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echin

검색결과 683건 처리시간 0.023초

목단피로부터 멜라닌 생성 억제성분의 분리 (Isolation of Inhibitory Components on Tyrosinase Activity from the Bark of Paeonia moutan)

  • 이승호;박지수;김소영;김진준;정시련
    • 약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53-358
    • /
    • 1998
  • The MeOH extract of the bark of Paeonia moutan showed potent inhibitory effect on the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The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 he MeOH extract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three active compounds.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elucidated by chemical and spectroscopic evidence as catechin, 1,2,3,6-tetra-O-galloyl-${\beta}$-D-glucose and 1,2,3,4,6-penta-0-galloyl-${\beta}$-D-glucose, respectively. Among them, the inhibitory activity by 1,2,3,6-tetra-galloyl-${\beta}$-D-glucose on mushroom tyrosinase was more potent $(IC_{50}=3.5\;{\mu}M)$ than that of kojic acid $(IC_{50}=8.7\;{\mu}M)$ ,but catechin enhanced the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50% in the concentration of 34.5M.

  • PDF

카드뮴(II)-플라보노이드 킬레이트 반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d(II)-Flavonoid Chelation Reactions)

  • 이정호;신선우;백승화
    • 약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3-21
    • /
    • 2010
  • The interaction of cadmium (II) ion with quercetin, qurecitrin and (+)-catechin was investigated in aqueous solution at various pH. The flavonoid/cadmium stochiometries for cadmium (II) binding to flavonoid have been determined by UV-visible spectroscopy. 1:1 Cd(II)-Flavonoid complex had a maximum absorbance and showed the bathochromic shift of the long-wavelength band of the UV-vis spectra in the alkaline pH, that occurs upon complexation, is due to a ligand-tometal charge transfer.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Cd(II)-flavonoid complexes showed that complexation reaction could be classified in the following way: 55.27 ${\mu}M$ catechin > 54.72 ${\mu}M$ quercetin > 53.52 ${\mu}M$ quercitrin at the chelating site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d(II)-flavonoid complex has the optimal condition of chelation in 0.2 M $NH_3$ - 0.2 M $NH_4Cl$ (pH 8.0) solution.

큰잎자작(Betula maximowicziana) 변재의 추출성분 (Extractives from the Sapwood of Betula maximowicziana)

  • 이학주;加藤厚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45-51
    • /
    • 2003
  • 큰잎자작 변재의 메탄올(methanol, MeOH) 조추출물로부터 silica gel column, CPC 등의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4종의 화합물을 단리하였으며, 단리물질에 대한 NMR 등의 기기분석 결과, flavonoid 및 lignan 배당체인 catechin 7-O-𝛽-D-xylopyranoside, lyoniresinol 9'-O-𝛽-D-glucopyranoside, 그리고 diarylheptanoid인 11-oxo-3, 8, 12, 17-tetrahydroxy-9-ene [7, 0]-metacyclophane 및 11-oxo-3, 8, 9, 10, 12, 17-hexahydroxy [7, 0]-metacyclophane으로 각각 동정하였다.

Induction of Apoptosis of DK-5-62, a Novel (-)-Catechin Derivative Through MAPKs Signaling Pathway in HCT116 Cells

  • Guon, Tae Eun;Shin, Dong-Soo;Chung, Ha Sook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298-304
    • /
    • 2022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molecular mechanisms of DK-5-62, a novel (-)-catechin derivative on HCT116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DK-5-62 inhibited the proliferation in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accompanied by the morphological changes. Effects of DK-5-62 appeared to be mediated by the induction of apoptosis, as manifested through DNA-binding dye Hoechst 33258 staining. Analysis of the mechanism of these events indicated that DK-5-62-treated cells exhibited an increased ratio of Bax/Bcl-2, resulting in the activation of caspase-9, caspase-3, and poly-ADP-ribose polymerase in a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DK-5-62-induced apoptosis was accompanied by phosphorylation of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family, c-Jun N-terminal kinase, p38,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HCT116 cells are moderately sensitive to growth inhibition by DK-5-62 via apoptosis, as evidenced by activation of ERK/p38/Bcl-2 family signaling, as well as alteration in caspase-9 and caspase-3.

국내 시판되는 녹차, 우롱차 및 홍차의 카테킨 함량과 항산화능 비교 (The Comparison of Antioxidant Capacities and Catechin Contents of Korean Commercial Green, Oolong, and Black Teas)

  • 이민준;권대중;박옥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49-453
    • /
    • 2007
  • Using green tea(GT), oolong tea(OT), black tea(BT) and green tea bag(GTB) out of tea products in market, this study quantified polyphenol and catechins as anti-oxidant substances and analyzed their respective anti-oxidant capacities. As a result, more epigallocathechin(EGC) was found in GT and GTB as well as caffein(CAF) in GT and BT. GT contained more epigallocathechin gallate(EGCG) than other tea types. Both FRAP and ORAC, as two methods of analyzing anti-oxidant capacities, showed that GTB had highest anti-oxidant capacities, while OT had lowest of all. By brand, it was found that all the 3 brands of GT had similarly high anti-oxidant capacitie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GTB and BT depending on brand. Out of catechin components, it was found that epicatechin(EC), epicathechin gallate(ECG) and EGCG were major components affecting anti-oxidant capacities.

건조처리 조건에 따른 작약근 생리활성 성분 함량 변화 (Bioactive Component Content as Affected by Different Drying Condition in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Root)

  • 정명근;안영남;강광희;김재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59-464
    • /
    • 2002
  • 작약근이 수확되어 적절한 조제과정을 거쳐 약품으로서의 생약재 작약이 가공되는 과정 중 약성을 가장 크게 변화시키는 수치 및 건조방법의 차이가 작약근 함유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4년생 의성작약의 뿌리를 이용하여 코르크층을 제거한 거피근과 코르크층을 제거하지 않은 유피근으로 가공하고, 유피근, 거피근 모두 상온 음건, $50^{\circ}C$ 화력건조, 수증건법 및 동결건조 방법으로 건조한 후 이들에 함유된 작약근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조방법의 차이에 따른 paeoniflorin, albiflorin 및 (+)-taxifolin 3-O-$\beta$-D-glucopyranos의 함량은 상온 음건 조건의 건조법에서 가장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고, 동결건조가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2. 건조방법에 따른 유피근과 거피근간의 paeoniflorin, albiflorin, (+)-taxifolin 3-O-$\beta$-D-glucopyranoside의 함량을 비교할 때 상온 음건을 제외한 모든 건조법에서 거피근의 함량이 더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3. gallic acid의 함량은 유.거피근 모두 $80^{\circ}C$ 수증건법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동결건조법이 가장 낮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4. benzoic acid의 함량은 gallic acid와 상반된 양상을 나타내어 동결건조법이 유.거피근 모두 가장 높았고, $80^{\circ}C$ 수증건법이 가장 낮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5. 건조방법에 따른 (+)-catechin 및 (-)-epicatech고 함량은 동결건조법이 다른 건조법보다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6. paeoniflorin, albiflorin, (+)-taxifolin 3-O--$\beta$-D-glucopyranoside, (+)-catechin 및 benzoic acid의 함량은 건조 및 처리 온도가 증가할 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포도씨 추출물의 총 카테킨 함량과 전자공여능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for Total Catechin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Grape Seed Extracts)

  • 이은진;김정숙;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40-846
    • /
    • 2008
  • 포도씨의 총 카테킨 함량과 추출물의 항산화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추출조건(microwave power $0{\sim}120\;W$, 에탄올 농도 $0{\sim}100%$, 추출시간 $1{\sim}5\;min$)을 설계하고, 종속변수로서 추출물의 수율, 카테킨 함량 및 전자공여능을 회귀 분석함으로써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였다. 모든 회귀식의 $R^2$는 0.9 이상으로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총 카테킨 함량의 최대 추출 값은 434.16 mg%로 예측되었으며, 추출조건은 microwave power 122.76 W, 에탄올 농도 42.88%, 추출시간 4.67 min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에 대한 세 가지 종속변수의 극대 값을 얻기 위한 추출조건 범위는 $75{\sim}150\;W$, $40{\sim}60%$$3.5{\sim}5.0\;min$이었다. 이상의 예측 값(총 추출수율 6.72%, 총 카테킨 함량 408.65mg%, 전자공여능 83.33%)은 실제 값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최적화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법(112.5 W, 50% 에탄올, 4.2분)은 현행추출법 (80% 에탄올, $60^{\circ}C$, 3시간, 150 rpm)에 비해 추출효율이 우수하였다.

Trans지방산의 함량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ous Trans Fatty Acid Contents)

  • 안명수;서미숙;김현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42-548
    • /
    • 2008
  • 기질유지 4종을 $170{\pm}2^{\circ}C$$210{\pm}2^{\circ}C$에서 가열하면서 산가, 요오드가 및 trans지방산 함량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산가는 4종 기질유지 모두 가열시간과 가열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항산화제를 첨가함으로써 그 증가폭은 감소되었다. 요오드가는 가열하는 시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지만 항산화제 첨가로 감소폭이 감소하였다. 시료유지 중 올리브유의 경우 $170{\pm}2^{\circ}C$$210{\pm}2^{\circ}C$에서 7시간 가열 시 각각 88.7$\pm$0.6 및 89.2$\pm$0.5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rans지방산 생성량은 가열온도 및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옥배유에서 trans지방산 생성량이 가장 크게 증가되었으며, 올리브유에서 trans지방산 생성량이 가장 적어 안정된 유지인 것이 확인되었다. Catechin과 BHT의 항산화제를 첨가함으로써 $0.5{\sim}15.4$%의 trans지방산의 생성량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atechin이 BHT보다 trans지방산 생성량을 감소시키는데 좀 더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결과에서 trans지방산 생성량은 옥배유> 대두유, 채종유> 올리브유의 순으로 높았으며 항산화제를 사용함으로써 trans지방산의 생성을 줄일 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판 차류의 Catechins, Theaflavins 및 Methylxanthins 함량에 관한 연구 (Catechins, Theaflavins and Methylxanthins Contents of Commercial Teas)

  • 김수연;소궤신행;한재숙;이갑랑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46-353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녹차, 현미녹차, 홍차 2종류, 오룡차 1종류 및 자스민 차 1종류의 티백 제품을 $80\%$ 에탄올과 물로 추출하여 7종의 catechins, 4종의 theaflavins 및 2종의 methylxanthins의 함량을 HPLC로 동시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catechins의 함량은 에탄올과 물 추출 모두 자스민 차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에탄을 추출은 녹차, 홍차(II), 오룡 차, 현미 녹차, 홍차(I)의 순이었으며 물 추출은 홍차(II), 녹차, 현미 녹차, 오룡 차, 홍차(I)의 순이었다. 또한 두 추출법에서, 녹차, 현미녹차, 오룡차, 홍차(II)의 경우는 총catechi 중 EGCG가 차지하는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홍차(I)과 자스민 차는 ECG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2. Theaflavin류는 TF, TF3G, TF3'G, TF33'G의 4종류가 홍차에만 분석되어 에탄을 추출은 홍차(I)과 홍차(II) 모두 TF33'G가 가장 높았으며 물 추출은 홍차(I)은 TF33'G가 홍차(II)는 TF가 가장 높았다. 3. Methylxanthin류로 caffeine과 theobromine은 에탄올과 물 추출에서 홍차(II)와 자스민차가 다른 차에 비하여 높았으며, 모든 시료에서 caffeine이 theobromine 보다 훨씬 더 많은 함량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13종의 차 성분 중 홍차(I)에서 caffeine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낸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차에서 catechin 중 ECG와 EGCG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성분이 차의 기능성 물질로 지배적인 물질이었다.

앵두 Ethanol 추출물의 항균력과 Flavonoid (Flavonoid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of Korean Cherry (Prunus tomentosa Thunberg))

  • 황호선;김중만;전예정;송영애;박효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33-839
    • /
    • 2003
  • 앵두의 기능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하여 50%, 70% 및 95%(v/v)의 ethanol 추출물에 대한 flavonoid류를 정량하고 MIC와 disk test를 이용한 항균력 및 자외선 차단효과를 조사하였다. 앵두의 70%(v/v) ethanol 추출액에서 가장 높은 flavonoid함량을 나타냈고 quercitrin의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12.70 mg%, buthanol분획에서 2.11 mg%로 대부분 ethyl acetate 분획에서 분리되었다. 또한 앵두 70%(v/v) ethanol추출물의 flavonoid류는 quercitrin 14.9 mg%, tannin 6.0 mg% 및 catechin 5.2 mg%로 정량되어 quercitrin이 앵두의 주요 flavonoid임을 확인하였다. 앵두의 ethanol추출물에 대한 Staphylococcus aureus aureus(ATCC 6538)와 Staphylococcus epidermidis(ATCC 12228)의 항균력은 flavonoid함량이 높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가장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어 앵두의 flavonoid에 의한 결과로 확인되었다. 앵두의 ethanol 추출물의 자외선 차단효과는 인체의 피부에 손상을 주는 UVB 파장인 290∼320 nm를 포함하는 210∼380 nm로 넘게 자외선 흡수대를 형성하고 catechin과 quercitrin의 흡수대와 동일한 패턴을 나타내어 그의 기능성이 예상되었다. 따라서 앵두의 기능성을 나타내는 주요 성분은 quercitrin으로 피부에 관련된 항균효과와 자외선 차단효과를 예상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