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86%B3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A New Sesquiterpene Hydroperoxide from the Aerial Parts of Aster oharai

  • Choi, Sang-Zin;Lee, Sung-Ok;Choi, Sang-Un;Lee, Kang-R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7호
    • /
    • pp.521-525
    • /
    • 2003
  • Phytochemical works on the aerial parts of Aster oharai (Compositae) led to the isolation of a new sesquiterpene hydroperoxide, 7$\alpha$-hydroperoxy-3, 11-eudesmadiene (2) and seven known compounds, teucdiol B (1), $\alpha$-spinasterol (3), oleanolic acid (4), $\alpha$-spinasterol 3-Ο-$\beta$-D-glucopyranoside (5), methyl 3,5-di-Ο-caffeoyl quinate (6), 3,5-di-Ο-caffeoylquinic acid (7), 3,4-di-Ο-caffeoylquinic acid (8). The chemical structures of 1-8 were established by chemical and spectroscopic methods. Compound 2 showed cytotoxicity against cultured human tumor cell lines in vitro, SK-OV-3 (ovarian), SK-MEL-2 (skin melanoma), and HCT15 (colon) with $ED_{50}$ values ranging from 3.86-17.21 $\mu$g/mL.

Synthesis and Anticonvulsant Evaluations of N-Cbz-$\alpha$-amino-N- alkoxyglutarimides

  • Kim, Min-Jeong;Byun, Ae-Sun;Choi, Jong-Won;Moon, Kyung-Ho;Lee, Chung-Kyu;Park, Min-S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2호
    • /
    • pp.151-155
    • /
    • 2004
  • In our previous studies for the development of new anticonvulsant of broad spectrum, we found that N-cbz-$\alpha$-aminoglutarimides showed significant anticonvulsant activities of broad spectrum enough to be recommended for the new anticonvulsants and their anticonvulsant activities were dependent on their imide substituent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various N-cbz--$\alpha$-amino-N-alkoxyglutarimides, where the imide N-H was substituted with the hydroxy and alkoxy group, were prepared and evaluated for their anticonvulsant activities using the Maximal electroshock seizure (MES) and Pentylenetetrazole induced seizure (PTZ) tests and also the rotorod test. A series of (R) or (S)-N-cbz--$\alpha$-amino-N-alkoxyglutarimides could be prepared from the corresponding (R) or (S)-N-cbz-glutamic acid following the usual synthetic procedure. Among them, (R)-N-cbz--$\alpha$-amino-N-hydroxyglutarimide ($ED_{50}$=86.25 mg/kg) was most active in the MES test. In the case of the PTZ test, (R)-N-cbz--$\alpha$-amino-N-benzyloxyglutarimide ($ED_{50}$= 62.5 mg/kg) was most active. Among the tested compounds, 2a-c, 3a, and 3b showed anticonvulsant activities in the MES and PTZ test. All of the tested compounds, except 2f and 3f, showed significant anticonvulsant activities in the MES or PTZ test. In addition, the neurotoxicities of these compounds were comparable to other anticonvulsant drugs.

다제내성 결핵 균주에서 리팜핀과 리파부틴간의 교차내성률 및 rpoB 유전자 돌연변이와의 연관성 (Cross-resistance Between Rifampicin and Rifabutin and Its Relationship with rpoB Gene Mutations in Clinically Isolated MDR-TB Strains)

  • 김병주;오승환;조은진;박승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2호
    • /
    • pp.171-179
    • /
    • 2006
  • 목 적 : RFP과 RBU 사이의 교차 내성률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rpoB 돌연변이가 이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본원에서 동정되어 보관중인 다제내성 결핵균주를 대상으로 하여 두 약물간의 교차 내성률 및 rpoB 돌연변이와의 연관성을 조사함으로써 다제내성 결핵의 치료에 있어 RBU의 효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한 해 동안 본원 검사실에서 다제내성 결핵균으로 동정되어 보관중인 130균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RFP과 RBU의 내성검사는 L-J 배지를 이용한 절대농도법으로 시행하였으며 추가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농도를 이용하여 RBU의 MICs를 조사하였다; 10, 20, 40, 60, $120{\mu}g/ml$. 내성기준농도는 RFP의 경우 $40{\mu}g/ml$, RBU의 경우 $20{\mu}g/ml$로 하여 내성유무를 판정하였다. rpoB 돌연변이는 LiPA법을 이용한 REBA $MTB-Rifa^{(R)}$검사로 조사하였으며 염기서열분석을 의뢰하여 그 결과를 검증하고 구체적인 개별 돌연변이양상을 알아보았다. 결 과 : RFP은 모두 내성으로 확인되었고 RBU의 $MIC_{50}$$80{\mu}g/ml$, $MIC_{90}$${\geq}160{\mu}g/ml$였으며 RFP과 RBU간의 교차내성률은 70.5%였다. REBA $MTB-Rifa^{(R)}$검사 결과 rpoB 돌연변이는 대부분 코돈 524-534 사이에서 발생하였고 검사를 시행한 100균주 가운데 98개의 균주에서 돌연변이가 확인되어 RFP내성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율은 약물감수성검사와 비교하여 98%의 일치율을 보였다. 염기서열분석결과 코돈 531과 513의 돌연변이는 돌연변이의 양상에 관계없이 항상 RBU내성과 관련되어 있었던 반면 코돈 526의 돌연변이는 돌연변이의 양상에 따라 내성 혹은 감성과 관련되어 있었다. 가장 흔한 돌연변이는 Ser531Leu로 전체의 45.5%를 차지하였다. 약물감수성검사에 비추어 His526Gln, His526Leu, Leu533Pro, Gln513Glu, Leu511Pro가 감성 돌연변이로 판단되었다. 결 론 : 두 약제간의 내성률을 고려하여 볼 때 RBU은 일부 다제내성 결핵의 치료에 있어서 효과가 있겠다. 우선 RBU에 대한 전통적인 약물감수성 검사를 도입하여 적절한 내성기준농도를 확립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현재까지 rpoB 유전자 검사법은 임상에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색각 능력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전산화된 다중 15-색상 배열 검사법 (Computerized Multiple 15-hue tests for Quantifying Color Vision Acuity)

  • 고성택;홍성철;최민주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21-331
    • /
    • 2000
  • 색상 배열 검사법은 기준 색편을 시작으로 다수의 색편을 가장 유사한 것들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하도록 하여 피검사자의 색각 능력 (색력)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색각 능력을 신속히,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다중 15-색상 배열 검사법을 구성하여 PC에 구현하였다. 검사의 난이도는 인접한 색편간의 색상 차 (CDBACC: color difference between adjacent color chips)의 크기로 조정하였다. CDBACC는 국제조명 위원회에서 추천한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DBACC가 0.75, 1.1. 1.8, 2.5. 3.5, 7.5. 11, 14의 값을 가지는 8단계 난이도의 색상 배열 검사법 (test 3-10)과 빨강, 녹색, 청색의 채도 변화를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15 개의 색편을 구성한 3 가지 기본색 배열 검사법(test 11(R), 12(G), 13(B))을 설계하였다. PC에 구현된 다중 15-색상 배열 검사의 평가를 위해 이시하라식 검사법으로 색맹인 아닌 30 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피검사자의 색상 배열 정확도는 CDBACC가 2 - 4.5인 영역에서 급격히 변하고 있으며, CDBACC 값이 5 이상에서는 대부분의 피검사자들이 오차 없이 색편을 배열한 반면, 2 이하에서는 아무도 정확히 색편을 배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색배열 검사 (CDBACC : 6.87. 7.27. 7.86)에서는 CDBACC가 5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색편 배열에 대한 매우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색력의 척도라 할 수 있는 피검사자의 색편 배열 정확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검사의 색상 차의 평균값은 3으로 나타났으며, 이때의 ERCCA (error rate of color chips arrangement)은 $20\%$로 나타났다. 븐 연구에서 PC에 구현한 다중 15-색상 배열 검사법은 피검사자의 색각 능력을 신속히 세밀하게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경제적인 도구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후천성 색각 이상을 유발하는 질환 (예 diabetes, glaucoma)을 집단 검진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간흡충 감염 가토의 면역진단에 대한 연구 2. 성충 조항원의 정제 및 발육단계별 항원 분석 (Studies on the Immunodiagnosis of Rabbit Clonorchiasis 2. Immunoamnity purification of whole worm antigen and characterization of egg, metacercaria and adult antigens of Clonorchis sinensis)

  • 이옥란;정평림;남해선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2호
    • /
    • pp.73-86
    • /
    • 1988
  • 간흡충(Clonorchis sinensis)의 조항원(WWA), 정제항원(ABA)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비교해 보는 한편, 발육단계별로 충란 항원(EGA)-피낭유충 항원(MEA)-성충 항원(WWA)의 단백질 구성물질의 차이를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SDS-PAGE)로 관찰하고 이들 항원의 유용성을 효소면역반응(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으로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간흡충의 조항원으로부터 정제된 항원(ABA)은 항체와 결합한 결합항원(affinity-purified antibody(IgG) binding antigen:ABA)으로서 Ouchterlony 반응으로 간흡충 감염 가토혈청과 4개의 침모대 (WWA는 7개)를 형성하였다. WWA의 major protein들은 분자량 16,300∼18,500 및 28,000∼29,000 dalton의 Polypeptide band였고, ABA는 분자량 18,000∼21,000 및 29,000∼31,000 dalton의 단백질로 다소의 차이를 보였다. ELISA시첩에서 ABA는 WWA에 비해 현저히 민감도가 낮았다. WWA와 ABA에 대한 폐흡충 감염 사람혈청의 ELISA 정사에서 WWA는 Ouchterlony 양성자 8예중 3예에서 교차반응을 나타내었으나 ABA는 교차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간흡충의 발육단계별 항원 단백질의 분자량 범위는 WWA 11,000∼80,000, MEA 15,000∼100,000, EGA 15,000∼200,000 dalton이었다. 주류원 단백질의 분자량은 EGA는 각각 36,600 (band No. 22), 38,500(No. 20), 64,000(No. 9), 62,000(No. 10), 54,500(No. 11), 53,000(No. 12) dalton, MEA는 각각 65,600(No. 3), 44,700 (No.7), 43,900(No. 8) dalton, WWA는 각각 16,300∼18,500(No. 31-32), 28,000∼29,000(No. 25), 11,000w13,000 (No. 35) 및 31,000(No. 24) dalton이었다. 즉, MEA와 EGA가 WWA보다 고분자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각 발육단계별 항원의 항원성은 ELISA 반응으로 볼 때 WWA가 가장 높았고, MEA는 약한 항원성만을 나타내었으며 EGA는 음성이었다. WWA와 간흡충 감염 가토혈청은 감염 4∼6주에 OD>1.0, 12주 이후 항체가의 plateau를 나타내었으나 MEA는 Ouchterlony 반응에서 EGA와 함께 음성반응을 보였다. ELISA에서도 중감염군(12∼20주)에서만 OD>0.6으로 미약한 항원성이 인정되었으며 경감염군은 전감염기간중 OD<0.6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성충 항원이 가장 강력한 함원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음이 명백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성충 조항원은 면역진단에 사용할 겹우 타흡충과의 빈번한 교차반응이 예상되므로 민감도 및 특이도가 높은 정제 항원물질을 분리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