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B%B2%A0%EB%A5%B4%EB%B2%A0%EB%A6%B0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1초

대두단백질 분해균주 Bacillks subtilis EB464의 선발 및 분해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oy protein-degrading Strain, Bacillus subtilis EB464)

  • 박찬수;민대규;안용선;이지훈;홍순광;김정환;강대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0-215
    • /
    • 2002
  • 동물사료로 주로 이용되고 있는 대두박의 이용성을 높히기 위한 방안으로서, 전통발효식품에서 대두단백질 분해능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여 동정하였으며 Bacillus subtilis EB464로 명명하였다. 분리된 B. subtilis EB464를 대두박에 접종하여 고체배양할 경우, 단백질 분해효소의 최고활성은 배양 24시간 후에 300 PC/g에 달하였으며, 72시간 배양후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20.6%,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22.0%에 달하였다. B. subtilis EB464 균주가 분비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최적 pH는 9.0,최적 온도는 $50^{\circ}C$E.확인되었다. 본 효소는 $40^{\circ}C$에서는 안정하였으나 $50^{\circ}C$ 이상에서는 효소활성이 급격히 실활되었으며, pH 6.0에서 10.0가지의 광범위한 pH에서 상당히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 전처리에 의한 상황버섯 β-glucan 추출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ushroom Phellinus baumii extracts with enzyme pretreatment)

  • 손은지;류은아;이상한;김영찬;황인욱;정신교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1호
    • /
    • pp.101-10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상황버섯의 효소 가수분해 전처리를 통한 ${\beta}-glucan$의 최적 추출조건을 확립하고 그에 따른 활성을 알아보고자 추출 조건에 따른 생이화학적활성을 측정하였다. 효소가수분해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해 실시한 반응표면분석법의 결과 0.66%(v/v)의 viscozyme 농도에서 6.08시간 반응하는 것이 최적이라 예측되었으며($R^2=0.9245$), 이에 따라 최적 추출 조건에서 추출한 시료의 ${\beta}-glucan$ 함량은 1.9594 g/100 g으로 측정되었다. 추출 수율(0.76-16.40%)은 EBE가 NEBE에 비해 약 3배 높았다. ${\beta}-glucan$ 순도(11.15-59.05%)로 가장 높았으며, ${\beta}-glucan$ 함량 또한 0.26-3.38 g/100 g으로 EB (3.38 g/100 g)가 가장 높았다. 총당 함량(0.61-1.17 mg/mL)은 NEB, EB가 NEBE, EBE보다 높았으며, EB가 가장 높았다. 구성당 분석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gluc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와 효소 전처리구 모두 정제하면서 그 비율이 증가하였다. 단백질 함량(0.44-11.73 mg/mL)은 NEBE, EBE가 NEB, EB보다 높았으며, EBE가 가장 높았다. FT-IR 분석 결과 $890cm^{-1}$ 부근에서 peak가 확인되었기에 ${\beta}-glycosidic$ linkage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MTT assay를 통해 B6F10과 SK-MEL-5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 B6F10의 경우 대조구의 세포 생존율을 100%로 하였을 때 세포 생존율이 80% 이상으로 나타나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SK-MEL-5에서는 EBE를 $10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세포 생존율이 75%로 나타나 약간의 세포독성을 보였다. Wound healing assay를 통해 암세포 증식 억제활성 측정 결과, 정제한 NEB, EB가 NEBE, EBE보다 활성이 높았으며, 특히 12시간일 때 EB $30{\mu}g/mL$를 처리한 경우 B6F10과 SK-MEL-5 모두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Human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hACAT) Inhibitory Activities of Triterpenoids from Roots of Glycine max (L.) Merr

  • Lee, Jin-Hwan;Ryu, Young-Bae;Lee, Byong-Won;Kim, Jin-Hyo;Lee, Woo-Song;Park, Yong-Dae;Jeong, Tae-Sook;Park, Ki-H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9권3호
    • /
    • pp.615-619
    • /
    • 2008
  • Eight triterpenoids, six lanostanes 1-6, one lupenane 7, and one oleanane 8, were isolated by bio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ethylacetate extract from roots of Glycine max (L.) Merr. All isolated compounds were examin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human ACAT-1 (hACAT-1) and human ACAT-2 (hACAT-2). Among them, three triterpenoids showed potent hACAT inhibitory activities, (24R)-ethylcholest-5-ene-3,7-diol (1) and 3b -hydroxylup-20(29)-en-28-oic acid (7) exhibited more poten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hACAT-1 (1: IC50 = 25.0 1.2 and 7: IC50 = 11.5 0.4 m M) than hACAT-2 (1: IC50 = 102.0 5.4 and 7: IC50 = 33.9 3.7 m M), respectively. Interestingly, 5a ,8a -epidioxy-24(R)-methylcholesta-6,22-diene-3b -ol (4) has proven to be a specific inhibitor against hACAT-1 (IC50 = 38.7 0.8 m M) compared to hACAT-2 (IC50 >200). In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study to demonstrate that triterpenoids of G. max have potent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hACAT-1 and hACAT-2.

회전원판 반응조에 고정화시킨 Aspergillus sojae B-10에 의한 반응성 염료의 탈색 (Biodergradation of Reactive Dyes Using Multistage Rotating Disc Contactor Immobilized by Aspergillus sojae B-10)

  • 류병호;김동석;진승록;정종순;원용돈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9-55
    • /
    • 1995
  • Dyes are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as industrial wasterwater. Dyes are considered to be a pollution problem because of the wide spread into environment with a variety of colors. Continuous biodegradation of reactive dyes such as Rifacion Red H-3EB, Rifazol Blue BT, Rifacion Yellow P4G and Rifacion Brown RT were demonstrated using multistage rotating disc contactor immobilized by Aspergillus sojae B-10. Aspergillus sojae B-10 was cultivated the optimal medium containing 2.0% glucose, 0.08% $NaNO_3$, 0.1% $KH_2PO_4$ and 0.5% $MgSO_4\cdot 7H_2O$, pH 5 at 32$\circ$C. Mycelium of Aspergillus sojae B-10 were guck to the rotating disc for 10 days until steady state. For continuous biodegradation of reactive dyes by using rotating disc contactor, it was most effective biodegradation in the medium containing 1,000 ppm each dyes at the medium feeding rate of 20 ml per hour. Under the conditions biodegradation of each dyes on 2, 4 and 6 days were 20~50%, 75% and 96%, respectively. Therefore, practical application of reactive dyes were carried out at the feeding rate of 20 ml/h as synthetic wasterwater containing 500 ppm of mixture reactive dyes. It was found the highest levels of 94% biodegradation during 20 days.

  • PDF

Epidemiologic Analysis of Burns in Military Hospital

  • Choi, Jangkyu;Park, Sejin;Kim, Hyun Chul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0권4호
    • /
    • pp.145-157
    • /
    • 2017
  • Purpose: We accessed epidemioloy of 908 acute burns (7 years) in the military, of injuries and propose proper educational programs to suit community. Methods: We surveyed burn demographics, circumstances of injuries, size, result of treatment. Results: The mean age was 20.6 years. The flame burns (FB) (325, 35.8%) were most common, followed scald (SB) (305, 33.6%), contact (CB) (219, 24.1%), electric (EB) (45, 5.0%) and chemical burns (ChB) (14, 1.5%). The more occurred during winter (29.7%). SB had mean 3.9% total body surface area (TBSA). The 251 (82.3%) had superficial burns by spillage of hot water/food on lower limbs (45.6%), feet (33.8%) in summer (34.8%), treated with simple dressing (92.8%). Morbidity rate was 5.6%; post traumatic stress disease (PTSD) (0.7%). FB had large wound (9.3% TBSA). The 209 (64.3%) had superficial burns by ignition to flammable oils (31.7%) and bomb powders (29.2%) on head/neck (60.3%), hands (58.6%) in summer (31.7%), autumn (30.2%). They underwent simple dressing (83.4%) and skin graft (16.0%). Morbidity rate was 18.8%; PTSD (10.5%), inhalation injuries (4.0%), corneal injury (3.7%), amputations (0.9%), and mortality rate (1.2%). CB had small (1.1% TBSA), deep burns (78.5%) by hotpack (80.4%) on lower limbs (80.4%). The more (59.8%) underwent skin graft. EB had 6.8% TBSA. The 29 (64.4%) had superficial burns by touching to high tension cable (71.1%) on hand (71.1%), upper limbs (24.4%) in autumn (46.8%). They underwent simple dressing (71.1%) and skin graft (24.4%). They showed high morbidity rate (40.0%); loss of consciousness (13.3%), nerve injuries (11.1%), neuropathy (8.9%), amputations (2.2%), and mortality rate (2.2%). Conclusions: The cook should wear apron over the boots during work. The lighter or smoking should be strictly prohibited during work with flammable liquids or bomb powders. Don't directly apply hotpack to skin for a long time. Use insulating glove during electric work. Keep to the basic can prevent severe injury and proper education is important.

Thermo-mechanical properties in bending of a multizone nickel-titanium archwire: A retrieval analysis

  • Panagiotis Roulias;Ioulia-Maria Mylonopoulou;Iosif Sifakakis;Christoph Bourauel;Theodore Eliades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89-98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in the anterior and posterior segments of new and retrieved specimens of a commercially available multizone superelastic nickel-titanium (NiTi) archwire. Methods: The following groups of 0.016 × 0.022-inch Bioforce NiTi archwires were compared: a) anterior and b) posterior segments of new specimens and c) anterior and d) posterior segments of retrieved specimens. Six specimens were evaluated in each group, by three-point bending and bend and free recovery tests. Bending moduli (Eb) were calculated. Furthermore, the new specimens were evaluat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dispersive X-ray spectrometry.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with a random intercept at the wire level was appli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forces in the posterior segments or new specimens were higher than those recorded in the anterior segments or retrieved specimens, respectively. Accordingly, Eb also varied. Higher austenite start and austenite finish (Af) temperatures were recorded in the anterior segmen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these temperatures between retrieved and new wires. The mean elemental composition was (weight percentage): Ni, 52.6 ± 0.5; Ti, 47.4 ± 0.5. Conclusions: The existence of multiple force zones was confirmed in new and retrieved Bioforce archwires. The retrieved archwires demonstrated lower forces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deactivation in three-point bending tests, compared with new specimens. The Af temperature of these archwires may lie higher than the regular intraoral temperature. Even at 2 mm deflections, the forces recorded from these archwires may lie beyond biologically safe limits.

Urease gene의 전이에 의한 길항세균 Bacillus sp. SH14의 길항능력 증가 (Improvement in Antagonistic Ablility of Antagonistic Bacterium Bacillus sp. SH14 by Transfer of the Urease Gene.)

  • 최종규;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2-129
    • /
    • 1998
  • 최근 생물방제균으로 주목받고 있는 Enterobacter cloacae의 방제기작이 이 균에 의해 토양내에서 생산된 휘발성 ammonia이며 ammonia의 생산에는urease가 관계한다는 보고를 근거로 하여, 항생물질 생산성 균주로 선발된 우수한 길항균주에 암모니아 생성능, 즉 urease 유전자를 유전적으로 부가함으로써 항진균성 길항물질 생산과 암모니아 생산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는 새로운 다기능의 생물방제균을 유전적으로 육종하고자 하였다. 저병해 인삼경작지로부터 식물근부균 Fusarium solani의 생육을 강하게 억제하는 길항세균 한 균주 SH14균주를 분리, 선발하였으며, 분리된 균주를 동정한 결과 Bacillus subtilis이거나 그 근연종으로 추정되었다. 억제기작 실험을 통해 길항균주 B. subtilis SH14에 의해 생산되는 항진균성 길항물질은 외막가수분해효소와 같은 고분자 물질이 아니라 열에 안정한 저분자의 항생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ammonia 생산을 위한 urease의 유전자는 urease 생산력이 강력한 호알칼리성 Bacillus pasteurii의 urease 생산유전자를 E. coli-Bacillus shuttle vector인 pEB203에 subcloning하였고, 이어서 pGU 366으로 명명된 이 recombinant plasmid를 선발된 항진균성 길항균주 B. subtilis SH14에 PEG-induced protoplast transformation 방법으로 도입, 발현시켰으며, 최적조건을 조사하여 90분간의 lysozyme 처리과정 후 1.5 $\mu\textrm{g}$/$m\ell$의 DNA와 40% PEG4000의 첨가로 약 6.5$\times$$10^{-4}$의 형질전환율을 얻을 수 있었다. 아울러 암모니아 생성능이 부가된 생물방제균 B. subtilis SH14(pGU366)에 의해 식물근부균 F. solani에 대한 생육억제력이 증가되는지 여부를 억제거리 측정법과 균체중량법을 통해 확인한 결과 urease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체 B. subtilis SH14(pGU366)의 근부균 생육억제능이 각각 36.7%, 44.0%정도로 숙주균주인 B. subtilis SH14에 비해 근부균 생육억제능을 보다 강하게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항진균성 항생물질 생산성 생물방제균 B. subtilis SH14에 외부의 urease유전자를 도입하여 ammonia 생성능을 부가함으로써 생물방제력의 상승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 PDF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선발된 한우로부터 초음파 유래 체외수정란 이식에 의한 고품질 한우 생산기술의 실용화 II. DNA 검정우로부터 초음파 유래 체외수정란의 생산에 관한 연구 (Practical Applications of DNA Marker-Assisted Selection and OPU-Derived IVF Embryo Transfer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Meat in Hanwoo II. Production of IVF Embryos Derived Transvaginal Ovum Pick-up from DNA Marker-Proved Hanwoo)

  • 박희성;이지삼;진동인;박준규;홍승표;이명열;정장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3-20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DNA marker가 검정된 한우로부터 생산한 체외수정란을 이식하여 육질 및 육량의 유전적 능력이 우수한 한우를 대량생산하여 고품질 한우 쇠고기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DNA marker 검정 한우로부터 초음파유도 난포란을 채란하여 체외수성 및 수정란의 체외 발달에 미치는 각종 요인들과 배반포기 수정란의 부화율 개선을 위하여 투명대를 laser로 drilling을 실시하여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초음파유래 체외수정란의 분할률은 swim-up과 percoll 방법이 각각 75.0%(48/64) 및 71.4% (45/63)로써 이들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도축장유래 체외수정란의 분할율도 각각 69.9% (121/173) 및 62.2%(l12/180)로써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을 초음파유래 체외수정란이 25.0%(swim-up; 12/48) 및 22.2%(percoll; 10/45)로써 정자의 처리방법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초음파유래 체외수정란도 각각 29.8%와 28.6%로써 차이가 없었다. 초음파유래 난포란을 등급별로 분류하여 체외수정을 실시하였을 때 1(G I), 2(G II) 및 3(G III)등급 난포란의 분할율은 각각 60.0%(3/5), 69.2%(18/26) 및 62.1%(59/95)로써 이들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4등급 난포란의 36.2%(25/69) 보다는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은 1 및 2등급이 33.3% (1/3) 및 38.7%(7/18)로써 3 및 4등급의 16.9% (10/59) 및 4.0%(1/25)보다는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초음파유래 난포란을 체외수정 후 TFB, HT 및 HTB 배양액으로 체외배양을 실시하였을 때 분할율은 68.7%(55/80), 65.0%(13/20) 및 68.2% (15/22) 로써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초음파유래 체외수정란의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은 TFB (25.5%), HT(23.1%) 및 HTB(20.0%)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Laser system 으로 zona drilling을 실시한 EB, ExB 및 ExBO 수정란의 부화율은 각각 65.8%(25/38), 82.9%(29/35) 및 80%(16/20)로써 초음파유래 ExB 수정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0.05), zona drilling 을 하지 않은 배반포기 수정란은 각각 25.0%(EB; 12/48) 및 35.7%(ExB; 15/42)로서 이들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zona drilling한 배반포기 수정란은 bona drilling을 하지 않은 배반포기 수정란에 비하여 부화율이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Tyrosine Hydroxylase 유전자가 주입된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체외 신경세포 분화 (In vitro Neural Cell Differenti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Human Embryonic Stem Cells Expressing Tyrosine Hydroxylase)

  • 신현아;김은영;이금실;조황윤;김용식;이원돈;박세필;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1권1호
    • /
    • pp.67-74
    • /
    • 2004
  • Objective: This study was to examine in vitro neural cell differentiation pattern of the genetically modified human embryonic stem cells expressing tyrosine hydroxylase (TH). Materials and Methods: Human embryonic stem (hES, MB03) cell was transfected with cDNAs cording for TH. Successful transfection was confirmed by western immunoblotting. Newly transfected cell line (TH#2/MB03) was induced to differentiate by two neurogenic factors retinoic acid (RA) and b-FGF. Exp. I) Upon differentiation using RA, embryoid bodies (EB, for 4 days) derived from TH#2/MB03 cells were exposed to RA ($10^{-6}M$)/AA ($5{\times}10^{-2}mM$) for 4 days, and were allowed to differentiate in N2 medium for 7, 14 or 21 days. Exp. II) When b-FGF was used, neuronal precursor cells were expanded at the presence of b-FGF (10 ng/ml) for 6 days followed by a final differentiation in N2 medium for 7, 14 or 21 days. Neuron differentiation was examined by indirect immunocytochemistry using neuron markers (NF160 & NF200). Results: After 7 days in N2 medium, approximately 80% and 20% of the RA or b-FGF induced Th#2/MB03 cells were immunoreactive to anti-NF160 and anti-NF200 antibodies, respectively. As differentiation continued, NF200 in RA treated cells significantly increased to 73.0% on 14 days compared to that in b-FGF treated cells (53.0%, p<0.05), while the proportion of cells expressing NF160 was similarly decreased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roughout the differentiation, expression of TH was maintained ($\sim$90%). HPLC analyses indicated the increased levels of L-DOPA in RA treated genetically modified hES cells with longer differentiation tim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 genetically modified hES cells (TH#2/MB03) could be efficiently differentiated in vitro into mature neurons by RA induction method.

1997-2000년 부산지역 호흡기계 바이러스의 탐색 (Detection of Respiratoiry Tract Viruses in Busan, 1997-2000)

  • 조경순;김영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84-288
    • /
    • 2001
  • 호흡기 바이러스는 인간에게 가장 강한 감염력을 지닌 병원체의 하나이다. 1997년-2000년 부산지역에서 시행된 바이러스성 전염병 유행예측사업 과정 중에 호흡기계 바이러스를 분리하여 확인하였다. 지정 의뢰된 검체에서 분리된 바이러스의 평균 분리율은 8.4%이었으며 확인된 바이러스의 종류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B형,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유행성이하선염 바이러스, 홍역 바이러스이었다. 분리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주요 항원형은 인플루엔자 A/Sydney/05/97(H3N2)-like 및 A/Johanesburg/33/94(H3N2)-like, A/Beijing/262/95(H1N1)-like, 그리고 인플루엔자 B/Beijing/262/95-like와 B/Harbin/07/94-like, B/Guangdong/08/93-like형이었다. 주요 혈청형으로는 아데노 바이러스는 1, 2, 3, 5 혈청형이 관찰되었고, 유행성 이하선염과 홍역 바이러스는 IgN 과 IgG 항체가로 확인하고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도 분리하였다. 연도별 발생에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항원형은 달랐으나 매년 나타났으며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1999년에 확인되었다. 1999년과 2000년에는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가, 2000년도엔 홍역바이러스가 집중적으로 검출되었다. 분리월별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11월에서 다음해 3월 사이, 아데노바이러스는 1월에서 6월 사이, 유행성 이하선염은 2월에서 5월 그리고 12월에, 홍역은 4월에서 8월, 11월과 12월에 각각 확인되었고, 파라인플루엔자는 12월에 분리되었다. 분리된 바이러스는 외피가 없는 70 nm의 아데노바이러스를 제외하고 모든 구형을 나타내었으며, 크기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 B형이 130 nm, 유행성 이하선염과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외피가 있는 170-180nm 이었다.TEX>$\pm$0.10(100분), 0.46$\pm$0.11(120분), 0.52$\pm$0.15(심폐기 재가동 30분), 0.62$\pm$0.15(60분), 0.76$\pm$0.17(심폐기이탈 30분), 0.81$\pm$0.20(60분), 0.84$\pm$0.23(90분) and 0.94$\pm$0.33(120분)를 보였고 이는 역행성 뇌관류 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된 소견이었다(p<0.05). 뇌신피질, 기저핵, 해마에서 전자현미경 조직 소견을 관찰하였으며 마이토콘드리아의 부종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 역행성 뇌관류 120분 후에 S100 베타 단백의 유의한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뇌조직 손상과의 관련성은 좀 더 연구되어야 할 부분으로 생각된다. 장기 생존 모델을 통한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심폐바이패스 시행 등의 교란 인자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비해 Progenitor II의 형질전환 효율이 현저히 떨어졌다. L. acidophilus HY7008과 HY7001은 두 기기 모두 형질전환이 이루어졌으나, L. acidophilus WEISBY와 NCFM은 Progeni-tor II에서 전이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Gene Pulser에서 전이균주를 얻어 두 electroporator간에 형질전환 효율의 차이를 보였다. 11. L. casei 102S에 pLZ12를 electroporation시 낮은 전압에서 형질전환 효율이 비교적 좋았으며, 배양 시기를 달리하여 전이시켰을 때 대수생장 말기의 세포가 형질전환 효율이 좋았다. 12. L. casei 102S세포를 각각 10% glycerol, EB, 2차 증류수 등에 녹여 electroporation을 실시하였을 때 각각 $3.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