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A0%90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8초

삼채에 발생하는 점박이응애에 대한 10종의 살비제 감수성 평가 (Evaluation of Susceptibility to 10 kinds of Acaricides Against Two-Spotted Spider Mites (Tetranychus urticae) in Hooker Chives)

  • 강주완;김치현;신호철;이근식;김태화;박정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399-405
    • /
    • 2020
  • 본 실험은 삼채에 발생하는 점박이응애의 효율적인 약제방제전략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시판되고 있는 10종의 살비제에 대해 약제감수성과 포장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점박이응애 암컷 성충에 대한 실내감수성 평가 결과 Abamectin EC, Pyflubumide SC, Cyenopyrafen SC, Acequinocyl SC가 100%의 살비효과를 나타내었고, Pyflubumide SC, Acequinocyl SC, Etoxazole SC는 부화율이 0%로 나타나 100%의 살란효과를 나타내었다. 실내감수성 평가에서 살비효과가 우수했던 Abamectin EC, Pyflubumide SC, Cyenopyrafen SC, Cyflumetofen SC, Acequinocyl SC를 대상으로 포장검정을 평가한 결과, 약제처리 7일차에서 모든 처리구는 90.3%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다양한 종류의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혼합에 따른 물리·화학성 변화와 계절별 육묘를 위한 상토 선발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arious Blends of Peatmoss and Perlite and the Selection of Rooting Media for Different Growing Seasons)

  • 심창용;김창현;박인숙;최종명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6호
    • /
    • pp.886-897
    • /
    • 2016
  • 공정육묘장들이 계절별 기상환경에 적합하도록 혼합상토의 조성을 변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계절별(하절기, 동절기, 봄 가을) 육묘에 적합한 상토를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을 위해 다양한 국가에서 수입된 8종류의 피트모스와 입경이 다른 4종류의 펄라이트를 수집한 후 비율을 피트모스 7: 펄라이트3(v/v)으로 고정시킨 32종류의 상토를 만들었다. 이 후 공극률, 기상률 및 액상률의 삼상분포, 그리고 pH, EC 및 무기물 함량 등 화학성을 분석한 후 6종류 상토를 선발하였다. 선발 된 상토를 대상을 추가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수분량(EAW)과 완충수분(BW), cation exchange capacity(CEC) 그리고 각종 화학성을 분석하여 기비 혼합을 위한 판단기준으로 삼았다.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혼합한 상토는 공극률 64.7-96.0%, 용기용 수량 42.9-90.1%, 그리고 기상률이 1.3-27.8%의 범위로 측정되었고, 혼합되는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종류에 따라 물리성의 차이가 컸다. 피트모스의 pH와 EC가 각각 2.96-3.81 및 $0.08-0.47dS{\cdot}m^{-1}$로 분석되었지만 펄라이트를 혼합한 후 pH가 상승하고 EC가 낮아졌다. 하절기용으로 선발한 Blonde Golden peatmoss(BG) + 펄라이트(입경 1mm 이하) 1호(PE1)와 Latagro 10mm 이하(L1) + 펄라이트(1-2mm) 2호(PE2) 상토는 공극률, 용기용수량 및 기상률이 각각 89.8-90.9, 80.8-81.3 및 9.0-9.7%였다. 동절기용으로 선발한 Sfagnumi Turvas(ST) + PE2와 Laragro 20-40mm(L3) + PE2 상토는 이들 세 종류 항목이 각각 79.9-86.7, 60.4-74.9 및 11.8-19.6% 그리고 봄 가을용인 BG + 펄라이트 2-5mm(PE3)와 Orange peatmoss(O) + PE3이 각각 85.2-87.3, 77.9 및 7.4-9.4%이었다. EAW는 봄 가을과 하절기용이 각각 24.2-24.9%, 22.0-28.6%의 범위였지만 동절기용은 각각 18.0-21.8%로 측정되었으며, BW는 계절별로 선발한 상토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선발된 6종류 혼합상토의 pH는 3.11-3.97, EC는 $0.06-0.26dS{\cdot}m^{-1}$, 그리고 양이온치환용량은 $97-119meq{\cdot}100g^{-1}$ 범위에 포함되었다.

Optimal effect-site concentration of remifentanil for minimizing cardiovascular changes caused by fiberoptic nasotracheal intubation

  • Kim, Eun-Jung;Jeon, Hyun-Wook;Kim, Tae-Kyun;Baek, Seung-Hoon;Yoon, Ji-Uk;Yoon, Ji-Young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5권4호
    • /
    • pp.221-227
    • /
    • 2015
  • Background: Endotracheal intubation induces clinically adverse cardiovascular changes. Various pharmacological strategies for controlling these responses have been suggested with opioids being widely administered. In this study, the optimal effect-site concentration (Ce) of remifentanil for minimizing hemodynamic responses to fiberoptic nasotracheal intubation was evaluated. Methods: Thirty patients, aged 18-63 years, scheduled for elective surgery were included. Anesthesia was induced with a propofol and remifentanil infusion via target-controlled infusion (TCI). Remifentanil infusion was initiated at 3.0 ng/mL, and the response of each patient determined the Ce of remifentanil for the next patient by the Dixon up-and-down method at an interval of 0.5 ng/mL. Rocuronium was administered after propofol and remifentanil reached their preset Ce; 90 seconds later fiberoptic nasotracheal intubation was initiated. Non-invasive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HR) were measured at pre-induction, the time Ce was reached,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intubation, and at 1 and 3 minutes after intubation. The up-and-down criteria comprised a 20% change in mean blood pressure and HR between just prior to intubation and 1 minute after intubation. Results: The median effective effect-site concentration ($EC_{50}$) of remifentanil was $3.11{\pm}0.38ng/mL$ by the Dixon's up-and-down method. From the probit analysis, the $EC_{50}$ of remifentanil was 3.43 ng/mL (95% confidence interval, 2.90-4.06 ng/mL). In PAVA, the EC50 and EC95 of remifentanil were 3.57 ng/mL (95% CI, 2.95-3.89) and 4.35 ng/mL (95% CI, 3.93-4.45). No remifentanil-related complications were observed. Conclusions: The $EC_{50}$ of remifentanil for minimizing the cardiovascular changes and side effects associated with fiberoptic nasotracheal intubation was 3.11-3.43 ng/mL during propofol TCI anesthesia with a Ce of 4 ug/mL.

종이포트 육묘시 기비로 혼합된 질소 시비수준이 배추와 청경채 생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Varied Pre-planting N Levels in a Medium on the Growth of Chinese Cabbage and Pak-choi Seedlings in Paper Pot Raising)

  • 김현철;박명선;장윤아;안세웅;최종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42-351
    • /
    • 2019
  • 종이포트 육묘를 위해 조제한 피트모스(>2.84mm 체를 통과한 비율이 80-90%)와 펄라이트(1~3mm 등급) 혼합상토(7:3, v/v)의 적정 질소 기비 수준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비로 혼합한 질소 농도를 0, 150, 250, 500 및 $750mg{\cdot}L^{-1}$으로 조절하였고, 질소를 제외한 필수원소는 모든 처리에서 동일하게 농도를 조절하였다. 혼합상토를 40-cell 트레이에 충진한 뒤 배추 '춘명봄배추'와 청경채 '하녹청경채'를 파종하였고 파종 후 각각 21일 및 20일 육묘하였다. 파종 후 매주 상토를 수집하여 토양 pH, EC 및 무기원소 농도를 분석하였고, 재배 후 지상부 생장 조사와 식물체 무기원소 함량 분석을 하였다. 생장 기간 동안 상토의 pH는 완만하게 상승하였고, EC는 파종 3주 후 급격히 낮아졌다. 수확 시기에 배추를 육묘한 상토의 pH는 5.3~5.9의 범위로, 청경채를 육묘한 상토는 4.93~5.39의 범위로 측정되었고, 청경채를 육묘한 상토의 pH가 더 낮았다. 작물의 지상부 생장은 배추와 청경채 모두 질소 $250mg{\cdot}L^{-1}$ 처리구에서 우수했으며 질소 무처리구에서 생장이 가장 저조 하였다. 식물체내의 무기원소 함량 분석결과 질소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식물체내 질소 함량이 증가하고, P, Ca 및 Mg 함량이 낮아졌다. 질소 시비 수준에 따른 지상부 건물중 변화에서 배추는 $y=-0.0036x^2+0.0021x+0.0635(R^2=0.9826)$, 청경채는 $y=-0.16x^2+0.0009x+0.032(R^2=0.991)$의 회귀관계가 성립하였다. 생장이 가장 우수하였던 처리구의 건물중인 배추 0.40g 및 청경채 0.16g의 90%를 우량묘 생산을 위한 최저한계로 간주할 때 각각 0.36g 및 0.144g의 건물중을 생산해야 한다. 또한 90%에 해당하는 건물중을 회귀식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기비로 첨가할 질소 농도를 배추 육묘시 $196{\sim}250mg{\cdot}L^{-1}$으로, 청경채 육묘시 $187{\sim}250mg{\cdot}L^{-1}$으로 조절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미호천의 물 환경 탐구 - TOC를 중심으로 한 수질모니터링 - (Inquiry of Water Environment in Mihocheon (Stream) - Water Quality Monitoring focused on TOC -)

  • 류재홍;이두곤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31-739
    • /
    • 2007
  • In this study, water quality monitoring focused on TOC was performed at 5 points in Mihocheon (Stream) from January to December 2006. And 10 parameters (water temperature, pH, DO, EC, turbidity, SS, BOD, $PO_4-P$, TOC, TN) were monitored every month for one year. According to this study, TOC increased towards the lower stream (#4~#5).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OC and DO, EC, turbidity, SS, BOD, $PO_4-P$, TN were -0.126, 0.351, 0.320, 0.286, 0.711, 0.525, 0.666. TOC was highly related to BOD. As a result of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gression equation between BOD and TOC was BOD=0.58TOC+1.90 ($R^2=0.506$). In Mihocheon (Stream), BOD/TOC ratio decreased towards the lower stream. This results show decrease of ratio of biodegradable organic material to total organic pollutants towards the lower stream. This study is significant since it has revealed the potential value of TOC as organic material indicator for inquiry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the natural water system.

잔나비걸상 수용성물질의 Vesicular Stomatitis Virus(New Jersey Serotype)에 대한 항바이러스작용과 Interferon과의 병용효과 (Antiviral Effect of Water Soluble Substance from Elfvingia applanata Alone and in Combinations with Interferons Against Vesicular Stomatitis Virus (New Jersey Serotype))

  • 임교환;어성국;김영소;임재윤;한성순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2호통권89호
    • /
    • pp.175-179
    • /
    • 1999
  • 잔나비걸상 Elfvingia applananta 자실체의 수용성물질 EA의 vesicular stomatitis virus[New Jersey serotype, VSV(NJ)]에 대한 항바이러스효과를 plaque reduction assay에 따라 실험한 결과 EA는 용량의존적으로 plaque 형성을 억제하였으며 $EC_{50}$는 2.10 mg/ml이었다. 단백질성 항바이러스제인 interferon(IFN)과 EA와의 병용시험 결과 f(a)가 0.50에서 0.90인 유효농도범위에서 IFN alpha와 병용시 f(a)의 값이 커짐에 따라 상가작용 내지는 길항작용을 나타내었으며, IFN gamma와의 병용시에는 길항작용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IFN alpha와의 병용시 f(a)가 0.50내지 0.70의 유효농도 범위에서 상가효과가 있다.

  • PDF

휴믹산 농도가 유기농 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Humic Acid on Growth and Yield of Organically Cultivated Hot-Pepper)

  • 김민정;심창기;김용기;박종호;한은정;고병구
    • 유기물자원화
    • /
    • 제25권1호
    • /
    • pp.67-7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휴믹산을 농도별로 유기농 고추 유묘기와 생육기에 처리하였을 때, 고추의 발아, 생육,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고자 하였다. 0.05%와 0.1% 휴믹산을 상토에 처리하였더니 무처리보다 고추 발아율이 높았으나 0.4%와 1.0% 휴믹산의 발아율은 각각 90.0%와 86.7%로 96.7%의 무처리보다 낮았다. 고추유묘 정식 30일 후, 휴믹산을 0.05%나 1.0%는 무처리에 비해 생육이 감소하였으나 0.2% 휴믹산을 처리한 고추의 평균 초장(97.6 cm), 엽수(84.7개) 및 생체중($128.1g\;plant^{-1}$)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휴믹산 토양관주 처리 60일 후, 0.2% 휴믹산 처리구의 고추 초장이 유의적으로 가장 길었다. 0.2%, 0.1%, 0.05% 휴믹산 처리구의 평균 청과수는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0.4%와 1.0% 휴믹산 처리구의 평균 청과수가 각각 35.2개와 29.1개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풋고추의 생체중은 0.2% 휴믹산 처리구가 무처리에 비해 평균 $111.5g\;plant^{-1}$ 더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휴믹산 농도별 토양관주 60일 후, 1.0% 휴믹산 처리구를 제외하고 무처리에 비해 고추의 총무게($5.8kg\;plant^{-1}$)와 평균 무게($1.4kg\;plant^{-1}$)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0.2%와 0.1% 휴믹산 처리구의 고추 총무게가 각각 $9.3kg\;plant^{-1}$$8.6kg\;plant^{-1}$로 다른 처리농도에 비해 많았다. 휴믹산 토양관주 처리에 따른 토양의 세균, pH 및 EC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더니, 0.2% 휴믹산에서 토양의 세균밀도가 무처리구에 비해 3.5배 더 높게 나타났다. 휴믹산의 농도가 0.05%에서 1.0%로 증가함에 따라 고추재배 토양의 pH와 EC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천(Nandina domestica) 열매 분획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Nandina domestica Fruits)

  • 서수정;심규봉;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371-1377
    • /
    • 2011
  • 남천(Nandina domestica) 열매를 물과 에탄올 추출 후 극성이 상이한 유기용매를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각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은 EE(ethyl acetate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 922.22 mg/g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는 EB(butanol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 282.49 mg/g을 함유하였다. WA(aqueous of water extract)와 EH(n-hexane fraction of ethanol extract)는 0.1 mg/mL에서 93% 이상의 전자공여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분획물의 농도 증가에 따른 전자공여능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SOD 유사활성은 1.0 mg/mL의 EA(aqueous of ethanol extract)에서 56.36%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EH와 EC(chloroform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도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는 pH 1.2의 EC에서 82.03%로 가장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율은 0.5 mg/mL에서 WE를 제외한 모든 분획물에서 90% 이상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나, WE는 46.75%로 가장 우수한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남천 열매 분획물은 다량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생리활성 효과가 우수하여 천연 항산화 제재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개발 가능성을 지닌 약용 식물자원인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Operational Parameters on the Removal of Acid Blue 25 Dye from Aqueous Solutions by Electrocoagulation

  • Balarak, Davoud;Ganji, Fatemeh;Choi, Suk Soon;Lee, Seung Mok;Shim, Moo Joon
    • 공업화학
    • /
    • 제30권6호
    • /
    • pp.742-748
    • /
    • 2019
  • Influence of several experimental parameters (e.g., initial dye concentration, pH, distance between electrodes, applied voltage, electrical conductivity, current density, and reaction time) on the performance of electrocoagulation (EC) process for the removal of acid blue 25 (AB25) was studied. A bipolar batch reactor was used to test the impact of the parameters. The removal efficiency (RE) of AB25 dye was promoted by increasing the contact time, voltag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pplied current density. In contrast, RE of AB25 decreased with higher level of AB25 and the longer distance between electrodes. The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consistently until pH 7, but decreased above pH 7. The maximum efficiency of AB25 removal above 90% was obtained at a voltage of 60 V, reaction time of 90 min, distance between electrodes of 0.5 cm, initial concentration of 25 mg/L, conductivity of 3,000 μS/cm and pH of 7.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high RE of AB25 dye from the aqueous solution can be achieved by EC process.

Sol-Gel법으로 제조된 $PbTiO_3$ 강유전 박막의 구조적, 유전적 특성 (Structural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PbTiO_3$ Ferroelectric Thin Film Prepared by Sol-Gel Processing)

  • 김준한;백동수;박창엽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0권9호
    • /
    • pp.695-700
    • /
    • 1993
  • In this study, we prepared Pb-Ti stock solution by sol-gel processing and deposited PbTiO3 thin film on a Pt coated SiO2/Si wafer by spin coating using the stock solution. We used lead acetate trihydrate and titanium isopropoxide. The stock solution was partially hydrolized and finally a 0.25M coating solution was prepared. We achieved spin coating at 4000rpm for 30 seconds and heated the thin film at 375$^{\circ}C$ for 5 minutes and at $600^{\circ}C$ for 5 minutes successively, first and second heating state. And the thin film was finally sintered at 90$0^{\circ}C$ for 1 hour in the air. The upper electrode of the thin film was made by gold sputtering and was cricle shape with radius 0.4mm. Measured dielectric constant, dissipation factor and phase transition temperature(Cuire Temp.) were about 275, 0.02 and 521$^{\circ}C$ respectively. To observe ferroelectric characteristics we calculated Pr(remnant polarization) and Ec(coercive field) byhysteresis curve. Ec was 72kV/cm and Pr was 11.46$\mu$C/$\textrm{cm}^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