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C bread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7초

빵의 품질에 미치는 유산균의 영향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on the Qualities of White Pan Bread)

  • 장준형;안재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09-515
    • /
    • 1996
  • Sour liquid 발효가 식빵의 제조조건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Lactobacillus brevis와 Lactobacillus brevis와 Lactobacillus plantarum을 혼합 배양하면 sour dough bread 사용 유산균 중 산생성력이 가장 높았고 pH도 낮았다. Sour liquid 발효 제조시 제빵의 제조조건에 가장 적합한 배양조건, 배양온도, 시간 및 배지의 조서에 대해 실험하였다. L. brevis와 L. plantarum의 배양은 3$0^{\circ}C$에서 24시간 하였다. 배지조성 중 글루코오스를 2% 첨가하고 영양원으로서 yeast extract 0.4%를 첨가한 것의 결과가 가장 좋았다. Sour liquid ferments를 제빵제조시 중종 (sponge dough)에 넣었을 때 반죽의 pH를 4.64까지 낮추어 주어 발효력을 증가시켰고, total titratable acidity(TTA)도 보통 식빵의 0.46%보다 높은 0.54%를 나타내었다. 품질평가에 있어서, sour dough liquid를 이용한 식빵의 경우가 보통식빵보다 비용적 (specific volume)이 좋았다. 맛과 외형 특히 관능적인 품질(향취)이 증가되었다. 이는 유산균이 생성한 초산, 젖산 및 아미노산 등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보인다. 제품을 $25^{\circ}C$에서 6일 동안 저장하면서 노화도를 측정한 결과 보통식빵보다 노화지연에 훨씬 효과적으로 나타났고 Sour liquid ferments는 유산균 등이 생성한 유기산들이 곰팡이의 생육을 억제하여 제품의 저장기간이 연장되었다.

  • PDF

유화제가 스펀지발효 후 냉동생지로 제조한 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ulsifiers on Properties of the Bread Made by the Dough Frozen after First Fermentation)

  • 이정훈;최두리;이중근;이시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107-112
    • /
    • 2004
  • 유화제로 SSL과 DATEM을 첨가한 과자빵 반죽을 가당 스펀지도우법으로 스펀지발효 후 냉동하여 냉동기간에 따른 효모의 생균수, 제품의 부피 수분함량 조직감 품질검사 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효모 생균수는 SSL 0.3% 및 DATEM 0.2%를 첨가한 냉동생지에서 높게 검출되었으며, 제품의 부피도 SSL 0.3% 및 DATEM 0.2%를 첨가한 냉동생지에서 크게 나타났다. 제품의 수분함량은 SSL 0.5%를 첨가한 냉동생지에서 높게 나타났고, 제품의 조직감은 SSL 0.3% 및 DATEM 0.2%를 첨가한 냉동생지에서 부드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의 품질검사에서는 SSL 0.3% 및 DATEM 0.2%를 첨가한 냉동생지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로 SSL및 DATEM을 혼합하여 사용한 냉동생지를 이용시 빵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rans 지방을 첨가한 찹쌀보리빵의 섭취가 건강한 성인의 혈장 지질수준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xy Barley Bread with Trans Fat on the Lipid Profile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Healthy Korean Adults)

  • 노경희;이영은;장지현;신진혁;이미옥;이경식;이승환;김도훈;박용규;조경환;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353-1361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건강한 성인 남녀(남자 29명, 여자 10명) 39명을 대상으로 trans 지방산 3.75 g을 각각 첨가한 찹쌀보리빵과 밀빵의 섭취가 혈중 지방산 조성과 지질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군은 밀빵 군(19명)과 찹쌀보리빵 군(20명)의 2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장기(6주) 임상시험으로 시행하였다. 밀빵 군은 밀가루 80 g에 trans 지방산 3.75 g을 첨가한 밀빵을, 찹쌀 보리빵 군은 $\beta$-glucan 5%를 함유한 찹쌀보리가루 40 g과 밀가루 40 g에 trans 지방산 3.75 g 첨가하여 찹쌀보리빵을 조제하여 제공하였다. 찹쌀보리빵을 섭취한 군에서는 섭취기간이 증가할수록 C18:3c,n-9 지방산을 제외한 지방산들의 농도가 낮아졌으며 특히 섭취 6주경과 후에서는 C16:0, C18:1t, C18:1c, C18:2t와 C18:2c의 농도는 밀빵을 섭취한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밀빵을 섭취한 군에서 섭취기간이 증가할수록 C18:1t, C18:2c, C18:2t의 농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C18:0, C18:1c, C18:3c,n-9과 C18:3c,n-3의 농도는 감소하였고 C16:0와 C18:2c의 농도는 증가 후 일정수준을 유지하여 6주경과 후에서는 섭취 전보다 현저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P/M/S 비를 보면 섭취4주까지 두 군 모두에서 다가불포화지방산의 비가 증가한 반면 섭취 6주경과 후에서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일불포화지방산의 비는 찹쌀보리빵 군에서는 감소하는 추세이나 밀빵 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혈중 trans 지방산을 비롯한 포화지방산 농도가 낮은 수준이었으며 또한 찹쌀보리빵의 섭취는 밀빵의 섭취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 농도와 TG/HDL-C의 비를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찹쌀보리에 함유된 $\beta$-glucan이 trans 지방의 체내 흡수율을 저하시키거나 흡수속도를 느리게 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에서 가공식품으로부터 공급되는 trans 지방의 체내 농도를 저하시키고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밀가루 보다는 찹쌀보리를 활용한 형태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쌀가루 입도가 쌀 식빵의 팽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ticle size of rice flour on popping rice bread)

  • 박미경;강순아;이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4호통권94호
    • /
    • pp.419-42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substitution of rice flour for wheat flour in making bread and thus the consumption of rice by examining the effect of particle size of rice flour on leavening rice bread. For this purpose, sever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regard to particle size distribution, 59.45% of wheat flour had passed 200 mesh and 3 kinds of rice flour milled to penetrate into 20, 35, and 45 mesh (S1, S2 and S3) had passed 21.88%, 33.1% and 36.38% of those for 200 mesh, respectively. To leaven the rice flour dough to bread, 25% of vital gluten was needed. To determine the optimal water quantity for rice bread dough, the hardness of wheat and rice flour dough was measured by rheometer. The appropriate water quantity for S1, S2 and S3 was set at 285 ml , 295 ml and 335${\sim}$340m1, respectively. The loaf volume index of the wheat flour bread was 6.24, while that of and rice flour bread S1, S2 and S3 was 5.38, 5.50 and 5.75,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af volume index of rice flour bread is lower than that of wheat flour bread, but that the volume of rice flour bread was increased with fuel particle size of rice flou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mage of the wheat bread tissue at a magnification of 35 times showed long, large, oval-shaped, air cells and thin cell membrane, as well as small air cells, whereas the images of rice flour showed angular, circular, air cells and rough and thick cell membrane. The size and number of air cells in the rice bread were larger in S2 and S3 with fuel particle flours than in S1. In particular, the bread made with S3 contained many air cells that were as large as those in the wheat bread were. In addition, when the inner cell wall was magnified 1500 times, almost no small air cell was observed in C and S3, whereas many fine air cells were observed in the cell wall of S1 and S2.

다시마가루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Laminaria Powder)

  • 권은아;장문정;김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06-41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다시마의 생리 활성과 기능성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빵의 제품화 가능성을 탐색할 목적으로 다시마 가루를 2.5%,5%, 7.5%첨가한 식빵을 제조하여 식빵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장 적절한 다시마 가루의 첨가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다시마 가루를 첨가한 반죽의 제빵 적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온도 27$\pm$1$^{\circ}C$, 상대 습도 75%의 발효 조건에서 90분간 반죽의 발효팽창력을 측정한 결과, 다시마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팽창력 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2.5% 다시마 첨가 수준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한 발효팽창력을 나타내었다. 다시마 가루 첨가 식빵의 부피는 다시 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2.5% 다시마 첨가시까지는 부피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시마첨가 식빵의 무게는 크게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7.5% 첨가시에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색도 측정 결과 식 빵 내부의 명도를 나타내는 L값, 적색도를 의미하는 a값은 다시마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다시마 가루 첨가량이 증가함께 따라 증가하였다. 즉, 다시마 가루를 첨가할수록 명도는 줄어들고, 적색이 감소하면서 황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빵의 조직감을 보면 다시마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견고성, 부서짐성은 증가하였으나 점착성, 탄력성, 응집성은 다시마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 결과는 20대 여대생과 50대 주부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두 집단간에 다시마 가루 첨가 식빵에 대한 기호가 유의적으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여대생의 경우 다시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호도가 감소하였으나 2.5% 다시마 첨가군에 대한 평가는 전반적으로 좋게 나타났다. 반면 50대 주부들의 경우에는 2.5% 다시마 첨가한 식빵에 대한 평가점수가 대조군보다 높았다. 5% 다시마 첨가에서도 대체적으로 대조군과 비슷한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시마 가루를 2.5% 첨가한 식빵을 제품화하면 일반적인 식빵에 비해 다시마의 생리 효능을 활용하면서 소비자들의 높은 호응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볶음 홍화씨 분말첨가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Roasted Safflower Seed Powder)

  • 김준한;최명숙;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0-83
    • /
    • 2000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processed with the addition of roasted safflower seed powder were evaluated Safflower seed powder was roasted at 180$^{\circ}C$ for 20 min and pulverized below 45mesh size. Bread was processed by addition of control, 1, 2, 3 and 4% safflower seed powder at basic formulation. Dough raising power was increased as the addition of safflower seed powder increase, but Hunter's L value was decreased, From the sensory evaluation of safflower seed bread, color scor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ddition of roaste safflower seed powder increase, but overall acceptance had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added 4% of safflower seed.

  • PDF

국산밀 제분부산물을 첨가한 고식이섬유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igh-Fiber Breads Added with Domestic Wheat Bran)

  • 이영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23-328
    • /
    • 2003
  • 국산밀의 제분시 생성되는 밀기울(총 식이섬유 42%)을 밀가루에 $0{\sim}30%4 첨가함에 따라 반죽과 yeast 발효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고식이섬유빵의 소재로 활용하였다. 밀가루에 첨가하는 국내산 밀기울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amylograph 최고점도와 set back은 감소하였으며, mixograph에 의한 반죽의 리을로지 특성에서 peak height는 증가한 반면에 mixing time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밀기울의 첨가는 빵의 부피를 현저히 낮추고 crumb grain, 텍스쳐 등 관능특성에서 빵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기울의 첨가에 의해 빵은 L 값이 감소하여 어두워졌으며, crumb의 a 와 b값은 증가하여 적색과 황색의 색조를 부여하였다. 빵의 부피와 관능검사 측정 결과에 따라 국내산 밀기울의 적정 첨가수준은 약 15%까지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15% 밀기울 첨가빵은 대조구 빵에 비해 경도가 2배 이상 높았으며 $5^{\circ}C$$25^{\circ}C$에 5일간 저장실험에서 저장 $2{\sim}3$일에 급격한 경도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천연색소 첨가에 따른 식빵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ead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Natural Pigment Powders)

  • 박인덕;전은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0-146
    • /
    • 2006
  •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ead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Angelica plant(Bakluncho) and Jujube(Daechu) powders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crude protein, as reducing sugar and vitamin C content of Angelica plant(Bakluncho) powders were 7.78%, 6.07%, 7.37%, 6.13% and 50.10 mg% respectively, and those of Jujube(Daechu) powders were 11.19%, 4.43%, 2.36%, 14.23% and 49.20 mg% respectively. Lightness value decreased but redness and yellowness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natural pigment powders content. The mechanical hardness of the bread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3% Angelica plant(Bakluncho) powders, but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1% and 5% Angelica plant(Bakluncho) powders. The mechanical hardness of bread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1% and 3% Jujube(Daechu) powders, but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5% Jujube(Daechu) powders. In sensory characteristics, the crust color, mb color, moistness and springiness decreased, but aroma and hardness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natural pigment powders content. The savory taste and overall quality of breads with 1% Angelica plant(Bakluncho) powders and 3% Jujube(Daechu) powd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without my addition.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Hunter's color value and overall quality of the bread prepared with addition of Angelica plant(Bakluncho) and Jujube(Daechu) powders.

율무전분의 조리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od scientific characteristics of the Job′s tears flour)

  • 신민자;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9-67
    • /
    • 1987
  • 율무쌀을 식량으로서의 적합여부를 규명하기 위해 천안산, 횡성산, 의성산 율무쌀을 임의로 선택하여 전분의 분리, amylose 함량 측정, amylogram특성 등의 물성을 측정하고, 율무쌀가루를 여러 혼합비율로 혼합한 식빵과 떡을 제조하여 조리, 적합여부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1. 율무쌀의 전분 함량은 12~20%정도로 쌀이나 찹쌀의 전분함량의 1/3정도이었으며 율무전분의 amylose와 amylopectin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거의가 amylopectin으로 되어있어 찰전분임을 알 수 있었다. 2. 율무쌀전분, 쌀전분, 찹쌀전분의 amylogram에서 호화개시 온도는 각각 $69.5^{\circ}C$, $68.8^{\circ}C$, $68.5^{\circ}C$로 율무쌀전분이 다른 전분에 비해 약 $1^{\circ}C$ 정도 높게 나타냈다. 최고 점도는 율무쌀전분이 860 B.U, 쌀전분, 420 B.U., 찹쌀전분 610 B.U.로 율무쌀전분이 가장 높으며 쌀전분의 약 2배 정도였다. 그리고 $95^{\circ}C$에서부터 $50^{\circ}C$로 냉각된 때에는 쌀전분이 500 B.U.로 가장 높았으며, 찹쌀전분 310 B.U.보다는 율무쌀전분이 410 B.U.로 쌀전분과 찹쌀전분의 중간 성질을 보였다. 3. 율무쌀가루를 혼합한 때의 제빵성을 검토한 결과 l0% 혼합시 빵의 식미는 밀가루빵보다 우수하였으며 20% 혼합시에는 빵의 부피 및 내부 특성이 밀가루빵과 비슷하였다, 30% 이상일 때는 빵의 부피 및 조직과 관능검사 결과가 좋지 못하였다. 따라서 제빵시 율무쌀 가루를 20%정도까지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본다. 4. 율무쌀가루를 이용한 떡은 율무쌀가루를 25% 혼합시켰을 때 조직 향미, 식미등이 가장 좋았으며 50% 이상 혼합되면 떡의 부피 및 조직과 관능검사 결과가 나쁘게 판정되었다. 따라서 떡을 제조할 때에도 율무쌀가루를 25%까지는 혼합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므로 식빵과 떡제조시 율무쌀가루를 혼합사용하여 율무의 이용면을 넓힐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쌀가루의 영양성분과 쌀가루를 활용한 다양한 쌀빵 레시피 개발 (Nutritive Components of Rice Powder and Development of Rice Bread Recipes using Rice Flour)

  • 이연리;정다운;조은혜;백선우;김수영;박영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41-44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ximate components (water, crude ash,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arbohydrates) and nutritive components (vitamin A, C, E, minerals, amino acids, and fatty acids) of rice flour and develop several rice bread recipes using rice flour. The water, crude ash, crude protein, crude lipid, carbohydrate contents of rice flour were measured to be 8.53%, 0.10 g, 6.80 g, 0.14 g and 84.43 g, respectively. No vitamin A was detected in the rice flour, and vitamin C and E contents were found to be 8.30 and 0.3467 mg/100 g, respectively. Calcium, potassium, magnesium, iron, and sodium contents were measured as 6.23, 65.05, 9.78, 0.17 and 2.84 mg/100 g; the large amount of potassium helps to discharge the sodium. Rice flour has nine kinds of essential amino acids in it; essential amino acids form 45.15% of rice flour's content. which is higher than 32.3%. Fatty acids were barely detected in the rice powder; saturated fatty acids were measured as 31.25 mg/100 g, and unsaturated fatty acids as 25.54 mg/100 g. Regarding essential fatty acids, linoleic acids were measured as 41.01 mg/100 g, and linolenic acids as 2.20 mg/100 g. The researcher used rice loaf bread as the base and developed rice bread recipes using rice flour to make a total of 11 items: 8 items with 75% rice flour (rice bagel, rice sweet red-bean bread, rice butter roll bread, rice mocha bread, rice buttertop bread, rice custard cream bread, and rice streusel), 2 items with 80% rice flour (stollen and rice hobbang), and 1 item with 85% rice flour (rice donut).