient's data before and after correction. Materials and Methods PET and CT images were acquired in having no misalignment(D0) and in 1, 2, 3, 4 cm distance of misalignment(D1, D2, D3, D4) respectively, with 20 steps of each specific activity from 20 to 20,000 kBq/ml on $^{68}Ge$ cylinder phantom. Also, we measured the distance of misalignment of foley catheter line between CT and PET images, the specific activity which makes washed-out artifact, $SUV_{mean}$ of muscle in artifact slice and $SUV_{max}$ of lesion in artifact slice and $SUV_{max}$ of the other lesion out of artifact slice before and after correction respectively from 34 patients who underwent $^{18}F-FDG$ Fusion Whole Body PET/CT exam. SPSS 21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SUV between before and after scatter limitation correction by paired t-test. Results In phantom experiment, $SUV_{mean}$ of $^{68}Ge$ cylinder decreased as specific activity of $^{18}F$ increased. $SUV_{mean}$ more and more decreased as the distance of misalignment between CT and PET mor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correction increased as the distance more increased. From phantom experiments, there was no washed-out artifact below 50 kBq/ml and $SUV_{mean}$ was same from origin. On D0 and D1, $SUV_{mean}$ recovered to origin(0.95) below 120 kBq/ml when applying scatter limitation correction. On D2 and D3, $SUV_{mean}$ recovered to origin below 100 kBq/ml. On D4, $SUV_{mean}$ recovered to origin below 80 kBq/ml. From 34 clinical patient's data, the average distance of misalignment was 2.02 cm and the average specific activity which makes washed-out artifact was 490.15 kBq/ml. The average $SUV_{mean}$ of muscles and the average $SUV_{max}$ of lesions in artifact slice before and after the correction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 paired t-test respectively(t=-13.805, p=0.000)(t=-2.851, p=0.012), but the average $SUV_{max}$ of lesions out of artifact slice show a no significant difference (t=-1.173, p=0.250). Conclusion Scatter limitation correction algorism by GE PET/CT scanner helps to correct washed-out artifact from motion of a patient or high specific activity and to recover the PET images. When we read the image occurred with washed-out artifact by measuring the distance of misalignment between CT and PET image, specific activity after applying scatter limitation algorism, we can analyze the images more accurately without repeating sc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