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순)생산적 효율성

Search Result 11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alyzing the Efficiency of Korean Rail Transit Propertie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자료포락분석기법을 이용한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효율성 분석)

  • 김민정;김성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4
    • /
    • pp.113-132
    • /
    • 2003
  • Using nonradial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under assumptions of strong disposability and variable returns scale, this paper annually estimates productive. technical and allocative efficiencies of three publicly-owned rail transit properties which are different in terms of organizational type: Seoul Subway Corporation(SSC, local public corporation), the Seoul Metropolitan Electrified Railways sector (SMESRS) of Korea National Railroad(the national railway operator controlled b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MOCT)), and Busan Urban Transit Authority (BUTA, the national authority controlled by MOCT). Using the estimation results of Tobit regression analysis. the paper next computes their true productive, true technical and true allocative efficiencies, which reflect only the impacts of internal factors such as production activity by removing the impacts of external factors such as an organizational type and a track utilization rate. And the paper also computes an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annually gross efficiencies for each property. The paper then conceptualized that the property produces a single output(car-kilometers) using four inputs(labor, electricity, car & maintenance and track) and uses unbalanced panel data consisted of annual observations on SSC, SMESRS and BUTA. The results obtained from DEA show that, on an average, SSC is the most efficient property on the productive and allocative sides, while SMESRS is the most technically-efficient one. On the other hand. BUTA is the most efficient one on the truly-productive and allocative sides, while SMESRS on the truly-technical side. Another important result is that the differences in true efficiency estimates among the three properties are considerably smaller than those in efficiency estimates. Besides. the most cost-efficient organizational type appears to be a local public corporation represented by SSC, which is also the most grossly-efficient proper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measure to sort out the impacts of external factors on the efficiency of rail transit properties is required to assess fairly it, and that a measure to restructure (establish) an existing(a new) rail transit property into a local public corporation(or authority) is required to improve its cost efficiency.

The Change of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and Its Determinants (조선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 변화와 그 결정요인)

  • Park, Seok-Ho;Kim, Ho-Nam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8 no.2
    • /
    • pp.155-177
    • /
    • 2012
  • This paper aims at measuring the changes of Malmquist productivity and technical efficiency of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and examinig their determinants utilizing the panel analysis. The increase of the technological progress was greater than technical efficiency,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for the period of 2004-2010. This study also employs the panel technique to analyse the effects of Employee, Dock, and Length on the changes of Malmquist productivity and technical efficiency. The dependent variables are obtained from three combinations, which are (Employee, Dock, and CGT), (Employee, Length, and CGT), and (Dock, and Length, and CGT).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all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of Malmquist productivity and technical efficiency.

Developing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Effective Business Coordination (효율적인 통합 업무를 위한 정보관리 시스템 구축)

  • 박두순;안종근;공용해;정재헌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1.05a
    • /
    • pp.313-317
    • /
    • 2001
  • 기업의 효율적인 정보시스템 구축은 정보화 사회에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기업의 성장 규모, 기업의 요구 사항. 기업의 보다 향상된 업무를 위해 시스템을 능동적으로 구현, 확장, 재구성되어야 한다. 이에 정보의 연계, 최신 정보의 효율적 관리를 이용한 구체화와 정보화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중소 업체에서는 한 번에 많은 투자를 해야되는 종합 정보화 시스템보다는 생산 관리, 인사 관리, 회계 관리 등 각각에 대한 정보화를 위해 가장 기본적인 프로그램들을 업체의 특성과 차별성을 고려하여 실용 업무에 보다 적합한 자동화 시스템구성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따라서 이들 시스템간에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의사결정을 하는 종합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기존에 개발된 영업관리, 생산 관리, 인사 관리, 회계관리 프로그램들을 통합하는 것이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보다 경제적, 기능적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두양금속의 기존에 사용중인 영업관리, 생산 관리, 인사 관리. 회계 관리 시스템을 통합하고자 이미 구축된 시스템을 분석하고 각각의 독립된 업무를 연계하여 효율적인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있다.

Developing an Effective Database Management System for DooYang Steel Co. (두양금속 주식회사의 효율적인 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축)

  • 공용해;박두순;안종근;정재헌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0.10a
    • /
    • pp.273-276
    • /
    • 2000
  • 기업의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시스템 구축은 정보화 사회에서 반드시 필요한 사안으로 이를 통해 자료연계, 최신 정보의 입수 둥 기존의 회사 생존 전략을 벗어난 세계화와 정보화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중소 업체에서는 한 번에 많은 투자를 해야되는 종합 정보화시스템의 도입보다는 생산 관리, 인사 관리, 회계 관리 등 각각에 대해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서로 각각 개발된 프로그램들은 그 활용도나 연관성 면에서 유용성이 떨어지게 마련이다. 따라서 이들 시스템간에 서로 자료를 교환하고, 의사결정을 위한 정의를 효과적으로 제시해 주는 종합 정보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기존에 개발된 영업관리, 생산 관리, 인사 관리, 회계 관리 등의 프로그램들을 통합하는 것이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보다 경제적, 기능적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양금속 주식회사의 기존에 사용중인 영업관리, 생산 관리, 인사 관리, 회계관리 시스템의 통합을 목표로 하여, 이미 구축된 시스템을 분석하고 연계하여 효율적인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Evaluation of Technical Production Efficiency and Business Structure of Domestic Combined Heat and Power (CHP) Operators: Panel Stochastic Frontier Model Analysis for 16 Collective Energy Operators (국내 열병합발전사업의 기술적 생산효율성 추정 및 사업구조 평가: 16개 집단에너지사업자에 대한 패널 확률프론티어모형(SFA) 분석)

  • Lim, Hyungwoo;Kim, Jaehyeok;Shin, Donghyu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30 no.4
    • /
    • pp.557-579
    • /
    • 2021
  • Collective energy is an intermediate stage in energy conversion and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ower structure as a distributed power source. However, the problem of the collective energy business has recently emerged due to the worsening profitability of some collective energy operators. This study measured the technical efficiency of major operators through the estimation of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Korean collective energy operators, and based on this, we looked at ways to improve the profit structure of operators. After collecting detailed data from 16 collective energy operators between 2016 and 2019,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operators was estimated using the panel stochastic frontier model. As a result of the estimation, combined steam power operators showed the highest production efficiency and reverse CHP operators showed the lowest efficiency. Furthermor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profit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production efficiency has a positive effect on overall profitability. However, businesses with a high proportion of heat production, such as small district electricity operators, profitability was lower. This phenomenon is due to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current heat sales market. Hence, the adjustment of the heat sales unit price is necessary to improve profitability of collective energy operators.

Developing an Effective Business Integration System (효율적인 통합 시스템의 구축)

  • 박두순;안종근;정재헌;이종섭;최정욱;정우진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1.11a
    • /
    • pp.207-210
    • /
    • 2001
  • 기업의 효율적인 정보시스템 구축은 정보화 사회에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기업의 성장 규모, 기업의 요구사항, 기업의 보다 향상된 업무를 위해 시스템을 능동적으로 구현, 확장, 재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중소 업체에서는 한 번에 많은 투자를 해야되는 종합 정보화 시스템보다는 생산 관리, 인사 관리, 회계 관리 등 각각에 대해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서로 각각 개발된 프로그램들은 그 활용도나 연관성 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주)두양금속의 기존에 사용중인 영업관리, 생산 관리, 인사 관리, 회계 관리 시스템을 통합하고자 이미 구축된 시스템을 분석하고 각각의 독립된 업무를 연계하여 효율적인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Affinity Separation of Proteins by Hollow-Fiber Membrane Module Column (실관막 모듈 분리관에 의한 단백질의 친화성 분리)

  • 이광진;염경호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10a
    • /
    • pp.77-79
    • /
    • 1996
  • 근래들어 생물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생물반응을 통해 다양한 생물제품들의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생물반응에 의한 생물제품들의 생산량은 극단적으로는 기질 1g당 10$^{-8}$g 정도로서 극히 낮아 이를 상업제품이 요구하는 순도(95 %이상)로 까지 정제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치는 복잡하고 지루한 분리.정제 과정이 필요하며, 이 분리.정제의 후류공정(downstream process)비용이 생물제품 생산비의 상당부분을 점유케 되어 생물공정의 경제성을 낮게 한다. 따라서 생물공정을 이용한 생물제품 생산이 산업적으로 경제성을 갖기 위해서는 생물제품을 보다 효율적.경제적으로 분리.정제할 수 있는 후류공정의 확립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적 규모로 생산되는 생물제품들을 효율적으로 분리.정제하는데 응용 가능한 방법의 하나로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책체 크로마트그래피 기법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 PDF

추출용매와 농도에 따른 배 페놀성물질의 추출

  • Jang, Sun;Eun, Jong-B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38-139
    • /
    • 2003
  •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배의 생산은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고 2010년까지 계속 증가될 전망이다. 한편 재배기술에 의한 미숙, 태풍에 의한 낙과, 수확 후 저장중 손상으로 약 15%의 배가 유실된다. 이러한 상품성이 낮은 배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배를 기능성식품 소재로 이용하고자 배의 페놀성물질 추출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추출용매와 농도에 따른 추출율을 비교하였다. 신고배 과피를 신선시료, 열풍건조시료와 동결건조시료 3가지 상태로 하여 methanol, ethanol, acetone과 물 추출물을 Folin-Denis법으로 총페놀성물질의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시료의 상태에 따라 추출효율에 약간의 차이를 볼 수 있었는데 신선시료에서 모든 농도범위에서 아세톤의 추출효율이 가장 높았고 메탄올, 에탄올과 아세톤 3용매에서 모두 60∼80% 농도범위에서 높은 추출효율을 보였다. 그리하여 3가지 용매에서의 최적추출농도를 알아보고자 60∼80% 범위내에서 5%농도 간격으로 페놀성물질을 추출하여 그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메탄올에서는 70%와 75%에서, 에탄올에서는 70%에서, 아세톤에서는 65%, 70%, 75%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신선시료에서 메탄올, 에탄올과 아세톤으로 페놀성물질 추출 시 약 70% 농도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물 추출은 가장 낮은 효율을 보였다. 열풍건조시료에 대한 각용매의 농도별 추출효율은 아세톤의 농도가 높을수록 추출효율이 떨어졌고 특히 무수 아세톤에서는 그 효율이 물 추출효율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20∼80% 범위에서 아세톤의 추출효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에탄올, 메탄을 순이었다. 아세톤은 40∼60% 범위에서, 에탄올은 60∼80% 범위에서, 메탄올은 60∼99% 범위에서 높은 추출효율을 보여 각각 이 농도범위에서 다시 총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각농도에 따른 추출함량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동결건조시료에서 아세톤에 의한 추출효율은 열풍건조시료에서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고 또한 20∼80% 농도범위에서 메탄올의 추출효율이 가장 낮았고 다음은 에탄올, 아세톤의 순으로 높았다. 물 추출효율은 20% 메탄을 추출효율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메탄올에서는 60∼80%, 에탄올과 아세톤에서는 40∼60% 범위에서 높은 추출효율을 보였다. 마찬가지로 이 농도범위에서 최적의 추출농도를 확인하고자 각 용매와 농도별로 페놀성물질을 추출하여 그 함량을 측정한 결과 메탄올에서는 5% 농도차이가 그 추출효율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탄올에서는 40%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 측정되었고 아세톤에서는 50%에서 측정되었다. 따라서 시료의 상태와 상관없이 배 과피의 페놀성물질 추출용매로는 40∼70%의 함수 아세톤이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alyzing the Productivity of Korean Rail Transit Authorities: A Nonparametric Malmquist Approach (한국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생산성 : 비모수적 Malmquist 접근법에 의한 분석)

  • Kim, Min-Jung;Kim, Sung-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6
    • /
    • pp.35-47
    • /
    • 2004
  •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this paper annually estimates Malmquist total factor productivity indices and decomposes them into productive efficiency change, technical change, and scale change components for three publicly-owned rail transit properties: the Seoul Subway Corporation(SSC), the Seoul Metropolitan Electrified Railways Sector of Korea National Railroad (SMESRS) and the Busan Urban Transit Authority (BUTA). The paper then conceptualizes that the property produces a single output(car-kilometers) using four inputs(labor, electricity, car and maintenance, and track) and uses unbalanced panel data consisted of annual observations on SSC, SMESRS and BUTA. The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productivity of the three properties is 6.6 percent, which is 0.5 percent less than the average annual increasing rate of their labor price. They also show that the greatest part of the growth in productivity is explained by technical change and to a lesser degree by scale change and changes in productive efficiency though each of the three components contributes more than 20 percent to the growth in produ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hree properties should base the increasing rate of their wages on the growth rate of their productivity and utilize existing technologies more efficiently prior to introducing new ones to raise their productivity, and that all the three components should be considered to evaluate their productivity more correctly.

Analysis on Productivity Change in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using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Malmquist 생산성 지수(MPI)를 이용한 한국 조선 산업의 생산성 변화)

  • Park, Seok-Ho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4 no.1
    • /
    • pp.51-6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ductivity change of the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between 2001-2008 and 2008-2015 by using MPI(Malmquist Productivity Index) to decompose the sources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into technical efficiency change, scale efficiency change, pure efficiency change, technical change.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2001-2008), productivity increased by 2.8%, which was due to technological advances rather than technical efficiency. In the second half (2008-2015), productivity change declined by -3.4%. This is attributable to the technical efficiency deterioration and technological degeneration caused by a decrease in shipbuilding orders due to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rise of Chinese shipbuilding industry. In the first half of the period, productivity change was higher than in the second half. Especi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eriods is attributed to the technical change and it was proved by statistical verification.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paper suggest that the government and each DMU need to develop new technologies to cope with changes in the global shipbuilding industry environment and strategies to eliminate inefficiencies in order to increase productivity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