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라이'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8초

일부 서울지역에서 라이다를 이용한 황사 현상 관측 (Observation of Yellow sand using lidar, in Seoul)

  • 김윤신;정경훈;권성안;박주현;조용성;김현탁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7-68
    • /
    • 2001
  • 우리 나라가 위치한 동북아 지역은 급속한 산업 및 경제활동 증가로 세계의 주요 오염 지역으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중위도 편서풍대 위치한 우리 나라는 주로 3월과 4월 황사의 영향을 받고 있다. 사막에서 발생한 모래먼지는 시정을 악화시키며 이들 중 미세한 입자(0.1~10$\mu\textrm{m}$)는 산란과 흡수를 통하여 대기의 복사평형과 기후변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Carlson, 1980; Duce,1980; Shaw,1980). 이러한 현상은 주로 대기 중의 미세 입자의 광산란에 기인되는 것으로 도시 지역의 에어로졸의 분포 및 화학적인 성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중략)

  • PDF

상시관측소를 이용한 항공레이저측량 분석 (LiDAR Analysis Using GPS Observation Station)

  • 윤희천;장시훈;이건호;민승현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7-258
    • /
    • 2010
  • 최근 넓은 지역에 대해 신속하게 3차원 위치좌표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하여 항공레이저 스캐닝 시스템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가 활용되고 있다. 현재 작업규정에 따르면 GPS 기준국과 항공기 GPS 거리가 반경 30km 이내로 정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라이다측량을 수행하는 데 있어 국토지리 정보원에서 운영중인 GPS상시관측소를 이용한 데이터와 비교하고자 한다.

  • PDF

Wi-Fi 기반의 공작기계 모니터링 (Monitoring of the Machine Tool based on Wi-Fi)

  • 김관형;정영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60-1061
    • /
    • 2015
  • 국내 공작기계 시장은 일본 화낙사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비중이 80[%] 전후이며 그 비중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최근, 기계가공 분야에서도 IoT(Internet of Thins) 환경을 도입하여 공장의 스마트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공작기계를 소유하고 있는 산업현장에선 공작기계에 관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공작기계의 가동률 체크 뿐만 아니라 가공패턴 및 가공시간 등을 견적서 자료로 활용하려하고 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가공기계 분야에도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시스템을 도입하여 생산 공정관리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생산 현장을 감안하여 공작기계에 대한 공정 모니터링 기능 및 스마트화가 무엇보 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화낙(fanuc)에서 제공하는 FOCAS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공작기계 가동률에 대한 체크가 가능하도록 Wi-Fi 기반의 데이터 전송 모듈을 개발하여 공작기계 모니터링에 필요한 소형의 통신모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임베디드 자바가상머신을 위한 쓰레드 클래스 라이브러리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read Class Library Based On Embedded Java Virtual Machine)

  • 정명조;차태성;조희남;백대현;이철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B)
    • /
    • pp.358-360
    • /
    • 2002
  • 자바 기술의 특성은 자바가상머신(Java Virtual Machine 이하 JVM)이 탑재되어 있다면 어떤 환경에서라도 동일하게 수행되는 플랫폼 독립성과 온라인 서비스 상에서 신뢰성이 없는 정보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해 주는 강력한 보안성, 객체 직렬화와 원격 메소드 호출을 통한 네트워크 mobility 로 요약할 수 있다. 이 특성 중에 플랫폼 독립성은 자바 기술의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플랫폼 독립성이 보장되기 위한 전제 조건이 있는데 JVM을 어느한 플랫폼에 탑재하기 위해 플랫폼에 의존적인 부분(입출력, 쓰레드, 그랙픽등)을 JVM 계층과 클래스 라이브러리 계층에서 구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점은 자바 기술의 본 소유회사인 SUN 사에서 제공하는 specification 에서도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아서 실제로 JVM 개발자나 클래스 라이브러리 개발자에게 아주 힘든 작업을 요한다. 본 논문에서는 플랫폼에 의존적인 부분 중 쓰레드를 지원하기 위한 클래스 라이브러리를 구현하고자 한다.

  • PDF

클라이언트-서버 주기억 데이타베이스 환경에서의 트랜잭션 관리 (Transaction management in a client-server main memory DBenvironment)

  • 조성제;김경창;김기룡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765-1776
    • /
    • 1996
  • 클라이언트=서버 DBMS구조는 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연구되고 있으나 고장회복과 동시성 제어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상태다. 기존의 회복 기법은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로그 레코드들과 해당 데이터 페이지들을 서버에 전송 함으로써 발뱅하는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점이 필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수행 완료된 로그 레코드들만을 전송하여 기존의 회복 기법에서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제거한다. 또한 서버는 수행 완료된 로그 레코드들만을 관리하여 서버 파손 발생시 분석, 재수행 동작만을 수행하는 간단한 회복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클라이언트에서 철회 동작을 함으로써 시스템의 병렬성을 높이고 서버 파손시 전체 데이터베이스 회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페이지 단위의 회복 기법도 제안한다. 또한 기존의 동시성 제어기법은 같은 페이지를 동시 사용하지 못함으로써 불필오한 대기시간(waiting time)이 증가된다. 본 논뭉에서는, 기존의 기법과 달리, 같은 페이지 내에 다른 데이터를 접근하는 트랜잭션에게 페이지를 허용함으로써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의 병렬성을 향상시켰다.

  • PDF

인공광을 이용한 고추 건조기술 연구 (A Study on the Drying of Red Pepper by Using Artificial Lighting and Heated Air)

  • 이선호;조광환;김유호;이영민;조영길;오성식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2-368
    • /
    • 2002
  • 가. 인공광원은 색온도, 연색지수, 파장대, 조도등에서 태양에 가장 근접한 메탈할라이드 등을 선정했다. 나. 광원을 공시비닐하우스에 적용키 위해 반사갓 재료 및 각도, 등 간격별로 요인시험한 결과 엠보싱처리 알루미늄 재료, 반사갓 각도 전후좌우 30$^{\circ}$, 등간격 550mm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나 비닐하우스용 고추건조장치의 장조사부 설계.제작에 적용하였다. 다. 건조성능시험결과 시험구(인공광+열풍)가 대비구(열풍)에 비해 건감속도가 10.3-19.7% 향상되었고, 건조에너지도 16.1~17.1%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 시험구 및 대비구의 색택(ASTA color) 및 당도에 대해 F-test 검증결과 5% 유의수준에서 고도의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STA color값은 차이가 컸으나 당도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하우스 열풍건조에 비해 색택 및 성분면에서 양호하기 때문에 비닐하우스 건조방식을 채택하는 농가를 대상으로 인공광조사 건조방식을 추가한다면 전천후 건조방식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FPGA를 이용한 NCC기반의 실시간 스테레오 매칭 프로세서 구현 (FPGA implementation of NCC-based real-time stereo matching processor)

  • 김병진;배상민;고광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22-325
    • /
    • 2011
  • 스테레오 비전 시스템에서 전통적인 매칭 알고리즘으로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s), SSD(Sum of Squared Differences), NCC(Normalized Cross Correlation) 등 다양한 알고리즘이 존재한다. 그러나 하드웨어로 실시간 처리를 위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리소스가 한정 되어있다는 제약 때문에 많은 연구에서 SAD 혹은 RT(Rank Transform), CT(Census Transform)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FPGA 내부에는 BRAM(Block RAM)과 MAC(multiply-accumulator)인 DSP슬라이스가 이미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BRAM과 DSP로직을 활용해서 전통적인 매칭 알고리즘 중에서 연산기 사용이 가장 많은 NCC를 FPGA로 실시간 처리 가능한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한다.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비컨 교환을 이용한 아웃라이어 탐지 기법 (An Outlier Detection Algorithm using Beacon Messaging in Sensor Networks )

  • 여명호;성동욱;조용준;유재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17-421
    • /
    • 2008
  • 아웃라이어 탐지는 일반적이지 않은 특징을 가진 데이터를 찾는 기법으로 데이터 마이닝 분야의 중요한 연구 중 하나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응용분야에서 아웃라이어를 효과적으로 탐지하기 위한 인-네트워크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비컨 교환을 통해 데이터 교환 비용을 줄이고, 슬라이딩 윈도우를 이용하여 센서 노드간 불필요한 데이터 수신(overhearing)을 줄인다. 실험 결과, TDMA 를 이용하여 모든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Naïve 기법에 비해 평균 86.92% ~ 133.67% 네트워크 수명이 연장되었다.

회피 기능을 가진 장애물 극복 추종 주행 로봇 (Robot that can be driven on irregular roads with tracking and obstacl avoidance functions)

  • 김성은;안지은;박서현;전다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41-1042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고르지 않은 도로에서 사용자를 인식하고 따라다니며, 적재물을 안정적으로 운반하는 로봇을 제안합니다. 기존의 바퀴 구동 방식은 계단이나 울퉁불퉁한 지형에 부딪혔을 때 주행이 제한적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저희는 로커-보기(rocker-bogie) 메커니즘을 적용했습니다. 비전을 통해 사용자를 특정하고, 크기에 따라 속도를 조절하며 추종합니다. 라이다는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 회피, 주행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가속도센서와 리니어 모터를 사용하여 밸런싱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아두이노 기반의 자율주행 유아용전동차 알고리즘 구현 (Implementation of Autonomous Ride-On Toy Car Algorithm Based on Arduino)

  • 최지예;이민서;홍나리;이혜연;전일용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53-1154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유아용전동차가 실제 도로와 유사한 환경의 트랙을 자율주행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라이다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선을 따라 주행하고, 장애물을 회피하고 신호등의 지시에 따라 정지하고 출발하며, 후진 주차를 완수하는 알고리즘을 완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